• Title/Summary/Keyword: 조명성능

Search Result 1,09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Simulation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unnel Lighting Systems (터널조명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뮬레이션)

  • Kim, Hyeong-Kwon;Han, Jong-Sung;Jung, Hyeon-Il;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6-139
    • /
    • 2008
  • 국내외 터널조명 기법들을 조사,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향후 터널조명 시스템 적용과 개발 가능성 연구,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Lightscape를 이용하였으며, 터널 내 노면 조도, 조도균제도 그리고 단위면적당 소비전력량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Prism Design of Lndoor Luminaire for Flat- Source (면광원용 실내조명기구의 프리즘 설계)

  • Oh, Hye-Young;Jo, Moon-Sung;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8-180
    • /
    • 2008
  • 친환경적이고 고효율적인 신광원의 개발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개발되고 있는 면광원에 대한 프리즘 설계법의 기초 연구로서, 면광원의 배광을 예측한 라이브러리를 생성한 후 넓은 분포를 갖는 대칭형 배광의 프리즘 조명기구를 설계하고 Lumen micro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프리즘 조명기구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Design of LED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for Improving of Learning Performance in Classroom (교실의 학습 능률 향상을 위한 상황인지 기반 LED 조명제어시스템)

  • Moon, Seung-Mi;Kwon, Sook-youn;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300-1303
    • /
    • 2012
  • 최근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 학교 조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광등을 대체하고 있다. 형광등은 점멸빈도가 높으면 수명이 단축되며 상황에 따라 조명 환경을 동적으로 재구성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진 조명장치이다. 이와 달리 LED는 광원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적합한 조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재실자의 시각적 쾌적성 및 작업 능률 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는 교실 환경을 대상으로 요일 및 시간, 교과목 종류 등의 스케쥴 정보와 교사의 위치 및 행위를 기반으로 각 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조명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황인지기반의 LED조명제어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 교실 환경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조명 환경 지표를 이용하여 교실 내 조명장치의 색온도, 조도를 제어한다.

Color Correction for Comparison of Images with Different Color Illuminations (서로 다른 유색 조명 영상간 색 비교를 위한 색 보정 기법)

  • Choi, Yoo-Joo;Lee, So-Young;Cho, We-Duk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79-182
    • /
    • 2009
  •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동일 객체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객체의 색상 비교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조명 영상들에서 비교 대상 객체들의 색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조명 차이 요소를 제거하고, 입력영상을 목표 조명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색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색상 보정 기법은 촬영전에 색상 팔렛트를 이용하여 조명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 조명간 RGB 색상 요소별 차이를 전처리 단계에서 계산한다. 각 조명환경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해, 미리 계산된 조명간 차이값을 입력되는 각 영상화소값에 반영함으로써 영상의 색상을 보정한다. 실험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 조건에서 촬영된 두 영상에 대하여 하나의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선정하고, 다른 하나의 영상에 제안 보정처리를 수행한다. 보정 전후 영상과 기준 영상과의 가시적인 비교 방법과 히스토그램 비교에 의하여 제안 보정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Illumination Robust Face Recognition using Ridge Regressive Bilinear Models (Ridge Regressive Bilinear Model을 이용한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 Shin, Dong-Su;Kim, Dai-Jin;Bang, Sung-Ya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1
    • /
    • pp.70-78
    • /
    • 2007
  • The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is greatly affected by the illumination effect because intra-person variation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can be much bigger than the inter-person vari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llumination robust face recognition by separating identity factor and illumination factor using the symmetric bilinear models. The translation procedure in the bilinear model requires a repetitive computation of matrix inverse operation to reach the identity and illumination factors. Sometimes, this computation may result in a nonconvergent case when the observation has an noisy information. To alleviate this situation, we suggest a ridge regressive bilinear model that combines the ridge regression into the bilinear model. This combination provides some advantages: it makes the bilinear model more stable by shrinking the range of identity and illumination factors appropriately, and it improves the recognition performance by reducing the insignificant factors effectively.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ridge regressive bilinear model outperforms significantly other existing methods such as the eigenface, quotient image, and the bilinear model in terms of the recognition rate under a variety of illuminations.

A Study on the Services Performance Evaluation of Intelligent Network Facilities (지능망 설비에서의 서비스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전희종;오중민;김춘수;김병진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9 no.2
    • /
    • pp.50-57
    • /
    • 1995
  • In this paper the model was analyzed on performance evaluation for IN facility and we carried out evaluation on it's service performance using this model as an example. We used simulation method and operation analysis method as evaluation technology. As the evaluation results, the case of simulation method was nearly consistent with the case of the operation analysis method and the user-network interaction time had more effect on service performance than delay time of IN facility. We expects that the performance models proposed in this paper is useful when operating, managing and designing IN services in considering service performance.

  • PDF

Histogram matching by the classified image according to its depth information for Illumination mismatch compensation in multi-view video (깊이 정보에 따라 여러 객체로 분리한 영상 단위의 히스토그램 매칭에 기반한 다시점 비디오의 조명 불일치 보상 기법)

  • Lee, Dong-Seok;Seo, Young-Ho;Kim, Dong-Wook;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80-8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색상 분포가 각각 다른 객체 영상으로 분리하고 개별적으로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을 적용하는 조명 보상 기법을 제안한다. 서로 위치가 다른 다시점 카메라의 경우,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multi-view video coding)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인접 시점 영상 간 조명 불일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조명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히스토그램 매칭(histogram matching)을 이용한 전처리 기법이 제안되었다. 모든 시점의 다시점 영상 히스토그램은 정해진 참조 시점 영상의 히스토그램으로 매칭되어 조명 불일치와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영상은 색상 분포와 깊이 정보가 상호 독립적인 객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시점 비디오는 시점에 따라 획득된 영상 간에 동일 객체의 위치와 깊이가 서로 달라 정해진 참조 시점의 히스토그램으로 매칭하는 기존의 방법은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영상 내에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먼저 분리하고, 객체 영상별로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을 적용하여 색상 보상을 수행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객체 단위의 조명 보상 기법이 향상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construction of laboratory for color and interior lighting atmosphere evaluation under LED lighting (LED 조명에 의한 색채 및 실내 조명환경 평가 실험실 구축)

  • Jung, Seung-Gyun;Kim, Hyun-Ji;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4-207
    • /
    • 2009
  • LED 광원의 광학적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광원으로서의 광학효율이 기존 광원을 대체할 정도의 수준을 만족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실내 조명광원으로서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LED 광원의 경우 기존 광원과는 판이한 분광분포를 가지고 있으며, 소형 광원의 군집체로서 조명기구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이전의 조명기구와는 크게 다른 느낌, 분위기 등을 가질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광원과 LED 광원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러한 차이점 즉, 분광분포 및 조명기구의 구성 형태 등에 따른 피험자들이 느끼는 색 편차, 조명 분위기의 변화 등을 평가 시험할 수 있는 실험실의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Approach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Design Criteria based on Energy Performance of Electrical Installations in Buildings (건축전기설비분야의 에너지성능기준 개발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 Kim, Se-Dong;Lee, Kwang-Sik;Choi, Eun-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41-344
    • /
    • 2008
  • 앞으로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성능중심의 건설기술기준 적용이 필요하다. 성능중심의 건설기준을 개발하고, 성능계약제도 도입방안을 구축함으로써 시설물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생애주기비용(LCC)을 절감하며, 설계 및 시공자의 기술개발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전기 설비분야의 에너지성능 기준 개념과 외국의 도입사례를 살펴보고, 에너지성능기준 개발 대상 및 범위를 설정하고 성능기준 개발을 위한 접근방법을 도출하였다.

  • PDF

A Neuro Fuzzy Controller Using Auto-tuning Width of Membership Function for Equipment Systems (설비시스템을 위한 소속함수 폭의 자동동조를 사용한 뉴로퍼지 제어기)

  • 이수흠;방근태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2
    • /
    • pp.102-109
    • /
    • 1997
  • The width of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control rule has an effect on performance of the fuzzy controller for electric equipment systems. In this paper, the neuro-fuzzy controller is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uzzy controller. It has the width of membership function, that is adapted to the electrical parameter using multi-layer neural network, it is applied to first order electric power system with dead time and various plant constant. The related simulation resolts show that the pro¬posed neuro fuzzy controller are superior characteristics of improved perform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