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체관리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udy on the Frame of Selection for the Removal of Obsolete Small Dams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위한 보 선정 체계 연구)

  • Rhee, Dong-Sop;Woo, Hyo-Seop;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54-1158
    • /
    • 2007
  • 현재 국내 하천에는 수많은 보가 존재하고 있으며, 하천에 설치된 보는 보 주변 지역에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보의 규모가 클 경우 소수력 발전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선박 통행을 위한 수심 확보 목적으로 활용된다. 상수원으로서 농업용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며, 홍수 시 상부 저수지를 홍수 조절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지역 주민들에게 여가 활용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렇듯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보는 유용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가 없어지고, 노후화되어 보의 기능이 점차 약화되는 보들이 하천에 계속 남아있게 된다면, 필요 없이 하천을 막아 흐름을 정체시켜 결국 환경이나 생태적인 측면에서 커다란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최근 농경지 도시화, 경작 방식의 변화, 취수시설물 통폐합, 시설 노후화 등으로 매년 수십 개 이상의 보가 폐기되고 있으나, 폐기된 보는 대부분 철거되지 않고 하천에 남아 여전히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에는 이미 기능 및 용도를 상실한 보 철거는 하천 생태통로 복원 등의 목적을 위해 하천환경복원의 한 방법으로 널리 활용하고 있다. 특히 보의 기능 상실 여부는 단순한 시설물 노후 여부로 따지는 것이 아니라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였을 경우에는 시설물이 노후화되지 않았더라도 적극적으로 철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위한 보 철거 선정 체계에 대한 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철거 대상 보 선정을 위해서는 보 관리주체 및 보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보 철거 선정 체계는 보 철거를 위해서 보 주변 지역 거주민을 설득하며, 하천의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정 체계를 바탕으로 주민 협의 및 대안 제시를 통해 결정된 대상 보는 선정 체계 안에서 보 철거 영향 판단 절차에 따라서 보 철거로 인한 수문, 수리, 지형, 수질, 생태 영향을 판단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회 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게 된다. 평가결과에 따라서 보를 완전히 철거하거나 다른 대안을 고려하여 보를 부분적으로 철거하거나 개량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landforms and habitat structures in the mid-stream of the Mangyeong River by weirs (보 설치로 인한 만경강 중류의 하천지형과 서식처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Choi, Mikyoung;Kim, Ji-sung;Ock, Giyoung;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spc2
    • /
    • pp.791-799
    • /
    • 2019
  • This study explained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habitat structures based on the aerial photographs (1948, 1967, 1973, 1989 and 2010) of the mid-stream reach of the Mangyeong River. The habitat structure was divided into landforms and aquatic habitats. The landform was classified into bare land, vegetated land, water surface, farmland and artificial land. The aquatic habitat was classified into natural riffle, artificial riffle, run, head wando, tail wando, mid wando, pond and chute channel. The ratio of bareland decreased, and water surface and vegetated land increased after the excavation in 1970s and since the construction of weir in 1980s. As historical changes of aquatic habitat, ratio of run decreased sharply while mid wando increased sharply. aquatic habitats such as head wando, tail wando, and pond located on bars decreased dramatically.

Assessment of the Water Circulation Plan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West Nakdong River (서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물순환 방안 분석)

  • Lee, Sanguk;Hur, Young Teck;Kim, Youngsung;Kang, B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9-459
    • /
    • 2018
  • 서낙동강은 당초 낙동강 본류였으나 1934년 김해평야 일원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건설된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의 완공 이후 현재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서낙동강은 대저수문을 통한 유입과 녹산수문, 녹산배수펌프장을 통한 방류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영은 외해 조위조건에 따라 간헐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수체의 정체로 인한 오염도가 높은 실정이다. 또한, 서낙동강 유역은 에코델타시티 등 다양한 개발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수질관리를 위한 여건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개발에 따른 다양한 수질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위한 물순환 개선과 유역에서의 오염부하 저감 등 다양한 수질개선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서낙동강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던 연구결과와 현재 시행중인 물순환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2차원 수리 수질모형(CE-QUAL-W2)을 구축 활용하여 현행 물순환 방안의 운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당초 환경영향평가시 제시되었던 대저수문과 맥도수문을 통한 유입과 맥도배수펌프장을 통한 유출로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의 수질을 개선하고자 했던 물순환 계획은 여러 가지 여건으로 인해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는 매주 강서구청에서 맥도배수펌프장을 이용하여 평강천과 맥도강의 수위를 저하시킨 이후 서낙동강의 하천수를 유입시키는 형태로 물순환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현행 물순환 방안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구간에 대하여 2차원 수리 수질모형(CE-QUAL-W2)을 이용하여 모의한 결과 현재의 물순환 방법으로는 물순환 유량이 증가하더라도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낙동강에 낙동강 하천수가 대저수문을 통하여 유입된 이후 장기간 체류함에 따라 유역에서의 오염물질 유입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평강천과 맥도강에 유입되는 경우 수질개선이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현재 서낙동강 대비 상대적으로 수질이 양호한 낙동강 본류의 하천수를 신규 수문 등의 시설물을 통하여 유입시키는 조건에 대한 분석 결과 현행 물순환 대비 효과가 크며 당초 예상했던 환경영향평가시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보다 상세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Water Quality Change in Downstream of the River by Dongjin Gate Operation (동진강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하류 수질변화 예측)

  • Chung, Mahn;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3-443
    • /
    • 2018
  • 새만금유역의 동진강유역에 위치한 동진강제수문은 서해 바닷물 역류에 따른 농경지의 염분피해를 예방하고 고부천과 연계된 부안지역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설치되었다. 동진제수문은 그간 정읍시 신태인읍, 김제시 부량면, 부안군 백산면의 약 770 ha 농경지에 대해 염분피해를 예방하였고 영농과 한발 시에는 부안군 일대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새만금 간척사업등 대규모 국토개발로 주변 자연환경이 크게 변화하여 제수문은 염해방지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현재는 농업용수 공급원으로써의 기능만 남아 있다. 현재 동진강제수문은 관개기에 농업용수 취수를 위해 수문을 닫아 본류의 유량을 저류시키고 있으며, 비관개기에도 대부분 제수문을 닫아놓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갑문폐쇄로 인해 하류의 유입유량이 차단되고 상류 체류시간이 증가되어 수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농업용수사용을 위해 저류되어있는 유량을 효율적으로 방류한다면, 외부수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유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새만금호의 유입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진강 하류의 수질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제수문의 내용적을 산정하여 용수공급능력을 파악하였고,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였다.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새만금호의 유입부인 동진강 하류의 수질을 모의하였으며, 구성한 모형의 결과와 용수공급능력을 바탕으로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수질개선효과를 살펴보면, Scenario 3 > Scenario 2 > Scenario 1의 순서로 수질개선율이 크게 나타났다.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량이 증가할수록 하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동진강제수문의 방류량으로 인해 유황이 개선되고 호 내 오염부하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업용수 필요량을 제외한 유량을 하류의 환경유지용수로 확보하고 이를 수질관리취약 시기에 탄력적으로 방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오염을 감소시키고 목표수질을 만족하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Heat Sensor Module for AI Automated Access Control System and Linkage with Education Program (AI 자동화 출입통제 시스템을 위한 비대면 발열 감지기 모듈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연계)

  • Lee, Hyo-Jai;Kim, Eungsuk;Hong, Chang-Ho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3 no.2
    • /
    • pp.301-304
    • /
    • 2021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ule that can perform two functions at the same time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a personal recognition module and a heat detection module in the era of COVID-19. This can simultaneously solve the problem of compatibility of the personal recognition module that occurs in the existing system and the problem of secondary infection that can occur during congestion due to the separate implementation of heat det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NFC and Bluetooth motherboards were developed, and an array-typ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was applied to detect heat. The developed system is expected to be able to realize both access control of floating population and effective quarantine at the same time in public institutions or private companies that require AI automated access control.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link the embedded programming and web programming implementation method using the module of the development system to the educational program.

Projects of Gwangyang port to Develop Industrial Core Port (산업중핵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광양항의 과제)

  • Lee, Tae-Hwee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8 no.2
    • /
    • pp.1-10
    • /
    • 2022
  • Looking at the cargo trend of Gwangyang port (GWP) during past decade, petrochemical items grew by 26% and steel item grew by 12%, but container cargo just grew by 4%. Thus, Yeosu-Gwangyang Port Authority (YGPA) sets the port development initiative targeting at industrial core port considering GWP's strength as multi function port and industrial port and GWP's weakness as lower container cargo growth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the projects about the GWP's industrial core port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a prerequisite for development as an industrial core port, it was suggested to form a consensus on the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port performance index of univariate port cargo volume. The following three tasks were presented for GWP to develop as an industrial core port. It can be said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derive, manage, and monitor GWP industrial core performance indicators. Nex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industrial support in ports. Finally,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dded value of the port area of GWP hinterland.

Vehicle control system base on the low powe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NB-IoT)

  • Kim, Sam-Tae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6
    • /
    • pp.117-122
    • /
    • 2022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vehicle control terminal using IoT and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NB-IoT) technology. This system collec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status of a parked vehicle, and transmits the vehicle status to the vehicle owner's terminal in real time with low power to prevent vehicle theft, and in the case of a vehicle in motion, When primary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such as an impact,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server analyzes the relevant data to generate secondary information on traffic congestion, road damage, and safety accidents. By sending it, you can know the exact arrival time of the vehicle at its destination. This terminal device is an IoT gateway for a vehicle and can be connected to various wired and wireless sensors inside the vehicle. In addition, the data collected from vehicle maintenance, efficient operation, and vehicles can be usefully used in the private or public sector.

Examination of Obstacles Impeding the Deployment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On-Site and Development of an Activation Strategy (건설신기술의 현장활용 저해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Park, Hwan Pyo;Bae, Byung 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4
    • /
    • pp.369-380
    • /
    • 2023
  • The incorporation of innovative technology systems into domestic construction practices has catalyzed an organic evolution of the industry, significantly enhancing the level of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and intensifying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the on-site implementation of these groundbreaking construction technologies has proven effective in diminishing construction costs and accelerating project timelines. Nevertheless, despite a period of 33 years since the inception of this new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 both the volume of designated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on construction sites remain static. As a consequence, this study introduces a strategic plan to dissect and overcome the barriers faced in the adoption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y across a multitude of sectors. The chief outcomes encompass the inception of a new construction technology utilization surveillance system, an assessment of distinct technologies, refinement of the post-evaluation system, and the creation of a new technology market system. This systematic enhancement is anticipated to foste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within the industry.

A Study on Burger King The Growth Mechanism: Toward The Dynamism of Corporate Success and Failure (기업성패 동태적 모형에 따른 버거킹 성장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

  • Lee, Choong-Woo
    • The Korean Journal of Franchise Management
    • /
    • v.5 no.2
    • /
    • pp.51-67
    • /
    • 2014
  • Looking at the case of countries or companies, the success and failure can be found a certain repetitive 'Pattern'. In this paper, global franchise company factors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Burger King on the market dynamism perspective, and looked to discuss its implication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company in a country like pattern of the growth and erosion and stagnation and decline, and the pursuit of sustainable growth through relentless improvement reactivated. Burger King has more to strengthen brand equity oriented by the world's best restaura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marketing activities in the global market to regain its former glory.

Analysis of occurrence of red water or turbid water in real water distribution system (실제 상수관망의 적수/탁수발생 위험인자 도출 및 위험관 분석)

  • Han, Jin Woo;Kim, Hyeong Gi;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1-391
    • /
    • 2022
  •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고 탁수 및 적수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상수도관 중 경과년수를 초과한 노후 상수도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전체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상수도관의 적수 및 탁수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개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개선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수 및 탁수발생을 일으키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로 분류하여 적수와 탁수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퇴적위험도의 인자에는 평균유속지수, 정체지수, 관경지수, 경과년지수, 그리고 관길이지수를 적용하였고 박리위험도의 인자에는 유속차이지수, 유향변화지수, 영향범위지수, 관길이지수, 그리고 수충격지수를 적용하여 위험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용 지역은 인구 85만명의 중도시이며 4개동에 걸쳐서 위험도분석을 진행하였고 퇴적위험도가 높은 관과 박리위험도가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결과분석을 통해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 모두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인자들 중에서 유속 관련지수의 경우 박리위험도에서는 유속이 빠를수록 위험도가 높고 퇴적위험도에서는 느릴수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박리와 퇴적위험도가 모두 높다는 것은 수질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지역(동)에서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개발된 경관년수가 오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3배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과년수가 오래된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의 경우, 가장 높은 관의 박리위험도가 가장 낮은 위험도와 7배 이상이 차이가 났고 퇴적위험도의 경우 약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과년수에 의한 차이뿐만 아니라 인구감소나 인구고령화로 인해 낮 시간 수도사용량이 매주 적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상수도의 적수 및 탁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관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감독을 진행한다면 상수도 수질문제로 인한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