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3자 물류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8초

제18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The 18th Korea Pallet & Container Awards)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344호
    • /
    • pp.92-95
    • /
    • 2021
  •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회장 서병륜, 이하 KPCA)는 11월 1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18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KPCA가 주최하고, KPCA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 주관하며, 산업통산자원부, 국토교통부, 국가표준기술원, 물류신문사 등이 후원한 이번 시상식은 '제8회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와 함께 열렸다. 이번 시상식은 지난해에 이어 무관객(행사 주최 및 발표자와 수상자만 참여) 방식으로 열렸다. 동시에 유튜브 실시간 방송을 진행해 온라인으로 생중계되었다.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은 우리나라 산업물류의 혁신을 위해 표준파렛트와 표준컨테이너의 생산 및 사용에 있어 가장 모범이 되는 우수한 업체와 그러한 활동에 헌신한 개인 또는 단체를 발굴, 포상함으로써 유닛로드시스템의 보급 및 확산을 촉진해 우리나라 산업물류 효율화에 기여하고자 주는 상이다. 올해 시상식에서는 산업통산자원부장관 표창 3명, 국가기술표준원장 표창 3명, 한국파렛트컨테이너 협회장 표창 5명 등 총 11명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다음에 제18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수상자들의 공적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제17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17th Korea Pallet & Container Awards)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332호
    • /
    • pp.98-101
    • /
    • 2020
  •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회장 서병륜, 이하 KPCA)는 11월 1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17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KPCA가 주최하고, KPCA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 주관하며, 산업통산자원부, 국토교통부, 국가표준기술원, 물류신문사 등이 후원한 이번 시상식은 '제7회 글로벌 유닛로드시스템 창의성 공모전', '유닛로드시스템 컨퍼런스'와 함께 열렸다. 이번 시상식은 최근 코로나19 팬더믹으로 무관객(행사 주최 및 발표자와 수상자만 참여) 방식으로 열렸다. 동시에 유튜브 실시간 방송을 진행해 온라인으로 생중계 되었다.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은 우리나라 산업물류의 혁신을 위해 표준파렛트와 표준컨테이너의 생산 및 사용에 있어 가장 모범이 되는 우수한 업체와 그러한 활동에 헌신한 개인 또는 단체를 발굴, 포상함으로써 유닛로드시스템의 보급 및 확산을 촉진해 우리나라 산업물류 효율화에 기여하고자 주는 상이다. 올해 시상식에서는 산업통산자원부 장관 표창 3명, 국가기술표준원 원장 표창 3명, 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장 표창 5명 등 총 11명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다음에 제17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 수상자들의 공적사항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FTA를 활용한 서비스무역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enhancing strategy of Korean service trade through FTA - Focus on the logistics industry -)

  • 손승표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1-167
    • /
    • 2016
  • 서비스 산업은 상당한 수준의 전문기술 및 관련 지식 집약과 아울러 산업간 융합을 요하는 특성의 산업으로 창의적인 인적자원의 숙련된 경험과 상당한 시간동안 축적된 전문 지식의 활용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특성상, 우리나라 창조경제의 구현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산업의 이러한 산업적 특성 및 경제적 이점은 FTA를 필두로 하는 현재의 국제무역 통상질서에서도 큰 영향을 끼친다. 서비스 무역은 서비스 수출국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주도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한편, 서비스 수입국 측면에서도 자국 내 미약한 서비스산업에 대한 보완과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긍정적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TA 국제무역질서 하에서의 FTA와 서비스 무역 간의 관계를 명확히 조명하고, FTA를 활용한 서비스 무역의 활성화 방안을 물류산업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이에 더하여 3자 물류의 기능, 나아가 컨설팅과 ICT 기능이 결합된 형태의 4자 물류기능을, 4차 산업혁명 주도 경제 활성화 주도를 위한 촉매 개념으로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국내 물류기업의 내부적인 물류 서비스 전반에 대한 경쟁력 제고 노력이 선행되는 상황에서 범정부 차원의 국내 물류기업의 해외진출 등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지원, 관련 법 제도 정비, 서비스 산업의 DB화, 각종제도 지원 강화 등 정부부처간 통합 지원책이 실행된다면,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FTA 활용 국내외 서비스 무역 활성화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견인해 낼 수 있으리라 판단되어진다.

  • PDF

의약품 콜드체인 3자 물류업체의 선정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election Factors of the Cold Chain Third Party Logistics Companies on Satisfaction)

  • 선일석;안성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6
    • /
    • 2018
  • 고령화 사회 및 4차 산업혁명 이슈로 인하여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의약품 산업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바이오의약품 물류도 동반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의약품 유통구조는 선진국에 비해 낙후되어 있으며, 바이오 의약품취급에 대한 물류 규정이 엄격해지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바이오 의약품 물류에 대한 철저한 관리의 필요성과 더불어 기업이 경영환경이 치열해 지면서 의약품 콜드체인 3자 물류업체의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 콜드체인 3자 물류업체의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선택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여 중요한 선택요인을 파악하였다. 콜드체인 3자 물류 선정요인이 콜드체인 3자 물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 전문성과 시설 및 연계성이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경영능력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의약품 콜드체인 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의 물류특성과 물류관리유형의 적합성에 따른 물류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Corporate Logistics Characteristics, Logistics Management Type and Logistics Performance)

  • 김태형;김용표;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1-112
    • /
    • 2011
  • 최근 물류를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물류관리의 한 형태로 제3자 물류가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물류의 이러한 추세 속에서도 물류를 아웃소싱하지 않고 자사가 직접 물류활동을 수행하면서, 그에 못지않게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물류를 수행하는 기업도 적지 않다. 이를 상황적합이론 관점에서 보면, 기업이 처한 물류 환경 및 특성에 따라 적합한 물류관리 유형은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적합관계에 따라 물류성과도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기업의 물류특성과 물류관리유형 간의 적합관계와 이들의 적합관계에 따른 물류성과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물류업무의 중요성과 물류업무 비중 및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제3자 물류가 적합관계를 이루며, 물류비 비중이 높을수록 자사물류가 적합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의 물류특성과 물류관리 유형간의 적합관계를 이루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물류비용 절감효과와 물류운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과의 협력을 통한 지역적 택배서비스망 구축

  • 김동규;윤의식;조중현;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379-384
    • /
    • 2006
  • 공급사슬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객의 수요가 다양해지면서 공급사슬에서의 물류기능은 점점 중요시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생산자는 전체 물류의 60% 이상을 제 3자 물류 업체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택배 시스템은 자신의 서비스 능력과 상호보완관계에 있는 여타 서비스 제공업체와 연계하여 공급사슬 효율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한데 공급사슬 전체에 대한 물류서비스를 여러 업체로부터 개별적으로 외부 위탁하는 경우보다 한 번의 계약으로 통합된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협력택배시스템의 추진이 필요하고 있다. 타사에의 정보 누출을 꺼려 아직은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나 보다 효율적이고 저렴한 물류비용을 위해서는 앞으로 제조업과의 다 자간 전략적 제휴는 필수적인 상황으로 전개될 것이다. 이에 현 3PL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제조업과의 협력 방안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 PDF

국내 화주의 국제물류주선기업 선정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for Korean Shippers)

  • 박병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09-225
    • /
    • 2015
  • 국제물류주선기업은 국제무역에서 국제운송을 연결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제물류기관이다. 우리나라의 국제물류주선기업은 대개 영세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 국제물류주선기업이 세계적인 제3자 물류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화주들이 어떠한 기준에 의해 국제물류주선기업을 선택하는지의 확인을 통해 국제물류주선기업의 발전전략을 구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활용하여 PLS-SEM방식의 고차요인분석모형을 구성하고 SmartPLS 프로그램으로 각 요인별 중요도와 유의성을 확인하여 국제물류주선기업 선정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화주들은 주로 신뢰성과 서비스다양성을 기준으로 자신들의 국제물류활동을 대행해줄 국제물류주선기업을 선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제물류주선기업들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화주들에의 신뢰와 서비스다양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제3자물류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ways of activating 3PL)

  • 이충규;김준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5-90
    • /
    • 2002
  • Despit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the 3PL has not been activated to date. Among many views, customers claim that logistics service provider(LSP) are not prepared or capable of offering satisfactory 3PL services, while LSP emphasize the lack of mutual trust, closed corporate culture of the customer and excessive demand for reducing the costs. With this keeping in mind, it surveyed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users and providers of 3PL services in terms of the actual status of using 3PL servic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key factors for selecting 3PL provider through the questionnaire. As shown in this study, 43.3% of the respondents outsourced logistics services. However, Most company outsourced only inland transportation (49.5%) which is a simple and limited scope of 3PL services, but it also indicated that the percentage of users have ranged was less then 10% in outsourcing their whole logistics sector to 3PL provider and employing other logistics functions. Among respondents, a majority of the service provider stated that they offered satisfactory cost-saving to the customers, while users felt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using 3PL services was evaluated as at an average level and they more highly regarded the strong partnership of their 3PL provider rather than the saving of cost and improvement of customer's services. Moreover, in contrast to the 3PL providers which regar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ecting 3PL service provider is the logistics cost quoted, users of 3PL services felt that the quality of service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e reduction of cost, and this tendency for selecting 3PL providers was shown in more advanced countries. While users of 3PL services indicated that the main reason for not using 3PL services was to avoid disclosing information of their business and it costs much for employing 3PL providers than doing themselves, 3PL providers thought it was due to reluctancy of opening information and resistance from the logistics division engaged in logistics activities concerned. Accordingly, providers and users of 3PL services should trust each other and prepare plan to activate 3PL services under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s soon as possible.

  • PDF

화주 중심의 능동적인 공급망 위험관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설계 (A Framework Design of an Active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Shippers)

  • 송병준;안혜정;이종태;이종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8A권4호
    • /
    • pp.151-158
    • /
    • 2011
  •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은 비용 절감과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 물류 관리 기법들을 도입하여 왔으나, 물류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서 적절한 물품을 빠르고(Speedy), 안전하고(Safely), 확실하고(Surely), 저렴하게(low) 고객에게 제공하는 물류 관리의 기본적인 3S 1L 원칙의 균형이 물류 실행 중에 지켜지지 않아서 기업에 위해를 입히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물류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위험 대처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3자 물류 형태에서 공급망 위험관리의 주요 의사결정자인 화주의 지속적인 물류 정보 수집과 물류업체와의 정보 교류가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의 위험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화주의 요구, 긴급한 위험 상황에서 신속한 위험 인지와 대응을 하기에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위험관리 연구를 고찰하여 위험 요인을 정리하고 능동적 공급망 위험관리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시스템과의 대응 활동을 비교한 안정성 검사를 통해 효율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