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의적 측면

Search Result 1,2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Affective Outcomes in Software Education Using Games (게임을 활용한 SW교육의 정의적 성과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 Kang, Myunghee;Park, Juyeon;Yoon, Seonghye;Kang, Minjeng;Jang, Jee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5
    • /
    • pp.475-486
    • /
    • 2016
  • As software transforms the structure of industry, it becomes a key measure in determining market competitiveness. Therefore, various educational efforts have been attempted in Korea to cultivate software professionals to secure software competitiveness. While previous studies had focused mainly on the cognitiv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the authors tried to focus on affective perspectives. The authors, therefore, aimed to analyz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recognition of software importance and learning flow on affective outcomes, such as efficacy of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attitude toward, and satisfaction with, software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3 sixth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oftware education. Results show that software importance and learning flow ha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affective outcomes; Learning flow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ware importance and affective outcome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affective outcomes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education.

Extending Object-Oriented Models with Scoping Constructs (객체지향 모델에서 사용범위 기능 도입에 관한 연구)

  • 권기항;김지승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 no.2
    • /
    • pp.195-199
    • /
    • 1999
  • While object-oriented models are effective in achieving sharing and code reusability, they unfortunately lack a mechanism for giving scope to objects. We propose an object-oriented model in which each object can be given a scope, i.e., an object becomes available only when it is needed. Thus, the set of currently available objects is dynamically changing and only the needed set of objects is maintained in this model. We illustrate the usefulness of this model through some examples.

  • PDF

Project Management Risk Features between Information System Project and Commercial Packages (프로젝트 위기관리와 상용패키지의 위기관리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Hyun Sun;Lee, Seouk-Jo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04a
    • /
    • pp.553-556
    • /
    • 2015
  • 정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환경이 다양해지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환경의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젝트의 위험요소들이 늘어남에 따라,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위험요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 프로젝트관리 측면에서의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있어왔으나, 소프트웨어 관점에서의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부족했다고 판단, 기존 프로젝트 위험요소 정의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에서 정의된 위험관리요소에 대한 재정의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위험요소 정의의 타당성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설비의 리모델링을 고려한 건축물 설계

  • 김수암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9
    • /
    • pp.17-26
    • /
    • 2001
  • 최근 국제적인 여건과 사회적인 상황이 급변하여 대량생산-대량소비지향으로 인한 폐기물의 대량방출사회에서 지구환경보전을 중시하는 사회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지구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각종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건축분야에서도 지구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산화탄소배출의 억제와 폐기물 삭감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건축물의 장수명화와 리모델링도 이러한 움직임과 궤틀를 같이 하는 것이다. 물론 리모델링은 신축시장의 급감에 따른 대체시장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측면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신축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에 중점이 두어져 재고건축물에서 간과해 왔던 유지관리와 리모델링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결부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사실 지금까지 리모델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일반건축물 부문에서는 상당부분 이루어져 왔으며, 공동주택 부문에서도 극소수 이루어져 왔다. 리모델링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리모델링은 건축물 또는 외부공간의 성능 및 기능의 노후화나 진부화에 대응하여 보수, 수선, 개수, 부분증축 및 개축, 제거, 새로운 기능추가 및 용도변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행위를 포함한다. 리모델링을 통하여 건축물의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켜 쾌적하고 건강한 건축물의 재고 를 구축함과 아울러 건강한 지역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질적인 향상을가져옴으로써 환경을보전하 고 자원낭비를 줄여 지속가능한 건축물과 사회를 만들어 갈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축물에서 리모델링을 하게 되는 동기는 시간이 흘러 물리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노후화가 발생하거나 기능적인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건설당시의 성능이나 기능유지가 어렵거나 건설당시의 기능만으로는 요구조건을 만족함 수 없기 때문에 건설 당시의 수준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요구에 적합하도록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물리적 또는 기능적인 개선이나 개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개선이나개량을위하여 중요한것은건축 물을 구성하는 자재나 부품의 수명문제이다. 수명의 길이차이가 건축물의 리모델링에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수명의 자재나 부품의 접합상태가 리모델링 공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리모델링 공사가 신축공사의 70-80% 정도의 공사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리모델링 공사가 어렵다는 업체의 불만은 바로 이러한 점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좋은 사례이다. 본 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근간으로 한 설비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축 계획 및 구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는 기존건축물의 설비자체의 보수나 개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 아니라 건축설계 및 시공시에 향후 설비부분을 용이하게 개.보수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 PDF

Argument and Argumentation: A Review of Literature for Clarification of Translated Words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 Kang, Nam-Hwa;Lee, Eun 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3 no.6
    • /
    • pp.1119-1138
    • /
    • 2013
  • It has been a decade since argument and argumentation were introduced in science education literature in South Korea. The word "argument" has been translated into three different Korean terms i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ose translated terms by examining how the terms were defined and used in Korean education research literature.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the diversity of translation, we examined definitions of argument and argumentation, research topics in papers published in major international journals on science education, and reviewed relevant science education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n journals. We reviewed 79 papers published since the year 2000 in major international journals on science education, whose titles have terms argument and/or argumentation and 37 Korean science education papers whose titles have terms translated from the two English words. Findings showed that Korean researchers defined argument and argumentation either in a general sense or in a specific sense such as science investigation or group work aspects, depending on research contexts. Researchers in Korea rarely mentioned the diversity of translation. If they mentioned it, justification for a specific translation of the term was not provided except for in one case. When the same foreign literature was reviewed to define "argument" or "argumentation, different Korean words were used to translate the same two terms. This indicated to the researchers that the translation of the terms was not related to their definitions of them. On the other hand, each research group used a certain translation of the term consistently, indicating that translations might be based on research tradition. Based on the findings, a position on translation of the term is proposed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 groups.

A Study on th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o Enhance Mathematical Creativity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 Lee, Dae-Hy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6 no.1
    • /
    • pp.39-61
    • /
    • 2012
  • Mathematical creativity is essential in school mathematics and mathematics curriculum and ensures the growth of mathematical ability. Therefore mathematics educators try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via mathematics education for a long time. In special, 2011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emphasizes mathematical creativity. Yet, it may seem like a vague characteriz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Furthermore, it is needed to develop the methods for developing the mathematical creativity. S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developing the mathematical creativity. For this, I discuss about issue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extract th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re divided into cognitive factors, affective factors and attitude factors that become the factors of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mathematical instruction. And I develop 8-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based on the characters of mathematics and the most recent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se models make it crucial for students to develop th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reate the new mathematics in the future.

  • PDF

Study for the meaning of facade as media (디지털영상으로써 미디어파사드의 매체적 의미성 연구)

  • Lee, Jong Ha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1
    • /
    • pp.209-226
    • /
    • 2013
  • With rapidly changing multimedia environment, various artistic changes and digitalized up-to-date social infra, urban environment construction based on culture contents has been activated. The large image in front of urban building that is expressed as media-façade, increasing rapidly in a recent period, is not a new thing at all. In addition, IT technology molten in city space is testing the possibility of new media through the meeting with architecture. However, unlike its infra enlargement, the definition about media-façade is not clear so the system was constructed in a level of night lightscape or outdoor image advertisement. The purpose of this guideline is the regulation from the negative aspect rather than the possibility of various visual, artistic media expressions. Therefore, it could not show essential concept of media-façade. Moreover, most of companies or building owners focus on short-term profit and marketing effect rather than prepare various contents so they can not use constructed infra properly. After all, in many cases, they discolor the meaning of media-façade. This paper is a pilot study to grasp the current definition of media-façade to construct right guideline of media-façade.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will prepare academic definition of media-façade and construct the guideline for design evaluation.

IPTV 서비스 및 기술 진화 방향

  • Yun, Jang-U;Lee, Hyeon-U;Ryu, Won;Kim, Bong-Tae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8
    • /
    • pp.3-11
    • /
    • 2008
  • 네트워크의 광대역화, 방송의 디지털화와 웹2.0을 모토로 하는 사용자의 정보 소비 행태 변화는 기존의 방송과 통신의 경계를 허무는 통방 융합 서비스의 도래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통방 융합 서비스인 IPTV 서비스의 정의 및 서비스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며, 사용자의 정보 이용환경 및 기술 발전에 근거한 IPTV서비스의 진화 방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특징 및 기술을 고려한 IPTV 서비스정의에 대하여 알아보며, 각각의 서비스 특징 및 기술에 대하여 서비스 진화적인 측면에서 고찰한다. IPTV서비스의 향후 발전 방향은 웹2.0기반 서비스와 이동형 서비스이며, 개인화 및 개방성을 지원하기 위한 IMS/SDP 기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지식기반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전환에 징검다리 역할을 할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IPTV서비스 및 플랫폼은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IPTV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및 플랫폼 기반 기술이 중요성을 가지며 망 진화 관점에서 IPTV 서비스 관련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Jazz Rhythm and Polyrhythm (현대 재즈리듬과 폴리리듬과의 관계)

  • Kim, Hyoun-J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64-86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드럼연주에 있어서 라이드 심벌 비트(ride cymbal beat)를 중심으로 현대 재즈리듬과 폴리리듬과의 연관성에 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현대는 아주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음악을 수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재즈에서의 리듬은 어느 한 가지로 단순히 정의할 수 없다. 그러나 재즈의 전통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 변화를 이야기 할 수 있는 리듬은 보편적인 재즈리듬이라 일컬어지는 스윙리듬(swing rhythm)이다. 이러한 스윙리듬은 현대의 폴리리듬을 이전보다 더 정교하게 연주하는 연주인들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재즈의 역사 속에서 변화해 온 것과 다르게 좀 더 음표의 정의에 맞게 연주되는 경향이 생겼다. 이것은 어떤 면에서 전통적인 재즈리듬의 느낌, 혹은 개개인의 개성이 다소 사라지고 좀 더 기계화, 정형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Education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 Bae, Gi-Taek;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1-16
    • /
    • 2009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재교육의 교육내용 역시 세분화되고 있다. 그러나 영재교육이 지나치게 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면서 영재 아동의 사회성과 인간관계가 무시되는 경향이 있어 영재교육의 인지적 영역만 아니라 사회 정의적 영역 모두 중요 시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인 내용 중 하나가 리더십 교육이다. 영재교육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를 길러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그 자료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을 위한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초등정보과학영재용 리더십 교육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