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주지역

Search Result 2,186,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s of according to Watershed Segmentation Method in Jeju Island (제주지역 유역분할 방법에 따른 지하수 흐름특성)

  • Kim, Min-Chul;Yang, Sung-Kee;Kang, My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3-337
    • /
    • 2016
  • 제주지역 지하수개발을 위해서는 굴착예정지역의 지하수위를 예측하고, 지하수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량에 따른 수위변동을 분석한다. 그러나 지하수 개발예정지역은 관측결과가 없는 미계측 지점으로 정확한 수위를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분석유역 내 관측정의 관측수위와 모델에서 계산된 지점수위만을 비교한 후 부정류 해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경우 관측지점에 한하여 유사한 지하수위를 도출할 수 있지만 미계측 지역의 지하수위는 검증되지 않은 결과이기 때문에 정확한 부정류해석이 어렵다. 특히, 제주지역의 지하수흐름은 지역별 표고분포와 상이한 결과가 나타내기 때문에 실제 지하수흐름과 유사하게 묘사될 수 있도록 분석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지하수 모델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해석모형을 이용하여 대정유역의 지하수흐름을 모의하고, 실무에서 적용되는 방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모델의 지하수흐름이 실제 흐름과 유사하게 묘사될 수 있도록 모델경계설정방안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Locality Implied in the Architecture of Jeju IT Companies (제주 IT기업의 건축에 내포된 지역성에 관한 연구)

  • Kim, Hyoungju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7
    • /
    • pp.73-78
    • /
    • 2022
  • This paper is a study on locality in architecture in Jeju with the theme of locality of architecture. This paper, as the last research paper in this series of studies, is a paper that verifies whether there is anything other than the locality revealed in the categories of 'hermeneutic' and 'phenomenal'. To this end, in this pap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s of five Jeju IT compan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elements reflected in the architecture in terms of the locality of Jeju were quite insufficient.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corporate image is important in terms of the architecture of an IT company. Nevertheless, if we summarize the elem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Jeju in IT architecture, it is the wind and oreum used as architectural concepts, and Jeju stone used as the exterior finish. In conclus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ind, oreum, and Jeju stone were used in IT architecture,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characteristics were within the scope of interpretive locality and phenomenal locality. Soon, it was found that the locality of Jeju architecture was within the hermeneutic and phenomenal category.

Hourly EV charging demand analysis on Jeju area (제주지역 시간대별 전기자동차 충전 수요의 분석)

  • Haram Cho;Yerim Kim;Jungho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2-283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공개 데이터 사이트의 OpenAPI를 통해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제주지역 전기자동차 충전 트랜잭션을 활용하여 시간대별 충전수요의 패턴을 분석한다. 시간대별 수요, 충전시간 등과 아울러 요일과 지역에 따른 시간대별 충전 패턴의 분석은 전기자동차 충전에 있어서 신재생 에너지의 결합을 요일과 지역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Spatial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ata in Jeju Island (제주지역 기상자료의 공간특성 분석)

  • Lee, Jeong Eun;Lee, Jeongwoo;Kim, Chul Gyum;Chung, Il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5-375
    • /
    • 2021
  • 제주지역의 경우에는 지형학적으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산악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산악지형은 수문기상요소에 고도에 따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수문기상요소에 대한 산악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안 저지대에서부터 중산간, 고지대에 이르기까지 관측지점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제주 전역의 과거 운영되었거나, 현재 운영중인 기상관련 관측지점의 수는 125개에 이른다. 강수의 경우, 기상청(ASOS, AWS), 제주도 재난본부에서 관측하고 있으며, 강수 이외의 기상요소는 기상청에서 관측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전역의 기상관측지점에 대하여 강수량, 온도, 습도를 중심으로 제주지역의 산악효과 및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도에 따른 기상요소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제주 전역에 걸친 수문기상요소들의 공간상관성 분석을 토대로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What Determines the Location of a Firm? - Focus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gglomeration effect - (기업은 무엇으로 입지를 결정하는가? - 지역 특성과 집적 외부성을 중심으로 -)

  • Kim hee youn;Jung su ye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9 no.3
    • /
    • pp.13-34
    • /
    • 2023
  • Jeju is making multifaceted efforts to foster and attract businesses in order to increase its GRDP, which is only at the level of 1% nationwide. A firm's choice of location selection is such a significant decision that it can affect the growth of the firm. The concentration of firm locations in one region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onduce to corporate profit maximization.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preferred by firms and the reflection of the results thereof in policies for attracting firms will be helpful in inducing region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of firm locations in Jeju, and analyzes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determination of firm location by using the conditional logit mode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Jeju has various kinds of firms concentrated, regardless of the industry type, and a larg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thinly populated areas. Additionally, firms in the knowledge-based industry tend to locate in areas where more firms in the same field are located in Jeju.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basic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firm location in Jeju, which has never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policies for firm and industry promotion and local development in Jeju.

Economic and Social Impact Analysis of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제주국제관악제가 제주에 미치는 경제.사회적 영향 분석)

  • Lee, Eun-Jeong;Hwang, Kyung-Soo;Ko, Tae-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53-35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에 개최된 제주국제관악제에 따른 관광산업이 제주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제주지역 사회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주지역 산업연관표를 활용하고, 축제 개최에 따른 관광산업을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 계수, 고용유발계수 등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고,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사회통합적 측면, 정치선전적 측면, 문화발전적 측면, 산업적 측면 4부문으로 제주국제관악제가 제주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PR페이지 - 한국후지제록스, 제주지점 개설해 지역 마케팅 강화

  • 한국후지제록스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4
    • /
    • pp.93-93
    • /
    • 2013
  • 한국후지제록스(대표 우에노 야스아키)는 최근 제주지역 고객의 요구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지역영업 강화 및 기술서비스 확대를 위해 제주지점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우에노 야스아키 사장을 비롯해 20여 명이 참석해 테이프 커팅식, 발전기원식 등의 기념식을 가졌다.

  • PDF

Assessing Vulnerability to Flood Disaster in Jeju area (제주지역 침수재해 취약성 평가)

  • 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8-338
    • /
    • 2021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 한라산 영향에 의한 호우의 산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에 의해 재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연안지역에 위치한 주거지, 숙박시설 입지 특성과 더불어 해안가의 개발수요 증가에 따라 재해취약성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침수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지역 특성을 파악한다. 그 결과, 도 내의 취약지역 분포와 취약등급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계획적 방재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심화로 인한 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취약지역에 적합한 도시계획적 관점의 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Groundwater Intake System Using Wind Energy in Jeju Island (제주지역의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하수 취수시스템)

  • Kim, Seong-Beom;Go, Jin-Seok;Yeo, Un-Gi;Lee, Seung-Yun;Ji, H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85-1889
    • /
    • 2006
  • 제주지역은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요충지로서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사면은 $3{\sim}5^{\circ}$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연평균 강우량은 1,975mm로서 국내 최다우 지역이나 제주도의 지질 특성상 도내 대부분의 지역이 투수성이 높은 다공질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지표수의 발달이 미약한 반면 지하수가 풍부하게 부존되어 있으며 기저지하수, 준 기저지하수, 상위지하수, 기반암지하수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교토의정서 비준으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이 불가피함에 따라 대체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이용한 풍력발전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제주 행원풍력발전단지에 설치된 총 15기 발전장치의 현실성과 경제성 입증을 통해 제주지역의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하수 취수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 고산, 서귀포, 성산포지역에 대한 제주지방기상청 연평균 풍속자료$(2004{\sim}2005)$를 통하여 대상지역내 적용 가능한 로터(Roter), 나셀(Nacelle), 타워(Tower), 발전기를 포함한 발전장치를 선정하였으며, 공기역학적(Aerodynamic)특성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풍력에너지를 지하수 취수시스템으로 적용하기까지의 전력공급절차를 도출하였다. 또한 생산되어진 풍력에너지 용량에 적용 가능한 수중.육상모터펌프를 산정하여 '제주도 지하수개발.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2004)'에서 제시한 구조도를 바탕으로 대상지역내 지하수위를 고려한 지하수 취수시스템을 도시하였다. 제주도는 지형 및 지질적인 특성상 수자원을 지하수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특수한 지역이므로 2002년말 통계를 살펴보면 생활용, 공업용, 농업용으로 각각 57만$m^2$, 11만$m^2$, 56만$m^2$를 포함한 1일 최대 124만$m^2$의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하수 취수시스템을 도입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이용 효과와 세계인이 공감하는 청정한 관광자원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Influence of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on Wind Effect in Jeju (Comparative Analysis of Seoul and Jeju) (제주지역 고층건축물에서의 바람의 영향이 굴뚝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과 제주지역간의 비교 분석))

  • Lim, Chae-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6
    • /
    • pp.6-12
    • /
    • 2015
  • This study used CONTAM modeling to analyzed analyze the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for the terrain and weather conditions of Seoul and Jeju. The differential pressure caused by the stack effect is a func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shaft. Jeju is considered more stable than Seoul, because it is warmer than Seoul in winter.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Jeju is about 60% that of Seoul in for the same height of buildings in winter. However, Jeju is an island and the neutral plane is raised by over 56% by strong winds, although there is less differential pressure caused by the stack effect in Jeju than in Seoul. Due to the raised neutral plane, the region and magnitude of negative pressure in the lower part is larger in Jeju than in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