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주 연해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8초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의 유전 양성과 후보 유전좌위의 유전적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s of Candidate Loci and Inheritance Ppatterns of Gray Coat Color in Jeju Horses.)

  • 한상현;이종언;김남영;고문석;정하연;이성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93-798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전신성 백모색 발생의 유전 양상과 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모색은 표현형과 MC1R 유전자형 분석 자료의 조합을 근거로 결정한 가라, 유마, 적다 등 모든 기본 모색에서 관찰되었다. 제주마에서는 타 품종들에서 KIT 유전자의 이형 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백색에 대한 잠재적 돌연변이 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STX17 유전자의 intron 6 에서 4.6-kb 중복을 보유한 개체들에서 특이적으로 탈색된 백모색이 관찰되었다. 관찰기록과 STX17 유전자형에 따라 제주마에서 관찰되는 탈색된 백화현상은 총마(점진적 백화증, Gray) 로 확인되었다. 가계도 분석에서 총마 형질은 상동염색체성 우성유전형 질로 나타났으며 상동염색체성 열성형질인 albinism과도 구분되었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이 자마 시기에는 명확하게 발현되는 않으며, 종종 다른 표현형들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총마와 이와 유사한 표현형으로 출생 시부터 혼합 모색을 나타내는 조모색, 상처 치료 후 백화, 백반 유사피부 백색증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마와 유전적 배경의 관계를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제주마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의 기후적 분포 특성 (Climatological Features of Summer Precipitation in Korea)

  • 조하만;최영진;권효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47-256
    • /
    • 1997
  • 1961년 이전에 관측이 시작되어 30년 이상의 관측자료가 있는 기상청의 15개 관측소의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량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수량 기후 평년값을 이용하여 기후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지역별로 연 강수량, 여름철 강수량, 장마기간중 강수량의 연도별 변동을 비교 분석하고 그 상관을 조사하였다. 대체로 우리나라의 경우 연 강수량의 반 이상이 6, 7, 8월의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고, 또 이 여름철 강수량은 장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또 지역별로 여름철 강수량 및 장마가 연 강수량에 미치는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서울을 비롯한 중서부 내륙지방이 장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며 동해안 중북부 지역과 제주도 지역은 상대적으로 장마의 영향이 적고, 국지적인 지형적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의 연도별 변동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연 강수량보다 여름철 강수량과 장마기간중 강수량의 변화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 수자원 문제와 관련하여 연 강수량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름철 강수량의 변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아울러 장마의 특성 즉 몬순에 대한 파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PDF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미기록종, Arnoglossus polyspilus (First Record of the Bothid Flounder Arnoglossus polyspil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김맹진;최찬문;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2-135
    • /
    • 2010
  •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Arnoglossus polyspilus 1개체(표준 체장 229.0 mm)가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종은 꼬리지느러미 상엽과 하엽에 두개의 작은 연조가 있으며, 등지느러미 앞부분의 연조는 약간 연장되었다. 위턱은 전체 길이의 좌측 눈 아래 1/3 앞까지 도달하고, 첫 번째 새궁의 상지에는 1개의 새파를 갖는다. 본 종의 신한국명을 "노랑반점가자미"라고 명명하였다.

한국산 자리돔과 (Pomacentridae) 어류 1미기록종, Abudefduf septemfasciatus (First Record of the Banded Sergeant, Abudefduf septemfasciatus (Perciformes: Pomacentr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권혁준;박진순;김혜선;배한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51
    • /
    • 2016
  • 2015년 8월,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 및 북부 연안 조수웅덩이에서 Abudefduf septemfasciatus 3개체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가슴지느러미 기점 위, 꼬리자루 위 및 2번째와 4번째 등지느러미 극조 사이에 검은 반점이 있고 등지느러미 전방 비늘은 눈의 중앙을 지나며,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는 12~13개, 측선비늘은 20개이다. 본 종은 줄자돔과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수, 꼬리자루 반점 위치 및 등지느러미 반점 위치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일곱줄자돔'을 제안한다.

제주도 거주 노인의 고령친화도시에 관한 인식 조사 - 도시 vs 농촌 - (Seniors Perception on Age-Friendly Aspects in Jeju Island, South Korea - Urban vs Rural -)

  • 황은주;이서연;고승한;브로수아 낸시;비미시 줄리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37-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rban and rural seniors' perceptions on the eight aspect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ge-Friendly Cities (AFC) initiative on Jeju Island, South Korea. Face-to-face interview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97 persons aged 65+ living on Jeju Island. Findings suggested that urban and rural held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s on five aspects of AFC (outdoor space and buildings, housing, civic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community support and health services, and respect and social inclusion). Predictors of overall AFC score for all participants included age and living in a single-family home. Among urban dweller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length of residence predicted AFC score while among rural seniors, predictors of AFC included educational attainment. To make communities more age-friendly, perspectives of older residents should be sought, shared, and reflected in policy and different strategies and priorities should be developed specific to urban and rural areas.

제주도 혼파목초지 식생의 연차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Vegetation Change with Advancing Years of the Improved Pasture in Jeju Island)

  • 조남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3-61
    • /
    • 1979
  • 본 연구는 제주도 개량목초지에서 1971~1978 연까지의 식생의 연차적민 변화과정을 조사한 결과로서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식생은 1~3연초지에서는 Dactylis glomerata / Trifolium repens type, 4연초지에서 Imperata cylindrica / Trifolium repens type, 5~8연초지에서는 Imperata cylindrica / Zoysia japonica type으로 변화하였다. 2. 초장의 변화과정에서 혼파목초들은 1~3연초지까지는 길어지고 있으나(37.9~45.1cm) 그 이후부터 매년 짧아지고 있는 반면 잡초류의 초장은 1연초지 이후부터 현저히 길어지고 있는(30~44.2cm) 경향이었다. 3. 피도에 있어서 혼파목초들은 1 연초지에서 72.4%이던것이 해가 지남에 따라 극히 감소되어 8연초지에서는 0.2%로 나타나는 반면 잡초들은 1연초지 이후부터 현저히 증가되었다. 4. 연수의 경과에 따르는 식생구성률의 변화는 피도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5. 초장 및 피도, 식생구성률에 있어서 해가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증가되는 식물은 Imperata cylindrica, Zoysia japonica, Miscanthus sinensis, Pteridium aquilinum, Crisium japonicum, Artemisia japonica 등이고 Cetella asiatica, Digitaria sanguinalis, Artemisia asiatica 등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6. 혼파목초지에 침범한 잡초유는 1연초지에서 24종이었으나 해가 경과함에 따라 종수가 증가되어 6연초지에서는 60종이었으며 그중 가축의 불식초류가 매년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 PDF

제주 연안에서 출현한 남방제비활치 (국명신칭, 활치과) Platax orbicularis의 유어 (Occurrence of Juvenile Orbicular Batfish, Platax orbicularis (Ephipp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김병직;이영돈;김삼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58
    • /
    • 2006
  • 제주도 동부 및 남부연안의 하구역 또는 포구에서 농어목 활치과에 속하는 Platax orbicularis의 유어 3개체(표준체장 40.7~58.4 mm)를 채집하였다. 본종은 아직 국내에서는 보고되지 않는 한국미기록종으로 체형이 다이아몬드형이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길게 신장되어 각각 5극 35~37연조와 3극 26~27연조로 되어 있다. 본종의 신한국명은 '남방제비활치'라 명명하였다.

한국산 양쥐돔과(농어목) 어류 1미기록종, Naso hexacanthus (First Record of the Sleek Unicornfish, Naso hexacanthus (Acanthuridae, Perciformes) from Korea)

  • 김맹진;김병엽;한송헌;서두옥;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69
    • /
    • 2008
  • 농어목 양쥐돔과(Acanthuridae)에 속하는 Naso hexacanthus 1개체(표준체장 351.1 mm)가 제주 북부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처음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에 갈색 수직 무늬가 있고 미병부에 있는 두개의 골질판은 연한 보라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며, 이 종의 한국명을 "남방표문쥐치"라고 하였다.

한국산 씬벵이과 어류 1미기록종 Antennarius pictus (First Record of the Frogfishes Antennarius pictus (Antennariidae, Lophiiformes)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8-171
    • /
    • 2011
  • 씬벵이과 (Antennariidae)에 속하는 Antennarius picus 2개체가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뒷지느러미 연조가 7개, 가슴지느러미 연조 10개, 등지느러미 연조 127개, 꼬리지느러미 연조 9개를 가지며, 제2등지느러미 가시의 말단은 기부보다 좁고 뒷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어류의 머리, 몸통, 지느러미 부위에 다양한 크기의 검은 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종의 신한국명을 "흑점박씬벵이"로 명명하였다.

한국산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5.한반도 남서해안의 섬들에 살고 있는 등줄쥐들의 형태적 형질 및 염색체의 분석 (Systematic Studies of Korean Rodents. V. Morphometric and Chromosomal Analyses on Island Population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in Southwestern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 Koh, Hung S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1호
    • /
    • pp.1-12
    • /
    • 1989
  • 한국 남서연안및 섬등의 8개지역에서 등줄쥐((Apodemus agraris)의 표본들을 채접하였다. 한반도의 여타지역벚 제주도의 표본틀과 같이 두골벚 외부측청치를 포함하는 형태적형질의 분석과 염색체 핵형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염색체 분석에 있어서 한국내의 표본들간에 핵형상의 차이는 없었다. 형태적 형질의 분석에 있어서 완도및 보걸도에서 채집된 표본들은 제주도의 표본들과 함께 large-size group (큰형)을 형성했다(Apodemus agrarius chejuensis). 반면에 진도빛 하조도의 표본들은 남서 연 안을 포함하는 한반도지 역 에 서 채 집 된 표본등 과 함께 small-size group (작은 형)을 이루였다(A. agrarius comeae). 완도및 보걸도에 큰 형의 등줄쥐플이 현재 서식하고 있는 이유는 전에 살았던 작은 행의 등줄쥐들이 전멸되고, 제주도로 부터 언간에 의해서 이주된 큰 형의 등줄쥐들로 대체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