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품 인증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디자인 QR코드 기반 정품인증 프레임워크 및 정품판별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Framework and Genuine Distinction Algorithm Using Design QR Code)

  • 허경용;이임건;박삼식;우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3-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QR 코드 기반의 정품 인증 프레임워크 및 정품 판별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정품 인증 프레임워크는 디자인 QR 코드, 정품 인증용 앱(App) 그리고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디자인 QR 코드는 기존 QR 코드에 시각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코드의 모양을 상품이나 제조사에 맞게 변형한 코드를 말한다. 디자인 QR 코드에는 정품 인증을 위한 제조사 및 상품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디자인 QR 코드의 내용은 일반 QR 코드 리더기로 그 정보를 일부 확인할 수 있지만 1차 인증을 위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어 그 의미를 파악할 수는 없다. 정품인증용 앱은 정품 인증용 QR 코드를 스캔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는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서버 시스템에서는 QR 코드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회 위치, 시간, 횟수 등 조회 이력을 바탕으로 조회 패턴에 따라 진위 여부를 2차적으로 인증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서버 시스템을 통해 조회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정품 인증을 위해 필요한 추가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인증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안산시 쓰레기봉투 관리를 위해 도입되어 사용되는 등 실제 사용에서도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정품 콘텐츠 판매 오프라인 업체 인증제도 방안 연구: 저작권 OK 사례 (A Study on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Offline Stores Selling Copyrighted Contents: Copyright OK Case)

  • 임규건;최재영;이웅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27-42
    • /
    • 2017
  • 근래 통신과 인터넷과 디지털 및 그래픽 기술의 발전으로 콘텐츠 산업은 새로운 문화 창달 및 경제발전의 중요한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 기술의 발전은 콘텐츠의 생성 및 유통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거대한 유통시장으로 확대되었다. 그렇지만 디지털 기술의 특징 중 하나인 유통과 복제가 용이하다는 것은 무단으로 불법복제와 도용, 변조로 인한 불법콘텐츠의 유통량도 증대 시켰으며 이로 인한 피해도 심각한 실정이다. 현재 온라인사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저작권 보호 제도는 있지만 정작 온라인에 밀려 고전하고 있는 오프라인 정품 콘텐츠를 판매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제도는 부재하다. 한류열풍 등으로 해외 관광객의 콘텐츠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오프라인 정품 콘텐츠 업체들은 온라인 업체들과 불법콘텐츠 유통으로 상당수가 경쟁력을 잃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와 해외의 유사한 저작권 인증제도의 사례와 현황을 분석하고 인증제도의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정품 콘텐츠업를 인증해 주는 제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사례분석과 함께 저작권 관계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얻은 인터뷰 내용을 중점으로 정품 콘텐츠 판매 오프라인 업체 인증제도의 인증영역, 인증 방향성, 인센티브를 정하여 인증제도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인증방향은 윤리형, 개방형, 당락형, 매장인증형, 다소엄격형(사후평가)의 인증모델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소비자들의 정품 콘텐츠 사용인식 확산과 건전한 콘텐츠 시장의 투명한 거래질서 확립을 기대해 본다.

컬러 매트릭스 모델링에 의한 영상 인쇄물 위변조 검출 기법 : QR코드에의 적용 (An Effective Detection of Print Image Forgeries Based on Modeling of Color Matrix : An Application to QR Code)

  • 최도영;김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31-442
    • /
    • 2018
  •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는 사진, 동영상, 지도, 명함 등 다양한 정보를 더 편리하게 담아낼 수 있다. 현재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QR코드는 다양한 인쇄 매체에 인쇄하여 연결된 인터넷 정보를 손쉽게 검색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QR코드는 정보보안이 용이하지 않아, 결재시스템에 활용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QR코드와 컬러 도안을 결합하여 새로운 코드를 설계하여, 제품 인증 시스템이 요구되는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CMYK 컬러 모델로 인쇄된 정품은 전자기기에서 RGB 컬러 모델로 캡처되며, 이때 컬러의 왜곡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컬러 매트릭스를 통해 측정하고, 통계 특성에 기초한 정품 인증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양한 종류의 컬러 코드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제품 인증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안전한 온라인 인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Authentication via Online)

  • 마기평;노봉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5-398
    • /
    • 2014
  •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은 제품 활성화를 위해 제품번호나 라이선스 키, 아이디-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을 활용한다. 그러나 크랙, 패치, 인증서버 우회로 인한 불법 복제 프로그램 사용 및 사용자 권한 도용이 끊이질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과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및 안전한 인증을 위해 도입해야할 기본적인 보안 요구사항을 연구하고 검증하였다.

MS 닷넷의 위험성

  • 김연수
    • 디지털콘텐츠
    • /
    • 4호통권107호
    • /
    • pp.84-90
    • /
    • 2002
  • 본고는 지난호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정품 사용을 위한 인증은 개인정보 침해를 유발 할 수 있고 이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즉 개인 컴퓨터의 하드웨어 정보는 해시값으로 저장되어 의미가 없다고는 하나 어떤 정보들이 들어 있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는 것도 지적하고 있다.

  • PDF

다중 비교척도에 의한 영상 인쇄물 위조 감식 시스템 (A Code Authentication System of Counterfeit Printed Image Using Multiple Comparison Measures)

  • 최도영;김진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2
    • /
    • 2018
  • 현재 정품인증을 위한 인쇄물이 다양한 제품에 활용되고 있지만, 고해상도로 정밀하게 재현한 위조 인쇄물이 불법적으로 끊임없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품 인쇄물과 위조 인쇄물을 스마트 폰으로 손쉽게 감식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법을 제시한다. 즉, 제안한 방법은 서버에 원본의 이미지를 저장하며, 이 원본의 이미지에 대한 다중 척도를 특징점으로 추출하여 저장하고, 이 다중 척도에 기초하여 위조 인쇄물이 효과적으로 감식될 수 있는 방법으로 설계되어진다.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식은 단일 척도에 의한 위조품 감별 방식에 비해 인식률을 높이고, 오인식률을 낮추는 방식으로 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 또한, 제안한 방식은 여러 종류의 디자인에 대해 안정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한다.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불법 소프트웨어 방지 시스템 (System for Anti-Piracy of Software under Windows Operating System)

  • 황기태;김남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423-434
    • /
    • 2004
  • 본 논문은 조직 내에 소프트웨어의 불법적인 설치/사용을 방지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관해 기술한다. 이 시스템에서 서버 컴퓨터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압축하여 관리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반드시 서버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불법 소프트웨어의 설치 상태를 주기적으로 서버에 보고한다. 또한 외부로의 정품 소프트웨어의 유출과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인증 시스템과 세션 키를 이용한 암/복호화 개념을 도입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정품 소프트웨어의 불법 사용 방지뿐만 아니라 라이센스 통제와 소프트웨어 관리의 용이성의 장점을 가진다.

다중모달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Electronic Commerce System of Multi-Modal Information)

  • 장찬용;류갑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29-732
    • /
    • 2001
  • 다중정보를 이용한 개인 인증시스템은 음성인식, 얼굴인식, 전자서명 둥의 방법을 이용하여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로서 통신망 전반에 존재하는 많은 위협들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개키 암호 및 전자서명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정품 컴퓨터 S/W 및 H/W 와 관련된 제품을 인터넷 공간에서 거래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CBT-Shop)을 구현하였다. 다중정보의 개인인증 기술을 싸이버테크 인터넷 쇼핑몰의 설계와 구현에 적용함으로서 보안이 고려된 상거래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게 됨을 설명하고 있다.

  • PDF

MS독점 소송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3호통권106호
    • /
    • pp.80-87
    • /
    • 2002
  • 본고는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독점금지법 위반 소송에 담긴 여러 가지 의미들을 해석해 보고 MS사가 전개하고 있는 제품 판매 전략이 어떤 위법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품 사용을 위한 인증은 개인정보 침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윈도즈라는 운영체계 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패키지화(끼워팔기) 하야 VKSA하고 있는 것도 독점법 위반 시비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그동안 MS의 독점금지법 소송과 관련하여 전개된 사항들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짚어 보고자 한다.

  • PDF

정품만을 고집하는 종가집 분위기의 ESCO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22호
    • /
    • pp.22-25
    • /
    • 2003
  • 혜성L&M(대표 장기원)의 L과 M은 Lighting과 Media의 약자이다. 89년 서광조명으로 출발해서 94년 혜성라이팅으로 상호를 변경하기까지 혜성은 국내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기술개발에 매진해온 전문 조명업체였다. 이후 KS, Q마크, GD마크, 국산 신기술(NT), EM마크, 고효율 에너지기자재 등등 국내에서 주는 각종 마크와 인증을 모두 섭렵한 혜성은 2000년 미디어사업부를 신설, CD제작에 나섰고 2002년도에는 고효율조명기기, 인버터, 냉난방 공조설비개체 등을 아이템으로 ESCO사업에 뛰어들었다. 원가경쟁력에서 타사에 비해 강점을 갖고 있다는 혜성L&M의 ESCO사업부를 찾아가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