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책성공

검색결과 1,511건 처리시간 0.03초

혁신클러스터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 Cluster: A Case of the Pangyo Techno Valley in South Korea)

  • 정기덕;임종빈;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70-988
    • /
    • 2017
  • 혁신클러스터는 전 세계적으로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 주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도 정책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혁신클러스터를 조성 및 육성하고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혁신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프레임워크에 따라 판교테크노밸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혁신클러스터를 위해서는 혁신지향적인 환경,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 지식 네트워크의 활성화, 혁신성과의 환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CT 중소기업 정책융자금 수요와 지원기업 성공사례 연구 : ICT 융자사업 중심으로 (Demand on Government Sponsored Loan and Successful Case Study on ICT SMEs : Focused on 'ICT Government Sponsored Loan Project')

  • 고경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13-220
    • /
    • 2017
  • 본 연구는 ICT 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유일하게 융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ICT 융자사업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융자금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특정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융자지원 받은 기술개발과제의 연구배경 및 연구성과, 파급효과, 기대효과, 에피소드 등을 살펴봄으로써 융자금 지원이 실제적으로 얼마나 ICT 중소기업의 기술적 경제적 성과 제고에 도움을 주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ICT 분야의 중소기업들은 더 많은 규모의 정책융자금을 요구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기술개발 성공의 핵심요인이자 가장 어려운 과제라는 응답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술경쟁력을 지닌 ICT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필요자금을 융자해 주고 나아가 개발된 기술을 사업화함으로써 영세한 기업재정의 건전성을 회복할 수 있는 자금지원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일본 태양광 산업 발전 및 기술 개발 성과의 시사점 (Analysis of Photovoltaics RD & D Programs and Industry Growth in Japan)

  • 임희진;윤경식;장혁봉;김동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9-275
    • /
    • 2007
  • 태양광 분야에서 일본은 기술 및 보급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서 거론된다. 태양광의 에너지자원화를 목표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의 기술개발 및 보급을 정책 사업화하여 진행시켰고 성공적인 선행 단계를 밟아 왔다. 현재까지의 성공을 기반으로 [태양광 비전 2030]을 수립하여 실현가능한 장기 목표를 구체화하는 단계에 있다. 이에 일본 태양광 산업 및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오늘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이 될 국내 태양광분야의 발전을 위한 지표로 삼고자 한다.

  • PDF

경영혁신을 위한 e-비즈니스의 성공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ful model of the e-business for management renovation)

  • 조재완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9-165
    • /
    • 2006
  • 미국 Intel사, Andy Grove 회장이 말했듯이 '기업들이 예외 없이 인터넷 사업에 나서고 있어 향후 5년 후면 따로 Internet 기업이라는 단어를 쓸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 그 때쯤이면 인터넷 영역에서의 상권을 놓고 관련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이며 승자가 기존 업체들을 인수하게 될 것이다' 라고 말했듯이 최근에 e-business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데, 그 이유는 Internet으로 전 세계가 연결이 되고, 사회 전반의 틀이 변화하면서 정보의 도달성과 충실성의 추구가 동시에 가능해졌으며, 고객의 욕구가 단순화된 제품군에서 복잡 다변화된 제품군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빠른 의사결정과 효율적인 제조환경 구축이 요구되면서 Product Life cycle도 단축이 되었으며 e-Business는 급변하는 디지털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경영혁신의 방안으로 그 필요성이 많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business 모델의 성공 및 실패 사례들을 심도 있게 고찰해 본 후 디지털 환경의 발달에 기인한 새로운 경영혁신을 위한 e-business의 성공모델에 대해서 그 전략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일본 태양광 산업 발전 및 기술 개발 성과의 시사점 (Analysis of Photovoltaics RD & D Programs and Industry Growth in Japan)

  • 임희진;김동환
    • 신재생에너지
    • /
    • 제3권3호
    • /
    • pp.20-27
    • /
    • 2007
  • 태양광 분야에서 일본은 기술 및 보급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서 거론된다. 태양광의 에너지자원화를 목표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의 기술개발 및 보급을 정책 사업화하여 진행시켰고 성공적인 선행 단계를 밟아 왔다. 현재까지의 성공을 기반으로 [태양광 비전 2030]을 수립하여 실현가능한 장기 목표를 구체화하는 단계에 있다. 이에 일본 태양광 산업 및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오늘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이 될 국내 태양광분야의 발전을 위한 지표로 삼고자 한다.

  • PDF

이러닝의 현황과 동향 - 과제도출을 중심으로 -

  • 장일홍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3년도 창립학술대회
    • /
    • pp.551-568
    • /
    • 2003
  • 이러닝은 지식 정보 사회에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산업 중에서 가장 각광 받고 있는 산업의 하나로, 점차 그 잠재적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와 높은 교육열을 가진 우리나라는 이러닝 선진국이 되기 위한 하드웨어와 그것을 운용할 인적자원에 대한 기본적인 준비는 갖춘 상태라 하겠다. 하지만 그런 우수한 하드웨어와 인적자원만으로는 이러닝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은, 인간과 하드웨어를 연결하고 두 요소간에 혈액 같은 흐름을 맡게 될 소프트 스킬, 즉 교수 설계, 컨텐트 개발과 학습 운영 등에 대한 준비가 충분히 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의 하나라고 지목되고 있는 이러닝이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나아가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과제들이 무엇인가를 도출하고자 현재 이러닝의 실시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외 성공적인 사례와 선진 동향에서 교훈을 찾아내었고 국가적 차원에서 성장 동력 사업으로 시급히 검토되어야 할 문제들로 보이는 항목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이러닝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의 육성이 시급하다고 보며 협의의 이러닝 (학습 매체)이 아닌 광의의 이러닝 (성과 매체)으로 거듭 나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 PDF

대안적 에너지 정책에 대한 탐색: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정책과 거버넌스의 역할 (Explaining One Less Nuclear Energy Policy from Governance Perspective: Energy Transition and Effectiveness of Urban Energy Policy)

  • 이주헌
    • 의정연구
    • /
    • 제23권1호
    • /
    • pp.151-185
    • /
    • 2017
  • 서울의 '원전하나 줄이기(2012)' 정책은 성공적인 도시 에너지 정책이자,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의 성공사례로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본 정책의 이른바 '목표달성'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원전하나 줄이기 정책의 높은 수준의 성과가 가능한 이유로, 정책인식, 정책목표, 정책수단 및 정책평가 등의 체계 구성요인 간의 조화를 유지할 수 있었던 서울시의 거버넌스 역량을 핵심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 관점의 설명은 정책의 장(policy arena)으로서의 도시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도시정부의 역량에 따라 체계의 전반적인 전환 과정에서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며 정책체계로서의 항상성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경성에너지체계로 정의되는 합리성-효율성-중앙집권적 에너지체계는 원전하나 줄이기 정책의 시행과 더불어 연성에너지체계로 이행되기 시작하였다. 에너지체계 운영의 주체로서, 체계전환을 관리하는 서울시의 역량은 따라서 가장 중요한 설명변수가 된다.

우리나라 주파수 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 (A Investigation on Bearing for Frequence Policy in Korea.)

  • 김홍모;임병희;고남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6-101
    • /
    • 1998
  • 다양한 통신욕구와 실시간 통신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범세계적으로 글로벌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정치, 사회, 전파, 기술에 큰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파관리정책에서도 기존 주파수의 협대역화 및 재배치, 멀티플 액세스, 신규 주파수대역의 개발, 전파자원 관리방안 개선 및 투명성 확보 등 주파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변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선진국의 주파수 정책 중에서 성공한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주파수 이용현황 및 이용계획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주파수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기업환경을 고려한 SCM(Supply Chain Management)도입의 성공요인

  • 정인근;이명무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02-205
    • /
    • 2000
  • 본 연구는 국내기업과 선진 외국기업의 SCM 사례를 중심으로 벤치마킹을 통하여 국내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의 도입에 적합한 성공요인을 발견하고자 한다. 참조 모델로는 SCC(Supply Chain Council)의 SCOR(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model)를 적용하여 SCM의 발전단계모형과 성공요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국내기업의 SCM의 전략적 도입방안과 SCM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에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광주 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평가지표 분석 (An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Construction of Gwang-Ju Culture Industrial Cluster)

  • 김삼철;김일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77-689
    • /
    • 2013
  • 본 논문은 해외 성공 사례를 통해 문화산업클러스터의 작동원리 및 성공요인과 관련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광주 문화콘텐츠기업의 설문조사와 비교하여 문화산업클러스터 성공적 조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정책적 시사점은 성공기업을 리딩기업으로 하는 연계, 클러스터 배후지로서 대도시 인접 조성, 창의적 인재 양성, 벤처자금 운영, 주력업종(게임, 애니메이션, 모바일콘텐츠) 중심으로 문화산업 육성, 적극적인 네트워크 활성화, 비전제시자로서 시와 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역할 강화, 기업 유치를 위한 과감한 인센티브 부여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