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의주의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Liberal Environmentalism and Environmental Justice (자유주의적 환경론과 환경정의)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6 s.111
    • /
    • pp.671-693
    • /
    • 2005
  • This paper is to explore critically environmentalism, especially in terms of environmental justice, suggested or implied in theory of liberalism which has bee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contemporary society. It begins with a brief look at liberal perspective in a broad sense, then interprets in-depth the classical liberalism of J. Locke, libertarianism (esp. R. Nozick) and utilitarianism (including cost-benefit analysis)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And finally it considers liberal pluralism and other alternative theories of pluralism, especially communitarianism (esp M. Walzer), postmodern pluralism (esp. I. Young), and cultural pluralism (esp. C. Taylor)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liberal environmentalism and to find out some clues for theory of environmental justice.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we need to transfer from liberalism (including liberal pluralism) to critical pluralism in oder to develop a prope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conceptualize a desirable theory of environmental justice.

Ecology and Productive Justice in Marx (맑스의 생택학과 생산적 정의)

  • 최병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49-472
    • /
    • 1999
  • 본 논문은 맑스가 자본주의의 사회적 및 환경적 부정의를 비판하고 정의로운 사회 및 자연과의 관계를 위한 사회주의적 프로젝트를 제안했던 원칙들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적 생태학 일반 그리고 특히 환경정의 이론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제안된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주의 사회 및 자연에 대한 맑스의 비판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와 자연에 관한 그의 개념은 두가지 기본적인 정의 원리들, 즉 인간과 자연 간 관계에 관한 그의 생태적 개념화에서 도출될 수 있는‘필요’원칙과 ‘노동’원칙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둘째, 도덕성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대한 그의 거부로 인해, 맑스는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일관하면서 자본주의에서의 정의 이론을 발전시키지 않았지만, 반면 그는 사회주의 사회와 자연과의 관계에서 (환경)정의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안했다. 그리고 끝으로 그의 환경정의에 관한 개념화는 단지 분배적 정의 패러다임으로만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그가 생산을 교환.분배 그리고 소비를 포함하는 유기적 전체로서 이해한 바와 같이 ‘생산적 정의’라고 부를 수 있는 것과 관련지어 이해되어야 한다.

  • PDF

Ecology and Naturalistic Justice in Nietzsche (니체의 생태학과 자연주의적 정의)

  • Byung-Doo Cho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3
    • /
    • pp.411-433
    • /
    • 1998
  • This paper examines how Nietzsche, criticizing anti-naturalist philosophies, reformulated concepts of nature and human nature, and revaluat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ism. Especially, it focuses on his task for naturalistic ethics to naturalize nature and to place man back into nature. This paper also tries to reinterpret his attempt to transfer the concept of justice from the metaphysical realm to the naturalistic one, which seems to give some important insights to develop theory of environmental justice, while pointing out some limitations in his naturalistic concept of justice.

  • PDF

The Effects of National Culture on Ethical Decision-Making in the Internet Context : An Exploratory Analysis (인터넷 영역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국가문화의 영향 : 탐색적 분석)

  • Yoon, Cheolho;Choi, Kwangd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2
    • /
    • pp.23-36
    • /
    • 2014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national culture on an individual's ethical decision-making in the context of the Internet. An ethical decision-making model which posits that five moral philosophy variables-justice, relativism, egoism,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affect ethical judgment; ethical judgment, in turn, affects behavioral intention was proposed and Hofstede's five cultural dimensions of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masculinity, uncertainty avoidance, and long-term orient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national culture on th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and masculin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ontology variable and ethical judgment, individualism, masculinity, and uncertainty avoid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stice variable and ethical judgment, and individualism and long-term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judg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Internet context.

흄의 원리와 암묵적 정의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0 no.2
    • /
    • pp.23-46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왜 프레게는 공리 V 대신 흄의 원리를 기본 원리로 삼지 않았을까?"라는 물음에 답하는 데 있다. 이 물음은 프레게 철학의 해석에 관한 물음이기도 하지만, 최근의 새로운 논리주의의 기획이 정당한가를 묻는 물음이 기도 하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나는 프레게 철학의 틀 안에서 흄의 원리를 공리로 삼는 방안과 정의로 삼는 방안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우리 논의를 통해 흄의 원리를 공리로 간주하는 방안은 프레게의 논리주의 기획이나 공리관과 어울리지 않으며, 그것을 정의로 간주하는 방안 또한 그의 정의관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나아가 흄의 원리를 기수 개념의 암묵적 정의로 간주하려는 시도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떤 것인지를 규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thical Basis of Global Citizenship Idea as a Theory on Global Justice - Focusing on Rawls' Liberal Internationalism and Cosmopolitan Republicanism (지구적 정의론으로서 지구시민권구상의 윤리학적 기초에 대한 연구 - Rawls의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와 코즈모폴리턴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 Sim, Sangy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5 no.4
    • /
    • pp.295-31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thical basis of two influential global citizenship idea - Rawls' liberal approach and cosmopolitan republicanism - as a theory on global justice. In the aspect of deontology, Rawls' view has the limit not to reflect reciprocal obligation and duty on civil right in the era of economic globalization that inequality has been structured. But cosmopolitan republicanism has the basis of deontological justification because advocates the realization of anti-domination principle at global level. In the aspect of utilitarianism, Rawls attempts to justify the logic rejecting redistribution intra nations. But cosmopolitan republicanism has the potential to decrease maleficence at global level and to increase utility level through overcoming the structured sacrifice of the citizens of developing countries.

  • PDF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in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 Whang, Woo-Hyung;Lee, Yu-N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1
    • /
    • pp.1-38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academic self-concept, learning attitude, interest, mathematical anxiety, learning habits) in mathematics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regular students in Korean Middle Schoo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gifted students, and as data or resources for counsellors when they advise the gifted students on enhancing study strategies and developing future course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on mathematics between two groups. Here, th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 for Window 12.0 Program were appli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of both groups. Therefor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fectionism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regular students. But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of the gifted students appeared higher compare with regular students. The affective traits in mathematics of the gifted students appeared more positive compare with regular students. There were a few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in mathematics at two group all. however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in mathematics showed to correlation. There were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assistance is needed for the gifted students so that their perfectionism flows positively into developing their gifts. Second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pecialized mathematical program reflecting on the affective traits of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should be offered.Lastly, t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 researcher regarding relevance with perfectionism and affective traits regarding subject shall be performed more. The result of research shall be included to contents of training for the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 PDF

Ecology as a New Paradigm and Environmental Justice (생태학의 재인식과 환경정의)

  • 최병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709-719
    • /
    • 1998
  • 오늘날 세계는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되었지만, 생태위기의 발생과 더불어 환경문데를 둘러싼 불평등이 감소하기 보다는 오히려 증대하고 있다. 21세기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생태학은 이러한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지식 및 실천으로서 '환경정의'의 개념 또는 이론을 필요로 한다. 진정한 환경정의론은 한편으로 생태학의 규범적 측면들을 발전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의 이데올로기의 동원을 막을 수 있는 이론적 및 실천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정의에 관한 개념적 연구는 주로 사회정의에 관한 철학적 전통, 특히 자유론, 공리주의, 계약론을 포괄하는 자유주의적 정의론, 맑스주의적 정의론 및 포스트모던 정의론 등에서 도출된 주요 개념들을 자연환경에 확대시키고자 한다. 환경정의에 관한 몇몇 학자들, 대표적으로 벤쯔(Wenz), 하비(Harvey), 로와 그리슨 (Low and Gleeson) 등은 다양한 전통을 위에서 제시한 (환경)정의론들을 면밀히 고찰하여, 이들 각각의 한계를 제시하거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나아가 이들을 종합하고자 했다. 이들의 연구는 환경정의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그 자체로 일관성 있는 이론으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이 글에서 제시되는 환경정의론은 인간들 간의 관계, 자연과 인간들 간의 물질적 관계, 그리고 상징적 관계 등에 상응하도록 정의를 3가지 차원, 즉 분배적 정의, 생산적 정의, 승인적 정의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들은 각각 필요의 원칙, 노동의 원칙, 그리고 의사소통의 원칙에 기초하며, 또한 각각 자유주의적, 특히 롤즈의 정의론, 맑스주의 정의론, 그리고 비판이론이나 포스트모던 정의론에서 많은 시사점들을 얻을 수 있다.

  • PDF

고차 개념으로서 수

  • Park, Jun-Yo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5 no.1
    • /
    • pp.81-117
    • /
    • 2001
  • 이 글은 수학적 플라톤주의를 포기하더라도 프레게에게 열려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논리 주의 프로그램의 한 가능성, 즉 수를 고차 개념으로 이해하는 논리주의 프로그램을 그가 왜 선택하지 않았는가 하는 물음에 대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나는 수를 고차 개념으로 이해할 때 산수의 기초 개념들을 만족스럽게 정의할 수 있는지, 그런 정의들로부터 프레게의 기수 이론의 공리들을 고단계 논리학 내에서 모두 증명할 수 있는지를 차례대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나는 그 검토 결과에 근거할 때 대상들이 무한히 많이 있다는 가정에 의존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유한 기수들이 무한히 많이 있다는 것을 보증할 수 없다는 점을 논증할 것이고, 바로 그 점이 프레게가 비플라톤주의적 논리 주의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주요 이유였음을 논증할 것이다.

  • PDF

'가깝다'에 관하여

  • Lee, Seung-On;Hwang, In-J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2 no.1
    • /
    • pp.1-24
    • /
    • 2009
  • 이 논문에서 우리는 집합의 두 점 사이의 관계를 소개하고, '가깝다'와 '충분히 가깝다'의 위상적인 개념을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직관주의 논리와 관계가 있는 De Morgan frame을 소개하고 pre-order에 의하여 정의된 동치관계로 만들어진 동치류들의 집합을 기저로 생성된 위상 공간이 extremally disconnected 임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