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진폭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5초

격자부호를 이용한 대역폭 효율이 개선된 직교 변조 (Orthogonal Modulation for Improved Bandwidth Efficiency using Product Code)

  • 김도훈;장진규;홍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11-2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중부호 신호(multi-code signal)를 정진폭으로 전송하는 정진폭 다중 부호 트랜스 이진직교 변조방식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류 제어 부호를 제안한다. 격자부호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비트오율 성능을 높이는 방식이 정진폭 다중 부호 트랜스 이진직교 변조 방식에 적합함을 보인다. 정진폭다중 부호 트랜스 이진직교 변조방식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신호를 부호화 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로축의 패리티비트외에 추가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가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부가하되 격자구조가 되도록 하여 비트오율 성능의 개선을 최대화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시스템 복잡도의 증가가 거의 없으며 복호기도 매우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시스템은 격자구조를 사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해 성능의 개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격자부호를 이용한 정진폭 다중부호 이진직교 변조방식 (Constant-Amplitude Multicode-Biorthogonal Modulation using Product Code)

  • 홍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522-52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다중부호 신호(multi-code signal)를 정진폭으로 전송하는 정진폭 다중부호 이진직교 변조방식(constant-amplitude multicode-biorthogonal modulation)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류제어 부호를 제안한다. 격자부호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비트 오율 성능을 높이는 방식이 정진폭 다중부호 이진직교 변조방식에 적합함을 보인다. 정진폭 다중부호 이진직교 변조방식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신호를 부호화 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로축의 패리티 비트에 추가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가로축의 패리티 비트를 부가하되 격자구조가 되도록 하여 비트오율 성능의 개선을 최대화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시스템 복잡도의 증가가 거의 없으며 복호기도 매우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시스템은 격자구조를 사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해 현격한 성능의 개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효율적인 대역폭 이용과 정진폭 신호 전송을 위한 CACB-Q2PSK 변조 (CACB-Q2PSK Modulation for Efficient Bandwidth Utilization and Constant Amplitude Signal Transmission)

  • 홍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3-9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정진폭 신호 특성을 갖는 기존의 정진폭 부호화된 다중 부호 이진 직교 (CACB: Constant Amplitude Coded Multicode Biorthogonal) 변조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대역폭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송률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높은 대역폭 효율을 얻기 위한 방식으로는 기존에 제안되었던 직교위상-직교위상 변조($Q^2$PSK: Quadrature-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그리고 정진폭 직교위상-직교위상 변조 (CA-$Q^2$PSK: Constant Amplitude-$Q^2$PSK) 방식을 이용한다. 먼저 가장 간단한 결합 방식인 CACB-$Q^2$PSK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대역폭 효율은 증가하지만 정진폭 특성을 얻을 수는 없기 때문에 정진폭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첫 번째 CACB-CA-$Q^2$PSK (CACB-CA-$Q^2$PSK II) 변조 방식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정진폭을 얻기 위해 여분의 부호화 과정이 필요하므로 대역폭 효율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대역폭 효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새로운 두 번째 CACB-CA-$Q^2$PSK (CACB-CA-$Q^2$PSK II) 변조 방식을 제안한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서 제안된 CACB-CA-$Q^2$PSK II 변조 방식의 효율성을 보이도록 한다.

높은 대역폭 효율과 정진폭 신호 전송을 위한 CACB-Q2AM 변조 (CACB-Q2AM Modulation for High Bandwidth Efficiency and Constant Amplitude Signal Transmission)

  • 홍대기;강성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1-3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정진폭 신호 특성을 갖는 기존의 정진폭 부호화된 다중 부호 이진 직교 (CACB: Constant Amplitude Coded Multicode Biothogonal) 변조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대역폭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송률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높은 대역폭 효율을 얻기 위한 방식으로는 기존에 제안되었던 직교위상-직교위상 진폭변조 ($Q^2$AM: Quadrature-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그리고 정진폭 직교위상직교위상 진폭변조 ($CA-Q^2$AM: Constant Amplitude-$Q^2$AM) 방식을 이용한다. 먼저 가장 간단한 결합 방식인 CACB-$Q^2$AM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대역폭 효율은 증가하지만 정진폭 특성을 얻을 수는 없기 때문에 정진폭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첫 번째 CACB-CA-$Q^2$AM (CACB-CA-$Q^2$AM I) 변조 방식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정진폭을 얻기 위해 여분의 부호화 과정이 필요하므로 대역폭 효율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대역폭 효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새로운 두 번째 CACB-CA-$Q^2$AM (CACB-EA-$Q^2$AM II) 변조 방식을 제안한다. 컴퓨터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서 제안된 CACB-CA-$Q^2$AM II 변조 방식의 효율성을 보이도록 한다.

  • PDF

정진폭 다중부호 트랜스직교변조 (Constant-Amplitude Multi-Code Trans-Orthogonal Modulation)

  • 홍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93-499
    • /
    • 2011
  • 기존의 직교변조 (Orthogonal Modulation)는 그 효용성에 비해 대역폭 효율이 지나치게 떨어져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중부호 트랜스직교변조 (MCTO: Multi-Code Trans-Orthogonal Modulation)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MCTO 변조는 송신신호의 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RF (Radio Frequency) 단에 포함되어 있는 전력 증폭기 (Power Amplifier)의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부호 신호를 정진폭으로 부호화하는 방식을 이용한 정진폭 다중부호 트랜스직교변조 (CAMCTO: Constant-Amplitude Multi-Code Trans-Orthogonal Modulation)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CAMCTO 변조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제시하고 기존의 직교변조 및 MCTO 변조와 비교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CAMCTO 변조는 기존의 직교변조에 비해 대역폭 효율은 매우 증가하며 MCTO 변조에 비해 RF의 부담을 매우 경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진폭 부호화된 다중부호 이진직교 변조의 QAM 전송방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QAM Transmission Schemes for Constant Amplitude Coded Multicode Biorthogonal Modulation)

  • 홍대기;김선희;김용성;임승옥;조진웅;강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43-35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되었던 정진폭 부호화된 다중 부호 이진 직교(CACB: Constant Amplitude Coded Multicode Biorthogonal) 변조 방식을 고속화 하는 기술로서 CACB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직교 위상 진폭 변조(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을 적용하여 대역폭 효율(BE: Bandwidth Efficiency)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송률을 높일 수 있는 방식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수신단에서 최단 거리 선택 알고리즘(MDSA: Minimum Distance Selection Algorithm)을 이용한 QAM 연판정(SD: Soft Decision) 복조기를 통한 성능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구현시 다중 경로 페이딩(MPF: Multipath Fading)에서 강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DFE: Decision Feedback Equalizer)의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식은 향후 고속의 전송을 요구하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의 물리층(PHY: Physical Layer) 표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확장 $m$-시퀀스 기반의 정진폭 멀티코드 대역확산 통신시스템에서 비트오율 성능 개선을 위한 수신기 알고리즘 (A Receiver Algorithm for BER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Constant Amplitude Multi-code Spread Spectrum System based on the Extended $m$-sequence)

  • 김동주;한준상;김명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7호
    • /
    • pp.12-22
    • /
    • 2012
  • 직교코드를 다중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확산시켜 전송하는 멀티코드 대역확산 통신시스템의 큰 단점은 여러 코드의 합이 멀티레벨이 되어 선형성이 좋은 증폭기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Walsh 코드 및 확장 $m$-시퀀스를 직교 확산코드로 사용하는 멀티코드 대역확산 시스템에서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함으로써 다중 코드의 합을 일정 진폭으로 만드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진폭 확장 $m$-시퀀스 기반 시스템에서 송신 신호의 정진폭화를 위해 부가로 전송되는 동반코드를 수신기에서도 이용함으로써 비트오율 성능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수신기에서는 코드검출 과정에서 1 개의 검출 오류가 있는 경우 오류를 정정하는 능력을 가져서 비트오율 성능이 개선된다. 제안된 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기본 수신기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코드집합 분할 방식의 확장 m-시퀀스 기반 정진폭 멀티코드 대역확산 통신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패리티 검사 기반 수신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d Parity Check Receiver for the Extended m-sequence Based Multi-code Spread Spectrum System with Code Set Partitioning and Constant Amplitude Precoding)

  • 한준상;김동주;김명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8호
    • /
    • pp.1-11
    • /
    • 2012
  • 직교코드를 다중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확산시켜 전송하는 멀티코드 대역확산 통신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도 높은 확산이득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러 코드의 합을 더해서 전송하는 송신기의 구조 상 송신기 출력의 진폭 변화가 커서 선형성이 좋은 증폭기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Walsh 코드를 확산코드로 사용하고 부호화 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송신기 출력의 진폭을 일정하게 만드는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최근에는 확장 m-시퀀스를 확산코드로 사용하는 정진폭 멀티코드 대역확산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전체 코드집합을 4개로 분할하여 코드 선택을 하고 부호화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송신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수신기에서 복호를 위한 연산량이 크게 감소한다. 코드집합 분할 방식을 적용한 확장 m-시퀀스 기반 시스템에서 정진폭 부호화를 위해 송신기에서 추가로 전송하는 동반 코드를 수신기에서 검출하여 다른 코드와 함께 패리티 검사를 함으로써 코드검출 오류를 보정하여 비트오율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패리티 검사 기반 수신기에 비해 비트오율 성능이 우수한 개선된 패리티 검사 기반 수신기 구조를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