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품차원

검색결과 789건 처리시간 0.027초

제품디자인에서의 조형정보의 데이터화를 위한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datamation of product forms)

  • 이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89-97
    • /
    • 1997
  • 제품디자이너는 2차원과 3차원의 조형정보를 공유하고 있지만, 최근 3차원 조형정보에 대한 중요성의 대두와 개발환경의 변화로 3차원 형상정보의 시각적인 확인에서 조형적인 실물 확인과 데이터화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CAD에 의한 3차원 모델 링 정보와 수 작업에 의한 MOCK-UP 정보에 대하여 가공 TOOLS과 REVERSE DESIGN TOOLS를 이용한 효율적인 제품 디자인 조형정보의 데이터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쾌속조형기를 이용한 방향기의 개발 (Development of Aroma Diffuser Using Rapid Prototyping System)

  • 주영철;이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63-265
    • /
    • 2002
  • 제품 개발 초기부터 3차원 CAD를 이용하여 설계를 하고 쾌속조형기를 이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품의 성능시험을 하는 새로운 개발공정을 제시하였다. 이 공정을 방향기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시작금형을 이용한 공정보다 제품의 개발기간과 개발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설계단계부터 3차원 CAD를 이용함으로써 제품개발의 시행착오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섬유제품 수요 경향 (Consumer need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n Clothing based on Digital Fashion System)

  • 조하경;김은경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12
  •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대량 맞춤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 및 디지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는 최근 의류 분야에서 주요한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량 맞춤화 의류 제품의 수요는 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최근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인터넷 맞춤서비스를 기반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CAD 등의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하여 디자인, 패턴제작, 재단 등의 자동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을 통해 3차원 바디 스캔,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3차원 Simulation, DID, DTP, 맞춤주문형 제품의 대량 생산기술 등의 단위 기술이 기업단위로 활용되는 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가상쇼핑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섬유패션 산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 전체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 공정을 단축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날염 방식으로, 대량 맞춤형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 중 하나의 단계로 소비자의 수요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대량 맞춤형 의류 제품에 있어 소비자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대량맞춤형 섬유제품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적용 섬유제품에 대한 기초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기초 소비자 태도를 반영하여,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의류 제품의 선호도, 인지도, 수요도 및 구입의향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 적용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의류 제품의 수요 경향을 제시하였다.

  • PDF

전형성 결정요인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Typicality and Preference according to Determinants of Typicality)

  • 나광진;양종열;홍정표;이유리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87-9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목적부합속성을 충족하도록 제품이 디자인 된 정도와 외형적 디자인의 물리적 속성 유사정도가 제품 디자인의 전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를 전형성의 목적부합속성에 의한 차원과 물리적 속성의 유사정도에 의한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에서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형성 판단정도는 그 제품의 디자인이 그 제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부합속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될수록 디자인의 전형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의 외형적인 디자인 공통속성이 많을수록 그 제품의 디자인이 전형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전형성 결정요인의 각 차원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결과, 목적부합속성을 많이 충족시키는 디자인일수록 소비자는 선호하게 된다고 할 수 있으나, 그 외형적인 디자인이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 유사한 정도가 중간정도일 때 가장 선호되며, 아주 비슷하지 않거나 매우 비슷한 경우에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C 관점에서 국내 TV광고의 내용분석 -제품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ing the Application of IMC in Korean Television Advertising across Product Type)

  • 강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16-125
    • /
    • 2012
  • 본 연구는 광고차원에서 국내 TV광고에 사용된 IMC 정도를 파악하고, 제품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Nowak와 Phelps(1994)의 IMC 모델을 채택하여 총 411편의 TV광고를 내용 분석한 결과, 통합광고의 비중은 44.6%(183편)로 인쇄매체 광고를 대상으로 한 기존연구의 결과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제품유형에 따른 차이에서는 서비스광고(56.8%)가 상품광고(44.2%)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내 기존의 연구에서 상품광고가 서비스광고에 비해 통합의 정도가 높다는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해외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제품유형에서 통합의 유형은 이미지지향의 브랜드광고와 행동지향의 직접반응 수단을 채택하고 있는 가장 낮은 차원이었다. 본 차원에서는 서비스광고(92.2%)가 제품광고(88.9%)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의 통합유형에서는 제품광고(11.1%)가 서비스광고(7.8%)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주로 사용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브랜드광고와 직접반응, 판매촉진의 순으로 나타났다. TV매체의 제품광고 내 PR 수단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 통합의 가장 높은 차원인 4개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동시에 사용된 광고는 전무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주에게 현재 자사 TV광고에 나타난 IMC 차원을 확대하기 위한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자사 광고에 보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도입가능성과 광고의 혼잡도를 극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TV광고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국가이미지가 독일시장 내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독일 4개 시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erman Market of Korean Image Influence in Purchasing Decision - Focusing on 4 Markets in Germany -)

  • 한수진;김병구;이춘수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251-274
    • /
    • 2008
  • 본 연구는 해외 유수 다국적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EU국가 중 가장 크고 진출이 어렵다는 독일을 대상으로 한국제품의 경쟁력 평가를 실증분석 하였다. 특히 제품평가에 미치는 요인으로 국가차원, 기업차원의 다양한 이미지와 소비자의 구매경험 그리고 원산지 확인 유무 등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에서 국가차원의 한국경제이미지, 한국일반이미지는 한국제품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일 소비자가 한국을 경제적 측면과 정치, 사회문화 등의 일반 이미지에 있어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이것이 제품평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후광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브랜드 구매경험과 한국에 대한 지식 여부가 독일 소비자의 한국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또한 분석하였다. 독일에서의 제품 경쟁력 평가에 있어는 국가차원의 경쟁력과 이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실증결과는 국가차원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뿐만이 아니라 정치적, 문화적으로 선진화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E/F(INNET)을 이용한 Mobile Metal Case의 3차원 감성 디자인패턴 개발 (Three-dimensional sensitivity design pattern development of Mobile Metal Case which used EF(INNET))

  • 천상현;지상원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24
    • /
    • 2009
  • Mobile의 기술발달과 보편화에 따라 소비자들은 Mobil이 자기 개성 표현인 액세서리화되고, 더욱 감성적이고 차별화된 디자인을 요구함에 따라, 기업들은 이런 소비자들의 개성화 감성화의 니즈를 표면처리 디자인 기술로 효율적으로 적용해 소비자의 감성만족을 시키려 하고 있다. 국내외 Mobile 시장에서 Metal Case 외장의 2차원적인 디자인패턴은 다양한 표면처리 가공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고, 패턴디자인의 한계에 이르렇다. E/F(INLET)의 도금 가공 기술의 Concept은 "원활한 모재의 제품 박리성" 에 있으나, 역발상으로 "Metal 모재와의 밀착성"으로 제품디자인을 구현하여, 제품의 도금 두께층 및 신뢰성 기술 확보함으로, 표면층에 사진, 그림, 인물 풍경, 자연물이미지 등의 다양한 감성디자인패턴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산업기술자원부의 디자인혁신센터로 중소기업디자인개발 지원을 위해 설립된 중앙대학교 디자인경영센터와 SR I-TECH의 기술력으로 3차원 감성디자인패턴을 개발하게 되었다.

  • PDF

개인적 차이 변수들의 중소기업제품 구매의도 영향에 대한 연구: 품질과 유통의 역할 (The Impa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Purchase Intention for Small Enterprise Products: the Roles of Quality and Channel)

  • 신지용;박성용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4호
    • /
    • pp.75-94
    • /
    • 2011
  • 이 연구는 기존연구를 토대로 인지욕구, 독특성욕구개념이 중소기업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자기조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제품을 구매하지 않으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품질측면에서의 문제점과 유통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문제점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을 때 중소기업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서 개인적 특성변수들의 영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개인적 특성변수들 특히 심리적인 변수들을 이용하여 어떤 중소기업제품군을 구매할 것인가, 가격대비 품질과 어떤 관련성이 존재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인지욕구와 독특성욕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나 대부분은 단일차원을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지욕구와 독특성욕구의 단일차원측면이 아닌 다차원으로 가정하고 이들 차원들이 서로 상이하게 작동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품질과 유통측면에서의 개선 후에 소비자들의 선택에는 인지욕구와 독특성욕구의 하위차원뿐만 아니라 자기조절 초점의 차원인 촉진초점과 방어초점 모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품질과 유통측면에서의 개선이 중소기업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의 일정수준 이상의 기대치를 만족시켜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인적 특성변수들의 군집분석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여주지 못하였던, 인지욕구, 독특성욕구, 자기조절의 하위차원들이 중소기업제품군의 구매의도에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주었고, 가격대비 품질을 강조하면 할수록 중소기업제품군에 대한 구매의도는 줄어드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