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matological Features of Summer Precipitation in Korea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의 기후적 분포 특성

  • 조하만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 ;
  • 최영진 (기상청 수치예보과 기상연구관, 연세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연구원) ;
  • 권효정
  • Published : 1997.06.01

Abstract

Some climatological features of summer precipitation in Korea were studyed using the precipitation data of 15 station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here more than 30 years data since 1961 are available. The study included statistical analysis of precipitation by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and comparison of inter-annual variation of annual precipitation, summer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during the Changma.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re also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in Korea, more than half of annual precipitation was concentrated in summer season (June to August), and it was usually influenced by the Changma. The ratio of summer and Changma precipitation to the annual precipitation showed that effect of Changma was bigger in the central inland area, while comparatively smaller in the east coastal area and Cheju Island due to topographical effects. It was also shown that the fluctuation of the annual precipitation was less variable than those of summer and Changma precipitations. Thus, it was suggested that understanding the variation features of summer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monsoon activities was ver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change of annual precipitation for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ning.

1961년 이전에 관측이 시작되어 30년 이상의 관측자료가 있는 기상청의 15개 관측소의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량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수량 기후 평년값을 이용하여 기후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지역별로 연 강수량, 여름철 강수량, 장마기간중 강수량의 연도별 변동을 비교 분석하고 그 상관을 조사하였다. 대체로 우리나라의 경우 연 강수량의 반 이상이 6, 7, 8월의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고, 또 이 여름철 강수량은 장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또 지역별로 여름철 강수량 및 장마가 연 강수량에 미치는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서울을 비롯한 중서부 내륙지방이 장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며 동해안 중북부 지역과 제주도 지역은 상대적으로 장마의 영향이 적고, 국지적인 지형적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의 연도별 변동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연 강수량보다 여름철 강수량과 장마기간중 강수량의 변화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 수자원 문제와 관련하여 연 강수량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름철 강수량의 변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아울러 장마의 특성 즉 몬순에 대한 파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연구보고서, MR 85-4 면적 강수량 산정을 위한 강수관측계에 관한 연구 기상연구소
  2. 한국 기후표 v.Ⅰ 기상청
  3. 한국 기후표 v.Ⅱ 기상청
  4. 장마백서 기상청
  5. 한국기상학회지 v.15 no.2 우리나라 장마기의 강우 특징 조사 김광명
  6. 한국수자원학회지 v.28 no.2 가뭄대비 장단기 대책 김영환
  7. 한국수자원학회지 v.30 no.1 L-Moment 법을 이용한 월강수량 자료의 지역 가뭄 빈도 해석 윤용남;박무종
  8. 한국기상학회지 v.19 no.1 장마계의 종관적 특성 이병설;김성삼
  9. 대학토목학회지 v.15 no.5 회귀분석에 의한 한국의 연·월평균 강수량의 추정 이창훈;김승
  10. 기상연구소 연구논문집 v.1 no.1 우리나라 호우의 통계적 분석 전종갑
  11. 연구보고서, 건기연 91-WR-113 면적우량과 강우 공간 변화의 해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