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젖산농도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9초

황금과 황백 추출물이 젖산균 증식 및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 박민경;정광심;인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20-426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우선, 10가지 한약재로 50%-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Lac. plantarum 및 Leu. mesenteroides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황금추출물은 Leu. mesenteroides에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다. 이어서, 각기 다른 농도의 황금 또는 황백 추출물이 첨가된 MRS broth에서 Lac. plantarum과 Leu mesenteroides를 24시간 배양하며 일정 시간에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황백 추출물은 두 균주에 대하여 0.05%∼0.2%의 농도에서 우수한 생육 억제효과가 있는 반면 황금 추출물은 Lac. plantarum의 생육 억제에는 큰 효과가 없으나 Leu. mesenteroides에 대해서는 0.1% 농도에서 황백 추출물 0.05%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첨가는 실제 김치 숙성에도 영향을 미쳐 0.02%∼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는pH의 저하, 산도, 유산균 및 총균수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숙성 지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황금 추출물의 첨가는 0.04% 농도에서 숙성지연 효과를 보였다. 한편, 황금과 황백 추출물의 1:1 혼합 첨가도 0.03%∼0.04%의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숙성 지연효과를 비교하면 황백 >황금과 황백의 혼합물>황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0.04%의 황백 추출물 첨가 김치는 숙성 후기인 21일에는 대조구 및 0.02%의 황금 추출물 첨가 김치와, 숙성 28일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신맛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전처리 후 수열처리가 왕겨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cid Pre-Treatment followed by Hydrothermal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Extract)

  • 박선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92-1396
    • /
    • 2009
  • 왕겨 10 g에 5종류(초산, 구연산, 젖산, 인산, 주석산)의 50 mM 유기산 100 mL을 가하여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121^{\circ}C$에서 30분간 수열처리 하여 왕겨 추출물을 제조한 후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에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0.44 mg/mL, 70.97%, 1.00 OD, 88.98%이었으며, 비교적 효과가 좋았던 인산의 경우에는 각각 0.82 mg/mL, 81.34%, 1.18 OD, 64.03%로 측정되었다. 인산의 농도별 전처리 효과를 보기 위해 10, 25, 50, 100 mM의 농도에서 같은 조건으로 왕겨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능과 관련된 지표를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인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력은 인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50 mM 인산 농도까지는 인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100 mM 인산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왕겨에 존재하는 페놀성 항산화물질을 유기산 전처리로 효율적으로 유리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겨울 김치에 대한 팽창 방지 포장 기법 (Packaging Techniques to Prevent Winter Kimchi from Inflation)

  • 홍석인;박노현;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5-291
    • /
    • 1996
  • 소포장 김치의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법으로서 각 포장방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겨울 배추를 원료로 제조한 김치 에 대하여 포장방법 에 따른 품질변화를 확인하였다. 상압(AP), 배기(CV), 이중(DP), 진공(VP) 등으로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김치의 품질변화를 관찰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AP와 CV의 포장내$O_2$ 농도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고 $CO_2$, 농도는 선형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해졌다. DP에서 $O_2$ 농도는 감소 후 증가, $CO_2$ 농도는 증가 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VP는 저장말기에 저농도 $O_2$와 고농도 $CO_2$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 각기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장내 자유용적은 AP에서 S자 곡선형으로 증가하였으나 CV와 DP는 거의 일정하였고 VP는 저장중기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가장 높은 최중 용적량을 나타내었다. 각포장구의 pH는유의차 없이 대부분 비슷하였으나 산도는 DP가 다른 포장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분쇄 김치 여과액의 색지수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포장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구분할 수 없었으나 VP가 다소 높게 나타탔다. 젖산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도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초기 급격히 증가하여 중기 이후 일정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신맛이나 조직감은 각 포장구에서 유의차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김치의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 법으로서 배기포장과 이중포장이 매우 효과적이며 제한적 범위 내에서 진공포장도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쿼세틴 복합체의 생물학적 이용성 향상을 위한 양파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 (Bioconversion of onion extract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quercetin glycoconjugate)

  • 윤여진;이아현;;박종태;윤상만;김재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1-399
    • /
    • 2018
  • 생물전환기법과 유산균을 사용한 발효를 이용해 쿼세틴의 회수율 증가와 비배당체(aglycone) 형태로의 전환을 통해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풍미가 향상된 기능성 양파음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물전환에 적합한 유산균과 효모를 발굴하고 외부환경 조건에 차이를 두어 쿼세틴의 비배당화 전환율을 최대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L. casei, L. plantarum, K. lactis가 생물전환공정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선별되었다. 양파 슬러리를 포함한 양파즙을 발효하였을 때 쿼세틴 농도는 초기 대비 K. lactis와 L. casei에서 각각 260%, 318%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48시간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quercetin hexose와 quercetin di-hexose는 최대 141%까지 증가하여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전체 총 쿼세틴 양이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양파즙의 초기 pH를 중성으로 조정하였을 때 비배당체 쿼세틴 농도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했으나 24시간 이후에는 발효가 지속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Quercetin hexose의 농도 또한 빠르게 감소해 비배당체 비율이 증가했지만 자체 농도가 감소해 중성 pH에서의 발효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발효기를 이용한 대용량 발효 실험에서도 L. plantarum, L. casei와 K. lactis 모두 동일한 발효 효율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식품으로서의 사용을 위한 열 살균 이후에는 유산균 발효 양파즙의 쿼세틴 배당체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고온 고압 살균이 아닌 여과와 같은 다른 살균 공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성 유산균 발효를 통한 쿼세틴 함량 증가와 비배당체/배당체 비율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고기능성 유산균/젖산균 발효 양파즙의 개발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종균이 첨가된 저염김치의 발효온도 및 소금 농도에 따른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tarters on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 문성원;박선현;강병선;이명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85-7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소금 함량을 낮추기 위해 유기산과 젖산 그리고 종균을 첨가하고 과일을 첨가하여 김치의 저염화와 동시에 미각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저염김치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소금 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저염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염김치에 대한 이화학분석, 미생물학 분석,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저염김치의 pH 및 산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고, pH는 점차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는데, 특히 소금 농도가 낮을수록 pH가 낮았고, 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염김치의 염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작은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성 있는 증감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원당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강도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균 첨가 여부 및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소금 농도에서 저장온도에 따른 조직감 차이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염김치의 미생물 결과 총균수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농도와 균 첨가와 관계없이 총균이 증식함을 알 수 있었다. 저염김치의 관능평가 결과, 냄새, 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이형발효 종균을 첨가한 김치의 관능결과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균과 유기산을 첨가하여 소금 함량을 낮춘 저염김치를 개발하였고, 저장온도에 따라 발효하는 동안 이화학, 미생물 그리고 관능적인 변화를 통해 적숙기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건강한 일반인, 당뇨와 고혈압 질환이 있는 환자들의 식이요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슬관절 자극이 횡격신경 및 흡식중추신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nee Joint Stimulation on the Activity of Phrenic Nerve and Inspiratory Nuron in the Cat)

  • 조동일;한희철;남숙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6호
    • /
    • pp.683-693
    • /
    • 1993
  • 연구배경 : 생체의 운동은 움직임 자체를 수행하기 위한 근육, 관절 및 이를 관장하는 신경계와 운동중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심혈관계 및 호흡계의 조절이 동반되는 매우 복잡한 기전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다.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이나 특히 관절과 호흡중추의 연계성에 대하여는 아직도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관절의 정상적인 움직임이 호흡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alpha$-chloralose로 마취한 고양이의 분당 호흡수, 횡격신경과 흡식신경섬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법 : 26마리의 성숙한 숫고양이에서 슬관절 자극중 횡격신경 및 흡식중추신경의 활동성을 기록하기 위하여 쌍극백금전극과 탄소섬유전극을 이용하여 세포외에서 기록하였다. 슬관절을 자극하기 위하여 슬관절의 굴곡-신전운동, 슬관절 동맥을 통한 화학적인 자극 및 슬관절 신경의 전기적인 자극법 등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슬관절의 정상 운동각도내에서 120 Hz.의 빠른 운동을 1분간 시킨 경우에는 분당호흡수와 분당호흡신경활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3분간 운동을 시킨 경우에는 호흡수, 일회호흡신경활동 및 분당호흡신경활동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60Hz.의 운동에 대하여는 전체적인 호흡활동에 뚜렸한 변화가 없었다. 과격한 운동중에 형성되는 젖산의 혈중농도와 같은 농도의 젖산을 슬관절내에 주입한 결과 주입후 30초 동안에 호흡수 이외의 일회호흡신경활동과 분당 호흡신경 활동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potassium chloride에 대하여는 젖산의 경우와 유사한 반응을 보였으나 반응기간이 짧았다. 구심성 신경중 I, II군만을 선택적으로 흥분시킬 수 있는 강도인 1V로 슬관적 신경을 자극한 경우 자극기간에 한하여 호흡수를 제외한 일회호흡신경활동 및 분당호흡신경활동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구심성 신경을 모두 흥분시키는 강도인 20V 자극에 대하여는 호흡계의 전체적인 항진효과가 있었으며 1V 자극에 비하여 매우 큰 반응을 나타내었다. 흡식중추의 신경세포에서 기록한 결과 횡격신경에서 나타난 반응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 슬관절 구심성 신경중 제 I, II 군 신경의 흥분에 의하여 호흡중추는 직접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운동중의 슬관절로부터 중추로 유입되는 정보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은 슬관절의 정상적인 움직임에 의해서도 생체의 호흡기능이 항진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소금농도가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증식속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Salt Concentrations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소명환;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1-347
    • /
    • 1996
  • Growth curves of seven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graphed, when they were cultivated at 3$0^{\circ}C$ in filter sterilized Chinese cabbage juice containing 0, 2, 4 and 6% salt, and then lag time and generation time were calculated. The shapes of growth curves were changed differently among strains, as sal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he addition of 2~4% salt resulted in prolongation of lag time were most omspicuous in Leu. Paramesenteroides and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the next in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m Lac. Bavaricus and Lac. Gomohiochii, and the least in Lac. Plantarum and Lac. Brevis. And then the prolongations of generation time were most remarkable in Lac. bavaricus and Lac. Homohiochii, and the next in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Leu. Paramesenteroides, and the least in Lac. Plantarum and Lac. brevis. By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s from 0 to 2%, the generation times of Leu. C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Leu. Mesenteriodes subsp. Mesenteroides were prolonged slightly, while those of Lac. Homohiochii and Lac. Brevis were not changed, and those of Lac. Plantarum, Lac. Bavaricus and Leu. Paramesenteroides were shortened slightly. As sal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from 2% to 4%, inversions in the order of generation time occurred among strains. As a whole, lower salt concentrations were more favorable for the growth of Leuconostoc strains, while higher salt concentrations were for Lactobacillus strains.

  • PDF

김치의 저온 발효 중 미생물 변화 양상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 박정아;허건영;이정숙;오윤정;김보연;민태익;김치경;안종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5-50
    • /
    • 2003
  • 분자 생물학적 방법 인 DGGE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김치가 발효되는 동안 관여하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김치를 저온 ($4^{\circ}C$)에서 발효시키는 60 일 동안 5 일 마다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김치 시료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김치 시료 genomic DNA로부터 16S rDNA의 V3영역을 증폭하여 DGGE를 수행한 결과에서 관찰된 amplicon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저온에서 김치가 발효되는 동안 젖산균들이 주요 미생물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Weissella koreensis가 발효 전 과정 동안, Lactobacillus sakei의 경우는 발효 10 일째부터, 그리고 Leuconostoc gelidurn은 발효30 일째부터 amplicon들의 농도가 진하게 나타나 이들이 저온에서 김치 발효 과정 동안의 우점종 균주들 임을 알 수 있었다.

김치 발효중 Aspartame의 분해 (Changes of Aspartame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 유주현;유효상;김명희;유행준;문동상;황규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51
    • /
    • 1989
  • 김치 담글 때 감미료로 설탕대신 aspartame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김치에 aspartame을 0.1% 첨가하여 $2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경시적으로 aspartame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첨가된 aspartame의 80%가 김치를 담근 후 20시간 만에 aspartylphenylalanine과 phenylalanine으로 분해되었다. 김치 발효시 aspartame의 분해는 배추 중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젖산균이나 pH에 의한 영향은 10% 이하였다. 그러나, aspartame의 분해는 NaCl의 농도를 높임에 따라 억제되었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을 이용한 대두 발효유의 제조 (Production of a Fermented Soymilk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Isolated from Kimchi)

  • 오남순;인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88-91
    • /
    • 2008
  • 숙성 중인 김치에서 생육과 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분리하여 API 50 CHL kit로 확인하고 16S rDNA의 염기 서열을 분석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어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로 명명하였다. 대두에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제조한 두유에 KC51 균주를 접종하고 $30^{\circ}C$에서 정치 배양한 결과, 생균수는 접종 후 9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완만하게 증가하여 배양 12시간에는 $2.70{\times}10^9$ CFU/g까지 증가하였다. 적정산도는 배양 12시간에 0.35%까지 증가하였으며,pH 는 pH 4.52까지 감소하였다. 이때 유기산 농도는 젖산과 초산의 함량이 각각 0.56%와 0.10%로 분석 되었다. 두유 발효액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증식에 의한 점도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관능적으로도 신맛을 제외한 항목에서 두유와 유사하였다. 또한 $4^{\circ}C$에서 두유 발효액은 2주일의 저장기간 동안 pH, 적정산도와 생균수의 변화는 미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