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도

Search Result 29,749,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Background illumination invariant hand posture recognition system using color temperature compensation (색 온도 보정을 통한 배경 및 조도 변화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 방법)

  • Lee, Seong-il;Min, Hyun-Seok;Shin, Ho-Chul;Lim, Eul-Gyoon;Hwang, Dae Hwan;Ro, Yong Ma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9.11a
    • /
    • pp.411-412
    • /
    • 2009
  • 최근 시각 기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손 동작 인식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손 동작 인식 기술에서 손 모양 인식은 중요한 부분이며, 이는 손 영역 검출의 결과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기존의 많은 손 동작 인식 기술들은 사람의 피부색이 갖는 컬러 특징을 이용하여 손 영역을 검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컬러 정보는 배경 및 조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색 온도 보정 과정을 손 영역 검출에 적용함으로써 배경 및 조도 변화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이 배경 및 조도 변화에 강인함을 보이기 위해, 조명의 밝기 수준을 조절하며, 다양한 색을 배경으로 찍은 손 영상을 입력으로 손 모양 인식 성능을 실험하였다. 기존의 피부색을 이용한 손 영역 검출과의 비교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법이 배경 및 조도 변화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Flood Level Variability Assessment by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Storm Sewers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홍수위 변동성 평가)

  • Park, Jongpyo;Sim, Inkyeong;Yun, Hy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6-426
    • /
    • 2021
  • 우수관로의 수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매개변수 중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첨두 수위 변동성을 SWMM으로 분석하고 수위 관측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모형 적용 조도계수의 범위는 0.015 ~ 0.120이며 0.003 단위로 증가시키며 총 12개 CASE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검토 대상지점은 서울시 방배1, 봉천1, 길동, 신림4, 방배2, 오류1, 천호 배수분구이다. 조도계수 증가에 따른 관내 수위 변동성 검토결과. 방배1 배수분구 22-0001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15에서 0.120으로 증가하면 첨두 수위는 최대 70.3% 높아졌으며 길동 배수분구 25-0003 지점의 경우 103.3%, 신림4 배수분구 21-0002 지점의 경우 78.8% 수위가 상승하였다. 즉, 물리적으로 관로의 조도계수가 증가하면 유속이 감소되고 수위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상류 인접관로에 만관으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조도계수가 증가하여도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봉천1 배수분구 21-0004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45를 초과할 때 상류관에서 만관 발생으로 압력관이 형성되며 이러한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배2 배수분구의 22-0003 지점, 천호 배수분구의 25-0002 지점의 경우 상류관 침수발생으로 첨두 수위의 역전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관로 내 조도계수 증가는 첨두 수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대 2배까지 수위가 상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조도계수 상승에 따른 인접관(상류관) 만관 및 침수 발생의 원인으로 일부구간의 경우 수위가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향후, 유역의 특성, 우수관로의 경사, 규모 등을 고려한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수위변동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in a Channel with Roughness Correction Blocks (조도보정 블록 수로에서의 조도계수 추정)

  • Choi, Heung Sik;Kim, Si 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107-116
    • /
    • 2014
  • A volume density of roughness correction blocks in a channel is defined and the corresponding roughness coefficient(n) is estimated by analyzing the divers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VR, the product of the average velocity and the hydraulic radius, block Reynolds number ($Re^*$), drag coefficient ($\acute{C}_D$), and the roughness coefficient ($n_b$) of bottom shear. The increase of VR and block Reynolds number causes the exponential decrease of roughness coefficient converged to a constant value as expected. The drag coefficient also exponentially decreases as block Reynolds number increases as well. The drag force is governed by the block shape defined by volume density in high block Reynolds number of turbulent flow region.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the use of the correlation equation of it is required by block Reynolds number and volume density.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n-VR, $\acute{C}_D-Re^*$, and $n_b-\acute{C}_D$ are presented. The regression equations of roughness coefficient are also presented by block Reynolds number and volume density. The developed equ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by block Reynolds number and volume density has practical use by confirming the coincid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results of HEC-RAS using the developed eq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Biopellet Produced Upon Reactor Configuration in UASB System (UASB 공법에 있어서 반응조의 형상변화에 따른 입상슬러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Min, Kyung Sok;Ahn, Young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3
    • /
    • pp.679-688
    • /
    • 1994
  •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opellets produced in "control" and modified UASB reactor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 reactor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 hydrogen partial pressure. The characteristics of biopellet produced in modified UASB reactor operated with high hydrogen partial pressure were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reactor operated with relatively lower hydrogen partial pressure, therefore the hydrogen partial pressure effected greatly on the formation and stability of the biopellet. Furthermore, pellets from the UASB system with modified settler showed a better settleability and biomass holding capacit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iopellet wa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common bacterial formula, $C_5H_7O_2N$. Biopellets was composed the large fraction of nitrogen in comparison with common anaerobic microbes. These results implicated the existence possibility of polypeptide-type extracellular polym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with SEM showed that microorganisms observed at surface of biopellet produced in modified UASB reactor operated with high $P_{H_2}$ condition were very similar in shape and size to the Methanobrevibactor arboriphilus-$H_2$ utilizing methanogen. The microorganisms was distinguished from those of "control" reactor operated with low $P_{H_2}$ condition.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explained the hydrogen partial pressure effects on pelletization mechanism.

  • PDF

Biogas production using organic waste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 Yoo, Eunsil;Hong, Soonhyouk;Kim, Daeyoung;Jun, Haks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10.2-110.2
    • /
    • 2011
  • 바이오가스 생산은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인해 더욱 그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스웨덴 Scandinavian Biogas Fuel AB(SBF) 사의 바이오 가스 생산 기술을 이용함으로 소화효율을 개선하고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극대화하였다. 전국 403개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소화조가 설치된 처리시설은 65 개소이며 이중 57 개소에서 총 64개 소화조를 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내 소화조의 효율은 유입수질 저하, 운영, 관리 미숙으로 인해 전진국의 1/4 수준으로 에너지 이용률이 미미한 편이다. 환경부는 2010년부터 에너지 이용, 생산사용 확대, 추진을 위해 하수처리시설별 이용 가능한 에너지 잠재력의 종류, 양, 지역 내 수요자, 공급자 의 현황 규모 등을 정리해 2012년부터 에너지 이용사업 확대를 추진한다. SBF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수처리시설에서 들어오는 하루 슬러지 $1370m^3$와 음식물쓰레기 180t을 함께 처리하며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더욱 늘렸다. 각 $7,000m^3$의 달걀모양(egg shape) 소화조 2개를 운영하며 생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 후 바로 소화조로 투입, 혐기 소화하는 방식이며 슬러지 최종처분방법은 탈수 후 소각된다. 반입되는 생 슬러지의 평균 TS 1.7%, VS 63% 이며 농축 후에는 평균 TS 9%, VS 75% 이다. 또 소화조로 들어가는 음식물 쓰레기는 평균 TS 8%, VS 85% 이며 소화 후 평균 TS 3.6% VS 59% 이다. 그리고 소화조의 pH는 7.3~7.8,유기산의 농도는 150mg/L~350mg/L, 가스발생량은 하루 평균 $26,500Nm^3$이며 소화효율은 평균 67%이다. 혐기성소화는 산소가 없는 무 산소 상태 에서 분해 가능한 유기물을 분해시켜 메탄으로 전환시키고 우리는 현재 이 가스를 소화조 가온에 사용하고, 판매하고 있다. 소화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가온과 교반이 행해지는데 가온방식은 직접가온방식(증기주입식)과 간접가온방식(열교환방식)이 있다. 그중 우리는 간접가온방식을 채택하여 소화효율을 높였고 일반중온 혐기소화온도보다 약간 높은 $38^{\circ}C$로 운전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교반방식인 가스교반, 기계교반, 이 둘은 병행한 교반이 아닌 독자적인 방법을 이용, 소화조 내의 슬러지가 정체되어 교반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 하였다. 이때 미생물이 투입되기 힘든 소화조 아래 쪽 으로도 고루분포 되어 슬러지를 이용 하게 되고 소화조 상하부의 온도차가 $1^{\circ}C$ 이하로 거의 완벽한 교반상태를 보여 줌 으로써 소화효율을 최대한으로 한다. 더욱이 소화일수 부족으로 인한 전반적 소화효율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input과 output 조절을 통한 적정소화일수 20~25일을 최대한 맞추어 운전하여 소화조 설계용량의 평균 90%를 활용하고 있다.

  • PDF

THE EFFECT OF CONSISTENCY OF SEALER ON CANAL OBTURATION IN INJECTION-THERMOPLASTICIZED GUlTA-PERCHA METHOD (연화(軟化) Gutta-percha 충전법(充塡法)에서 Sealer의 조도(稠度)가 근관폐쇄(根管閉鎖)에 미치는 영향(影響))

  • Lee, Young-H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14 no.2
    • /
    • pp.38-48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consistency of root canal sealer needed in obtaining an efficient canal obturation in injection-thermoplasticized low-temperature ($70^{\circ}C$) gutta-percha method. The sealer was made by incorporating zinc oxide powder into $0.5m{\ell}$ of eugenol and then the $0.5m{\ell}$ of mixture slurry was placed between two flat glass plates. The consistenc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spread of the slurry at loading the 120gm of weight from the top plate. The sealer was prepared according to P/L ratio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consistency of 65.45mm, 46.80mm, 28.95mm and 22.60mm. The distal roots were obtained by cutting off from 125 extracted human lower molars and the root canals were prepared by using step-back method. The prepared canals were coated with the sealers on their walls and obturated by using the injection-thermoplasticized low-temperature ($70^{\circ}C$) gutta-percha method. All specimens were immersed in 2% methylene blue dye solution for 48 hours at $37^{\circ}C$. Calipers was used to measured the dye penetration into the root canals from apical constric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canals obturated without sealer showed significantly more leakage than the canals obturated with sealer. Within the consistency from 65.45mm to 22.60mm, the sealer of 65.45mm appear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28.95mm and 22.60mm in the canals obturated by injection-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method, and better than that of 46.80mm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 PDF

Flowering Response to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in Perilla (광강도와 야간조명에 따른 들깨의 개화 반응)

  • Oh, Myung-Kyu;Yu, Sug-Jong;Kim, Jong-Tae;Oh, Youn-Sup;Cheong, Young-Keun;Jang, Young-Sun;Park, Inn-Jin;Park, Keun-Yo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5
    • /
    • pp.543-547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on leaf production in perilla. Using two cultivars ; og-dong and Yeup-sil. The pres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for prolongation of vegetative growth by flowering inhibition in the National Honam Crop Experiment Station, R. D. A, Iri,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es, varietal differences of days to flower initiation were not significant by the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however differences of days to flower initiation light intensity or night interruption treatment were higly significant. Flowering of perilla was prolongated in high light intensity and in long night interruption. Between the factors treated flowering of perilla was more influenced by light intensity than night interruption. Days to flower initiation of perilla were light intensity(0.5∼1 Lux) in 30 mins night interruption, however 3∼10 light intensity in 60 mins night interruption and 30∼100 Lux light intensity in 10, 30, 60 mins night interruption treatment were not flowering. Plant he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of perilla were the highest in 30∼100 Lux light intensity treatment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The results would be avaliable establish year-round production methods for low cost of perilla leaf.

  • PDF

An Analysis of Fully Developed Turbulent Heat Transfer and Flow in an Annulus with the Square-Ribbed Roughness on Both Walls (양측벽면에 사각돌출형 거칠기가 있는 이중관내의 난류유동과 열전달 해석)

  • 안수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7 no.3
    • /
    • pp.33-41
    • /
    • 1993
  • 양벽면 모두 사각돌출형조도요소가 설치된 동심 이중관내에서 생기는 비대칭 난류유동과 열전달 특성을, 열전달과 마찰계수에 미치는 조도의 합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이론해석에서는 한쪽면에 거칠기가 있는 평행평판의 유동에 대한 수정 플란틀 혼합길이(mixing length)이론의 난류 모델을 속도분포와 마찰계수를 구하는데 사용하였다. 최대속도지점에서 안쪽과 바깥쪽의 두 속도형상들은 힘의 평형에 의해 일치시켰다. 그리고 나서, 온도 분포와 열전달 계수를 계산하였다. 속도형성과 마찰계수들의 해석결과는 실험과 매우 잘 일치하였다. 마찰계수와 Nusselt number에 미치는 조도비, 조도에 대한 피치비, 그리고 반경비등과 같은 여러 변수들의 효과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일정의 조도 요소들이 전체적 효율 측면에서 볼때 유리하게 열전달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PDF

Equation on Vertical and Streamwise Profile of Secondary Flow (2차류의 연직 및 흐름방향 분포식)

  • Baek, Kyong-Oh;Seo, I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30-435
    • /
    • 2006
  • 사행수로에서 만곡양상에 따라 변화하는 2차류의 연직 및 흐름방향 분포를 이론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Odgaard (1986) 및 Chang (1988)의 제안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론식을 유도하였다. 개발된 이론식은 2차류의 횡방향 유속을 주 흐름 및 연직방향의 함수로 표현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실에 사행도가 각기 다른 두 개의 사행수로를 제작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실험결과를 제안된 이론식 및 기존 식과 비교해 보면, 제안된 식은 실측치에 잘 일치하는 반면 기존 식은 과대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제안된 이론식을 통해 수리량이 변화는 경우 2차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해 본 결과, 사행도, 조도, 하폭 대 수심비가 클수록 2차류는 증가하였다. 또한 조도 및 하폭 대 수심비의 변화에 따라 2차류의 흐름방향 분포가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 PDF

Experiments on the Characteristic of Storage Tank in In-Water Harvest-Type Ice Storage System (수중 하베스트형 빙축열시스템의 축열조 특성 실험)

  • 최인수;김재돌;윤정인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66-371
    • /
    • 2000
  • 본 연구는 동적형 빙축열시스템에 있어서 증발판이 축열조 상부에 설치되어 생성된 얼음을 주기적으로 분리, 이탈시켜 하부에 설치된 축열조에 저장하는 기존의 하베스트형 빙축열시스템과는 반대로 축열조 내에 증발판을 설치하여 수중에서 얼음을 생성시키고 분리시켜 부럭에 의해 얼음을 띄워 저장하는 새로운 방식의 수중 하베스트형 빙축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본 방식은 축열조 내에 증발판이 설치되어 제빙과 탈빙이 이루어짐으로서 기존 시스템에 설치되는 순환펌프나 순환수 분배기 및 배관 등의 설비가 불필요하고, 또한 조내 물과 증발판이 직접접촉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공기 중에서의 열교환 방식보다 전열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수중 빙제조 방식에있어 빙 제조시와 방냉시 축열조의 열특성을 실험적으로 밝혀 시스템 최적화 및 성능 향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