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hat Determines the Location of a Firm? - Focus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gglomeration effect -

기업은 무엇으로 입지를 결정하는가? - 지역 특성과 집적 외부성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3.05.17
  • Accepted : 2023.07.27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Jeju is making multifaceted efforts to foster and attract businesses in order to increase its GRDP, which is only at the level of 1% nationwide. A firm's choice of location selection is such a significant decision that it can affect the growth of the firm. The concentration of firm locations in one region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onduce to corporate profit maximization.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preferred by firms and the reflection of the results thereof in policies for attracting firms will be helpful in inducing region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of firm locations in Jeju, and analyzes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determination of firm location by using the conditional logit mode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Jeju has various kinds of firms concentrated, regardless of the industry type, and a larg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thinly populated areas. Additionally, firms in the knowledge-based industry tend to locate in areas where more firms in the same field are located in Jeju.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basic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firm location in Jeju, which has never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policies for firm and industry promotion and local development in Jeju.

제주도는 전국 1% 수준에 불과한 지역내총생산(GRDP)을 증가시키고자 기업 육성 및 유치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기업의 입지 선택은 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결정이다. 한 지역에 기업 입지가 집중된다면 그것은 그 지역 특성이 기업 이윤극대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이 선호하는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을 기업 유치 정책에 반영할 수만 있다면 지역의 혁신과 발전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기업들의 입지분포를 살펴보고, 조건부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 읍면동별 지역 특성이 기업 입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업종과 무관하게 제주지역 모든 기업은 다양한 업종의 기업이 밀집되어 있고, 경제활동인구가 많고, 인구밀도가 낮으며, 대중교통 혼잡도가 낮은 지역의 입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식기반산업에 속한 기업은 동종기업들이 많이 위치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집적 외부성을 중시하는 지식기반산업 특징이 제주지역 기업들에게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간 전무 하였던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업 입지 요인분석으로, 향후 제주지역의 기업·산업 육성 및 지역 발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였음에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학년도 제주대학교 교원성과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규환.김병근, 2021, 벤처기업 입지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6(5), pp.153-164. https://doi.org/10.17208/jkpa.2021.10.56.5.153
  2. 김민준.정창무.임재빈, 2022, 수도권 바이오기업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7(6), pp.88-100. https://doi.org/10.17208/jkpa.2022.11.57.6.88
  3. 김찬준.송하율.김홍석.변창욱.김민수, 2015, 「지식기반 산업발전을 위한 제주 인적자본 제고 방안」, 한국은행제주본부.
  4. 박종준, 2017, 제주 지역불균형 현황과 균형발전을 위한 제언, 「제주발전포럼」61, pp.3-18
  5. 배은솔.윤갑식, 2021,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입지결정 요인분석, 「지방정부연구」, 25(1), pp.265-280. https://doi.org/10.20484/klog.25.1.11
  6. 사호석, 2020,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2), pp.125-146.
  7. 손아람.박정일.이수기, 2022, 서울시 신산업의 입지패턴 및 입지 결정요인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7(6), pp.549-565.
  8. 엄상근, 2022, 「서귀포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 연구」, 제주연구원.
  9. 이광배.모수원.박정환, 2019, 변이할당분석과 입지계수를 이용한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경쟁력 분석, 「산업경제연구」, 32(6), pp.2213-2229. https://doi.org/10.22558/jieb.2019.12.32.6.2213
  10. 이덕희, 2008, 「네트워크 이코노미」, 동아시아
  11. 이동희.구진경.박지혜, 2014, 「산업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서비스 클러스터 활성화 전략」, 산업연구원.
  12. 이번송.김석영, 2005, 지역적 특성이 신생 제조업체의 입지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40(6), pp.209-227.
  13. 이번송.홍성효.김석영, 2022, 「오설리반의 도시경제학 제9판」, 박영사.
  14. 이성우.지우석.조중구, 2004, 조건부 로짓모형을 이용한 도시와 농촌의 통근 행태 비교, 1990-2000, 「농촌경제」, 27(4), pp.29-53.
  15. 전은하.이성우, 2007, 수도권 교차통근자의 통행수단 선택분석: 1995-2000, 「서울도시연구」, 8(4), pp.107-125.
  16. 정수연.이성원, 2017, 제주도 부동산 하위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부동산.도시연구」, 10(1), pp.49-72.
  17.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 2017, 「기술기반창업의 범위 및 경제적 효과 연구」, 창업진흥원.
  18. 최문형.정문기, 2021, 지식기반산업의 산업구조와 지역경제성과의 영향연구-전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1), pp.27-52.
  19. 한국은행 제주본부, 2021, 「제주경제의 현황과 향후 발전 과제」, 한국은행 제주본부.
  20. Carlton, D. W., 1983, The location and employment choices of new firms: An econometric model with discrete and continuous endogenous variabl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5(3), pp.440-449. https://doi.org/10.2307/1924189
  21. Chin, J. T., 2020, Location choice of new business establishments: Understanding the local context and neighborhood conditions in the United States, Sustainability, 12(2), pp.501-518. https://doi.org/10.3390/su12020501
  22. Devereux, M. P., Griffith, R., & Simpson, H, 2007, Firm location decisions, regional grants and agglomeration externalities, Journal of public economics, 91(3-4), pp.413-435.
  23. Dube, J., Brunelle, C., & Legros, D., 2016, Location theories and business location decision: A micro-spatial investigation in Canada, The Review of Regional Studies, 46(2), pp.143-170.
  24. Hoffman, S. D., & Duncan, G. J., 1988, Multinomial and conditional logit discrete choice models in demography, Demography, 25(3), pp.415-427.
  25. Isard, W., 1960, Methods of regional analysis: an introduction to regional science, Cambridg, The M.I.T. Press.
  26. Jacobs, J., 1969, The Economy of Cities, New York, Vintage.
  27. Krenz, A., 2016, Firm structure and the location decision of German manufacturing firms: Evidence from official firm-level data, cege Discussion Papers No 298.
  28. Marshall, A., 1890, Principles of Economics, London, Macmillan.
  29. McFadden, D., 1973, Conditional Logit Analysis of Qualitative Choice Behavior, Frontiers in Econometrics, New York, Academic.
  30. William H. G., 2011, Econometric Analysis: International Edition,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