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2 언어 교수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roposing a Korea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ol using paraphrasing in learning (의역학습법을 사용한 한국어 교수법 및 평가도구 제안)

  • Kwon, Yonghae;Choi, Jungyoon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8 no.2
    • /
    • pp.265-289
    • /
    • 2017
  •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해당 외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평가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중요성을 가진다. 교실에서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함양하고 평가하기 위해 어떠한 연습문제나 시험 혹은 평가방법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보통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무엇을 가르치고 기대하며 평가하느냐에 따라 자신들의 학습방법을 맞춰 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유연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고양시키며 다양한 언어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법의 하나로 알려진 paraphrasing을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paraphrasing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글 바꿔 쓰기 혹은 말 바꿔 말하기로 활용되기도 하나, 본 소논문에서는 paraphrasing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현장에서 활용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의역을 통한 학습 혹은 의역학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실제로 paraphrasing은 언어 및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실제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한 연구들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의역학습법을 학습현장에서 도입했을 때 경험한 여러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사용된 예시들을 소개하고,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paraphrasing을 사용한 새로운 한국어 교수방법과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paraphrasing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언어학습 도구로서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on L2 Learners' Grammatical Achievement: Focusing on the Deductive and Inductive FFI (형태 초점 교수법이 제2 언어학습자의 문법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중심으로)

  • Hwang, Hee-J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9
    • /
    • pp.307-31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deductive FFI and inductive FFI in L2 learners' grammatical achievement and their reaction to the grammar instruction. 84 students were placed into three groups: 29 given deductive FFI(DG), 28 receiving inductive FFI(IG), and 27 with traditional instruction(CG). All students completed pre/post tests and questionnaires, and took a delayed post test 9 weeks after the treatment. For statistical anlayses of all the quantitative data, a one-way ANOVA, paired samples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FFI affected learners' grammatical achievement and their achievement was sustained over time. Deductive FFI was more effective than inductive FFI, whereas the IG students more positively changed their attitudes and perceptions to the grammar instruction. Thes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FFI should be valued in an Korean EFL classroom, which would contribute to further longitudinal research for its sustainability.

Design and Impelmentation of a User-Centered Web-Based Learning Systemof French Inflectional Forms (사용자를 고려한 웹기반 불어 굴절 규칙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윤애선;김기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43-149
    • /
    • 2000
  • 본고에서는 불어 자동처리 연구의 기초이면서, 불어 초·중급 학습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여겨지는 불어 굴절 변화형의 분석 및 생성 교육 시스템 Inflection-edu를 소개한다. inflection-edu는 부산대학교 언어 정보 연구실에서 개발한 불어 형태소 분석-생성기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동사 8,249개, 명사 29,059개, 형용사 9,957개와 그 굴절 변화형을 모두 분석 및 생성할 수 있으며, 학습자를 위한 굴절 규칙 231개를 포함한다. 제 2 장에는 분석과 생성을 위한 모델화(modelling) 방법론을 제시하고, 제 3 장에서는 이 결과를 불어 교육 시스템에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제 4 장에서는 Inflection-edu의 인터페이스를 소개한다. 제 5 장에서는 남은 문제와 향후 응용 방향을 알아본다. 형태소 분석기와 생성기능이 교육 시스템에 통합된 Inflection-edu는 70년대 개발된 프로그램과 같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교수-학습 작업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학습자의 요구에 정확하고 빠르게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좀 더 큰 단위의 분석 및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좀 더 지능적인 언어 교육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그 개발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Using Film Music for Second Language, Target Culture, and Ethics Education: With Reference to the OST of The Lion King (제 2언어, 문화 및 윤리 교육 자료로서의 영화 음악 활용: 라이온 킹 OST를 중심으로)

  • Kim, Hye-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5
    • /
    • pp.509-519
    • /
    • 2017
  • This study addresses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film music as learning material for language, target culture, and ethics education. Music is intertwined with language and culture, and even with eth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tential power of film music in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 classroom. For this purpose, five songs are selected from the soundtrack of Disney's famous animation The Lion King: "Circle of life", "I just can't wait to be king", "Be prepared", "Hakuna Matata", and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and concrete learning activit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Using these five songs, gap-filling and singing-recoding tasks are proposed as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respectively. Film music is also very useful in learning vocabulary, sentence structure, and grammar. Learners participate in a writing activity involving creating their own lyrics for the tunes reflecting their experiences. Next, for culture education, a teacher asks their students to discuss about, and be aware of, food culture using a specific character's song. Finally, for ethics education, a philosophy of life, natural logic, leadership qualities, and the motto Hakuna Matata("no worries") are explored and discuss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lyrics. The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The result shows that music has a positive effect on culture and ethics education. Film music can be effective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target culture, and ethics.

Learners' Perceptions on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in L2 College Composition Classes (제2언어 학습자들의 읽기-쓰기 통합에 대한 인식: 대학영작문반)

  • Kim, Sun-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8 no.3
    • /
    • pp.255-284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ESL college learners' perceptions on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in the context of the reading-to-write composition classroom. Using the panel survey (N=60) that repeatedly measured the same set of individuals at three different times during a semest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udents' perceptions on reading-writing integrations were reshaped over the course of classroom practices. The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to assess the perception scores from less integrative continua to more integrative continua on a 5-point Likert scale. A two-factor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to evaluate mean differences across the perception groups and over the three treatment times. The results do not demonstrate a significant treatment effect, suggesting that L2 learners' integrative perceptions were stable over the course of the semester. The dynamics in the perception changes differed widely across the perception groups. This result provides insights into understanding students' reading-writing practices and thus into instructional practices applicable to the classrooms. The present study argues for 12 learners' perceptions on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as a key construct to understand their literacy practices involved in the composing process.

  • PDF

A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 of Business Chinese Speaking by Using the Method of Storytelling and Role-play - Focused on Chinese Drama - (스토리텔링과 롤 플레이 기법을 통한 비즈니스 중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탐색 - 드라마를 중심으로 -)

  • Li, Xiaohui;Li, Zhangpei;Park, Changun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9 no.5
    • /
    • pp.273-280
    • /
    • 2019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hinese drama and present a concrete and feasible Chinese speaking teaching-learning programme targeted at intermediate level Chinese learners through storytelling and role-play. There is some advice for Chinese speaking teaching-learning by using Chinese dramas. Firstly, applying various techniques actively such as storytelling and role play, not only could it help to correct Chinese speaking pronunciation, but it could also help students to make up and express their ideas as free as possible. Secondly, it's necessary to accord with the teaching objectives of Chinese speaking, students' actual level and requirements to select Chinese dramas as Chinese speak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irdly, it's noteworthy that teachers should select Chinese dramas with various genres or theme according to social development to promote the fun of class and maximize the educational value of Chinese dramas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alysis of Changes in Expression of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ie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007 Curriculum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 Do, Jonghoon;Park, Ji Hyu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3 no.4
    • /
    • pp.491-503
    • /
    • 2013
  • In this paper we analyse how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ies have been change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007 curriculum. For this we survey the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ies which have been used since the syllabus period on the 2007 curriculum basis, analyse changes in expression of those, and look through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terminologies for each curriculum period.

  • PDF

Research on Form-focused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ritical Review (한국어교육에서의 형태초점교수법 연구: 비판적 검토)

  • Choi, Sunhee;Kim, Dae-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2
    • /
    • pp.269-27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mpirical research on Form-focused instruction (FFI)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FFI. To achieve this goal, several databases were searched to locate relevant experimental and quasi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Out of 66 studies collected, 12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studies were then analyzed in terms of subjects, target grammar, treatment, measurement, and the learning outcomes of different techniques. In general, several types of FFI techniques had positive effects on helping learners acquire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which identifie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FFI. The results will also be able to inform future meta-analytical research of existing studies.

An Analysis of Korean Domestic Research Trend in English Education and Bi- lingualism of Young Children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영어교육/이중언어발달 관련 논문분석)

  • Ahn, Eun Suk;Kim, Yeon Ha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5 no.1
    • /
    • pp.81-101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37 studies about bi-lingulism and English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published in 8 academic jour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child development fields. Research topics, participants, methods, and variables in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and descriptively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hich had been statistically investigated were also summarize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topics were children's development and English education program exposure, actual conditions of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settings and effectiveness of specific English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However, children's home characteristics were seldom included as research variables and no research investigated so called English preschools. Several studies reported that bi-lingual children may have different language development paths from mono-lingual children but they eventually have comparable language abilities to mono-lingual children. Also some studies reported that, when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school settings, older children can handle more information regarding English than younger children, resulting in better outcomes of older children. Exposure to two languages in early childhood seems to contribute to young children's meta linguistic awareness but the long term effect of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further studied. Sev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 settings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were investigated. Even though most of them reported that their programs were effective to children's English ability or interests, the results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because their research designs and methods were not rigorous.

  • PDF

Sprachtypologische Fehleranalyse - Im Vergleich der deutschen und koreanischen Sprache - (독일어와 한국어를 비교한 언어 유형적 분석)

  • Park Jin-Gil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7
    • /
    • pp.1-24
    • /
    • 2003
  • 우리는 지금까지 독일어와 한국어 두 언어간의 오류분석을 논의해 왔다. 특히 언어유형학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오류유형과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독일어와 한국어가 서로 근본적으로 상반되는 언어현상과 더불어 약간의 공통성을 나타내며 일정한 유형을 나타낸다. 이는 두로 인간의 언어습득장치에 기인된 언어습득의 결정주의(Determinismus)에서 비롯될 것이다. 언어특성/문제의 체계성/규칙성 또는 일관성은 이를 반영한다. 거대한 언어자료 중에 극히 미미한 일부, 즉 언어최소량를 정복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연구 이용하는 경우에는 엄청난 효과와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 독일어와 한국어의 학습 및 오류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언어유형학적으로 드러난 언어특성, 즉 전치성(독일어/영어)과 후치성(한국어)이다. 이를 토대로 형성된 대립적인 면과 공통적인 문제를 체계화하는 것이 역시 오류분석 문제의 관건이다. 또한 독일어가 아직 후치성 언어(한국어(TXV))에서 출발해서 전치성 언어(영어(SVX))로 발전/변화해 가는 과정, 즉 중간단계인 TVX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그들의 대극성과 유사성을 연결하는 실마리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일치(Kongruenz)/상관(Korrelation) 및 반복(Wiederholung) 현상, 그리고 격변화와 인칭변화 현상은 어순문제와 더불어 형태론적 문제를 통해 문법적인 확인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대부분 체계적/구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학습자는 흔히 같은 유형에서 반복적으로 오류를 범하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언어 유형학적 오류분석을 이해하고 또한 이를 통해 오류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3) 명사가 한정사구 안에서 성/수/격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동사가 동사구에서 주어의 인칭/수에 따라 인칭변화 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현상이다. 이는 양면적인 수식구조에 대한 확인수단 및 원자가에 의한 강력한 형식위주 언어인 독일어와 전위적인 단일 수식구조와 부정형 동사를 특성으로 형성된 핵/최소문 언어간의 필연적인 적응관계 및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유형 역시 언어특성에 따라 도식화/공식화 할 수 있다. (4) 괄호현상, 즉 으뜸머리(Hauptkopf)가 버금머리(Nebenkopf)와 분리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언어현상이다. 한국어에는 머리의 이동이 없기 때문이다. 긴 구문에서 버금머리를 잊어버리거나 실수하는 것은 모든 괄호구문에서 예견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는 정치성과 후치성 언어간의 전이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으뜸머리가 원래의 자리를 박차고 소속 구/문의 앞자리로 도약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5) 전치 및 후치 수식이 유동적으로 작용하는 독일어는 전치 수식만으로 고정된 한국어보다 복잡하지만 균형적인 언어구조이다. 이러한 수식구조에서 한국인은 흔히 형태 및 어순에서, 그리고 번역에서 오류를 범하고 만다. (6)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아는 것을 제대로 이용하는 문제이다. 모국어/L2를 자유로이 말하고 쓸 때까지, 즉 언어습득에는 일체이 문법이나 도표/도식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17세기 서구의 이성주의 철학자들의 한결같은 경고이다. 오늘날 초고속 과학문명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한 언어 속에 들어있는 문법체계를 익혀 가는 것이 곧 언어습득 과정이지만, 이를 달성하는 가능성 내지 첩경은 실제적인 언어자료와 체험이지 결코 문법이나 추상적인 개념적 접근이 아님을 웅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핵심적인 문제는 모국어교육에서도 최대 장점인 대화를 통한 언어연습/대화 기회를 최대한 보장하는 데 있다. 또한 언어간섭 현상을 조장하는 분위기를 막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수법 개발이 외국어/L2 성공의 관건일 것이다. (7) 언어학습에서 오류를 극복하는 데는 일차적인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 대화적인 연습, 그리고 효과적인 언어자료 접촉, 즉 독서와 모방이 중요하다. 이차적이고 직접적인 것은 통사(Syntax) 및 형태론(Morphologie)를 익힐 수 있는 말/문을 끊임없이 익히는 일이다. 이것이 또한 언어최소량을 충족시켜 언어습득에 이르는 첩경이다. 자연 생태적인 모국어 학습 또는 조정 및 제도적인 언어학습에서도 실제상황에 어긋나는 문법적인 체계에 얽매이는 도식 및 도표 위주의 텟스트는 일시적인 기대일 뿐이다. 인간의 언어습득장치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문법적인 개념위주 접근은 상당한 설명이 필요해서 절박한 자료와 체험까지 앗아가기 마련이다. 더구나 이를 위해 수준을 무시하고 모국어로 일관하여 벙어리와 문맹을 자초하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다. 지식 정보화 시대 및 세계화 시대에는 무엇보다도 교육 및 언어정책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다. 특히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학습능력과 학습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에게 말하고 쓰는 기본 능력을 보장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한 작업의 하나가 바로 언어간의 오류분석일 것이다. 언어의 습득과 활용이 체계적이듯이 오류분석 역시 상당히 체계적이다. 그래서 인간의 언어습득과 언어습득장치를 두고 결정론(Determinismus)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언어습득의 3대 요소, 즉 언어습득장치를 구비한 인간으로 태어나고, 해당 언어를 통한 일관된 언어체험/학습으로 언어최소량을 충족해야 한 언어를 정복할 수 있다는 것은 결정적인 사실이다. 학생고객에게 다가서는 책임교육으로 교육개방에 대비하는 일 역시 시대적인 상황이요 또한 결정적인 단계임엔 틀림이 없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