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링

Search Result 2,802, Processing Time 0.157 seconds

Current Sampling Error in Digitally-Controlled AC Motor Drives (디지털 제어기로 인한 교류 전동기 제어 시스템의 전류 샘플링 오차 및 보상)

  • Yim, Jung-Sik;Sul, Seung-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883-884
    • /
    • 2008
  • 디지털 제어기는 벡터 제어(Vector Control) 구현에 적합하기 때문에, 현재 대다수의 고성능 교류 전동기 구동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제어기를 사용하는 교류 전동기 구동 시스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디지털 제어기의 시지연이 제어 성능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제어기의 전류 샘플링 오차에 주목한 연구들은 주로 전력 변환기기의 전압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와 디지털 제어기의 샘플링 순간과의 관계에 따른 전류 샘플링 오차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디지털 제어기의 제로-오더-홀드(Zero-Order Hold)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샘플링 오차를 다룬다. 이 오차는 전동기의 전기적 회전 주파수가 디지털 제어기의 샘플링 주파수에 비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는 경우 그 영향이 두드러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류 샘플링 오차를 분석하고, 이것을 보상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 PDF

Analysis and Design of Current Control for Three Phase Inverter Using Complex Vector (복소 벡터를 이용한 3상 인버터 전류제어기 설계 및 해석)

  • Lee, Taejin;Jo, Jongmi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83-184
    • /
    • 2015
  • 본 논문은 3상 인버터에 사용되는 전류제어기 모델링을 복소벡터를 이용하여 해석한다. 동기좌표계에서 다중 입 출력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 모델링을 복소 벡터 표기를 이용하여 단일 입 출력 구조로 나타낼 수 있어 제어기 설계 및 해석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동기좌표계에서 RL부하는 커플링 성분이 존재한다. 동기주파수 50Hz, 200Hz일 경우 일반적인 PI 전류제어기 특성을 확인했으며, 동기 주파수가 200Hz이며 커플링 성분인 L값이 ${\pm}30%$인 조건에서 디커플링 및 복소 벡터 전류제어기의 특성을 비교했다. 디커플링 제어기의 특성은 오버슈트가 발생하고 긴 정착시간이 걸리지만 복소 벡터 전류 제어기는 커플링 성분의 오차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제어 수행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파라미터의 불확실성에 대해 복소 벡터 전류제어기가 강인한 특성을 가진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SNMP (SNMP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Ahn, Seong-J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 no.1
    • /
    • pp.13-22
    • /
    • 2000
  • In this paper, i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management system to monitor and control PCs running on MS Windows or NT and define some MIBs using SNMP. The proposed system has controlling functions to control the status of PC and monitoring functions to have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 processes. The controlling system supports update and setting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managed systems and backup/restore the information when it happens to be some faults. The monitoring system has some functions such as monitoring the processes of the PC, controlling the process on PC, and invoking a new job. This paper proposes a way of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monitoring capabilities by screen partitioning and analysis techniques.

  • PDF

고밀도 플라즈마를 이용한 스퍼터링 기술 연구

  • Kim, Jong-Guk;Lee, Seung-Hun;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4-144
    • /
    • 2012
  • 스퍼터링 기술은 타겟 사용 효율 및 증착률 향상 개념에서의 소스 특성향상과, 증착 기판으로 이동하는 스퍼터링 입자량 및 이온화율 제어를 통한 코팅 박막의 특성향상 등 크게 두 축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소스 특성 향상 관점에서 고진공에서의 스퍼터링 기술, 듀얼 마그네크론 스퍼터링 및 무빙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술 및 원통형 스퍼터링 기술이 개발되어왔으며, 코팅 박막의 특성 향상과 관련하여서는 스퍼터링 방전 내 플라즈마의 밀도의 증대 및 기판 입사 입자의 에너지 제어를 통한 박막의 치밀도 향상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UBM 또는 ICP 결합 스퍼터링 및 Arc-스퍼터링 혼합공정이 연구되어 왔다. 박막 증착에서 박막의 물성을 조절하는 주요인자는, 기판에 입사하는 입자의 에너지로, 그 조절 범위가 좁고 넓음에 따라 활용 가능한 코팅 공정의 window가 설정된다. 지난 15년간 증착박막의 물성 향상을 위하여 스퍼터링 소스의 제어 관점이 아닌 전원적 관점에서 스퍼터된 입자의 에너지 제어를 MF(kHz), Pulse 전원 사용을 통해 이루어져 왔고, 특히 High Impulse Pulse를 이용한 HiPIMS 기법이 연구개발과 시장의 이해가 잘 어울려져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HiPIMS 공정은 박막의 물성을 제어하는 관점을 스퍼터링에 사용되는 보조 가스인 Ar 이온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스퍼터된 입자의 이온화를 증대시키고, 이 이온화된 입자를 활용하여 증착 박막의 치밀성 및 반응성을 증대시켜, 박막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HiPIMS의 경우, 초기 개발 당시에는 고에너지, 고이온화의 금속 이온을 대량 생성할 수 있다는 이론적 배경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연구 개발이 진행되면서, 박막의 물성과 증착률 등 상반된 특성이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전원장치의 개량이나 스퍼터링 소스의 개선 등 다양한 개발 연구들이 요구되고 있다. 재료연구소에서는 스퍼터링 기술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타겟 사용효율화 관점 및 스퍼트된 입자의 이온화률 증대에 대한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밀도 플라즈마를 이용한 스퍼터링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HiPIMS의 연구 개발 동향과 고밀도 플라즈마를 이용한 스퍼터링 기술에 대한 연구 동향을 발표하고자 한다.

  • PDF

장주기 샘풀링을 갖는 자율무인잠수정의 의사 슬라이딩모드 제어

  • Lee, Pan-Muk;Jeon, Bong-Hwan;Hong, Seok-Wo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2 no.2 s.28
    • /
    • pp.130-138
    • /
    • 1998
  • 본 논문은 AUV의 수직면 운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의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이용한 모델링 기법과 제어기 설계법에 관한 것으로서, 샘플링 간격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시스템의 강인성이 확보되며 심도 제어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실용성을 실험과 수치 해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제어기는 참고문헌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한국기계연구원 선박해양공학연구센터(KRISO)에서 개발한 VORAM호를 제어 대상 AUV로 선정하였다. PMM 시험으로 얻어진 운동 계수를 이용하여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KRISO의 장수조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 해석과 실험 결과로부터 샘플링이 길어짐에 따라 의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는 연속계에 대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채터링 및 불안정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불확실성에 대하여 강인한 제어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수치 해석과 실험 결과를 근거로 의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의 설계를 위한 제어 변수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Systems in PC room using SNMP (SNMP를 이용한 PC 실습실 시스템의 모니터링과 제어)

  • Ahn, Seong-Jin;Chung, Jin-Wo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3 no.1
    • /
    • pp.109-115
    • /
    • 2000
  •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the management System to monitor and control computers running on MS Windows in the PC room using SNMP. The proposed system has controlling capability to control the status of PC and monitoring functions to have real-time monitoring and process control. In the controlling system, it supports update and setting of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PC and backup/restore the information when it happens to be some faults. In the monitoring system, it has monitoring the PC of students, controlling the process on PC, and invoking a new job. This system contribut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in PC room b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program running on student's computer.

  • PDF

Sliding Mode State Decoupling for IPM Machine Control (슬라이딩모드 상태디커플링를 이용한 IPMSM모터의 제어에 관한 연구)

  • Kim, Tae-Won;Park, Seung-Kyu;Yoon, Tae-Sung;Ahn, Ho-K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2561-2563
    • /
    • 2005
  • 영구자석 매입형 동기전동기(IPM)의 전류제어는 표면부착형 동기전동기(SPM)보다 더 복잡하다. 그 이유는 전류에 대한 최대토크특성 때문이며 고성능 토크제어를 위해서는 d-전류와 q-전류를 독립적으로 제어를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류들간의 상태커플링 때문에 독립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려우므로 상태 디커플링이 필요하다. 상태디커플링은 인턱턴스에 의해 생기며 인턱턴스의 변화 때문에 상태디커플링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인턱턴스의 불확실성에 대처할 수 있는 디커플링 방법의 개발을 바탕으로한 전류들의 독립적인 제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슬라이딩 모드제어기법을 이용하여 디커플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기본적인 제어방법은 PI제어이며 슬라이딩모드를 이용하여 PI제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접근방법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 PDF

비평형 그린함수 방법을 이용한 저유전-고유전-게이트-스택 구조에서의 터널링 장벽 제어

  • Choe, Ho-Won;Jeong, Ju-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217-220
    • /
    • 2013
  •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저전압, 저전력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얻기 위해서는 터널링 장벽 제어가 필수적이며, 저유전체와 고유전체를 적층한 VARIOT 구조는 터널링 장벽 제어에 매우 효과적이다. 우리는 비평형 그린함수 방법을 이용하여 전자 수송을 계산함으로써, VARIOT 구조가 기존의 단일 유전층 구조에 비해 비휘발성 메모리 관점에서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터널링 장벽 제어에 있어 고유전체가 가져야 할 가장 유리한 조건을 찾아내었다. 또한 유효질량이 에너지 장벽(유전층)의 전계 민감도와 거의 무관함을 보임으로서 시뮬레이션 결과가 합리적임을 증명하였다.

  • PDF

A Framework for Automatical Generation of Instrument Control & Monitoring Software (제어 및 모너터링 소프트웨어 자동 생성을 위한 프레임워크)

  • 유대승;심민석;박성규;김종환;이명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18-820
    • /
    • 2003
  • 생산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동화 장비들은 다양한 플랫폼과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운용되므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고, 개발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자동화 장비들의 제어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에 대한 쉬운 개발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어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동생성을 위하여 세가지(ICD, MAP, CMIML)의 XML 문서를 제안하며, 이를 이용해서 제어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자동화 장비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제어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연하고 신뢰성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Environment in the Mushroom Production House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 Lee, Sunghyoun;Yu, Byeongkee;Lee, Cha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1-121
    • /
    • 2017
  •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 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