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신측정

Search Result 95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Standard Model of Entrepreneurship Index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Kim, Jumi;Park, Jaepi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0 no.2
    • /
    • pp.237-249
    • /
    • 2013
  • Many institutes such as Bank of Korea,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and Chamber of Commerce announced Entrepreneurship Index models. But, due to the arbitrary measurement model and the survey of each institute, there is a misled in the understanding and model of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there is no research about comparative study of Entrepreneurship Index until now. In this study, we suggest our own Entrepreneurship Index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Entrepreneurship Index. This model enables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Entrepreneurship Index. Above all, we sugges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xisting Entrepreneurship Index model systematically and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Index.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Bae, Hye-Gy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95-100
    • /
    • 2020
  • 본 연구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청소년의 진로를 탐색하고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는 미래인재로서 진로탐색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시기이므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일반적으로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을 포함한다. 위험감수성은 불확실한 결과가 예상됨에도 과감히 도전하려는 의지이고, 진취성은 새로운 기회를 선제적 및 적극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혁신성이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선호하고 추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기회와 창의성, 문제해결력이 기업가정신에 중요한 요인에 포함됨을 판단할 수 있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 측정항목으로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으로 정하고, 기업가적 태도 하위항목으로 기회발견과 창의성 역량을, 창의성 역량의 세부지표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의사소통능력, 혁신적 업무행동능력 선정하였다. 진로개발역량의 하위항목으로 진로설계, 개척정신을 정하였으며 진로설계의 세부지표로 자기탐색, 직업탐색, 직업가치관, 진로태도를,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 차별화태도, 도전정신을 선정하였다. 이의 측정을 위해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기업가정신 함양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어떠한 역량이 높아졌는지에 대한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측정을 통하여 더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과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NS 운전원의 행위자료 및 정신부하 측정체계 개발

  • 이동하;손영숙;심봉식;이정운;박근옥;박재창;오인석;차경호;이현철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10a
    • /
    • pp.37-37
    • /
    • 1995
  • CNS의 인간공학적 실험 평가 항목중 중요 요소의 하나인 운전원의 인지적 작업부하(정보입력, 의사결정, 및 정서적 부하)를 평가하기 위해 인지적부하를 부과할 수 있는 사건 시나리오 구성방법, 피실험자에 대한 훈련 방법, 실험과 디브리핑을 통한 운전원 행위 및 사건 경위 기록 체계를 개발하였다. 운전원 행위자료 데이타베이스에는 특정 요소행위 시점, 관측행위 분류, 사용된 표시장치, 의사결정내용, 사용된 조종장치, 조종행위분류, 운전원간 의사소통 내용, 정서상태, 표시장치 및 조종장치의 사용편의성 여부 및 불편이유, 주요사건 발생시점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었다. 운전중 CNS 운전원에 제시되는 자극의 변화에 수반되는 운전원의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운전원이 받는 정신부하를 측정하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ECG, EEG, 호흡패턴,피부온도, 수평EOG, 수직EOG, 심박률, 및 호흡률의 생리변수에 대한 측정이 이루 어졌으며 각각의 신호를 초당 100개씩 샘플링하여 A/D 변환하고 정신부하 추정 알고리즘을 거쳐 정신부하 여부를 판정하는 점수를 구하였다. 다차원의 정신부하 판정 점수는 OR gate에 의해 통합되어 정신부하 발생시점과 함께 정신부하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었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2개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Kim, Ga-Yeong;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09-118
    • /
    • 2019
  •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혁신 및 국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가정신교육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Katz, 2003; Kurako, 2005). 한국 정부는 '창의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정책 목표로 기업가정신교육 예산이 증가시키고 있으며, 교육 대상자도 대학생 및 성인 대상을 중심에서 중 고등학생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가정신교육은 창업가적 스킬을 발전시키고 진로선택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Linan, 2004), 다수의 기관에서는 저마다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 및 운영방식을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수준의 프로그램에서는 교육의 효과성을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로 측정하고 있지만, 사회에 진출하기에 이른 시기인 청소년에게 그 지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2개의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청소년에게 적합한 효과성 지표를 제시하고, 두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Examining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rief Symptom Inventory(BSI-18) in Korean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정신장애인에 대한 Brief Symptom Inventory-18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 Hoe, Maanse;Lee, Soon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6 no.3
    • /
    • pp.253-276
    • /
    • 201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SI-18 in Korean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This study examined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a factor structure of the BSI. The sample consisted of 180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who enrolled in mental hospitals and in a day hospital. Data was analys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Korean version of the BSI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excellent convergent validity. The original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BSI-18, proposed by Derogatis, 2001, fitted to the dat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SI-18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as a psychiatric assessment tool and a treatment outcome measure.

  • PDF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교육 만족도를 중심으로

  • 고유영;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31-35
    • /
    • 2023
  • 기업가정신은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개발할 수 있으며 창업의 성공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청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창업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높은 목표와 열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창업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창업의지와 이를 촉진하기 위한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가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113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28.0을 활용해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Humane Entrepreneurship: Theoretical Foundations and Conceptual Development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이론적 기반과 개념 개발)

  • Bae, Zong-Tae;Kang, Myung Soo;Kim, Ki-Chan;Park, Ji-Hoon
    • The Journal of Small Business Innovation
    • /
    • v.20 no.4
    • /
    • pp.11-21
    • /
    • 2018
  • The extant entrepreneurship research has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businesses by recognizing and exploiting new opportunities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people in organizations. To remedy this issue, scholars recently suggested the concept of humane entrepreneurship where the traditional view on entrepreneurship is enhanced by the human-centered logic. However, more scholarly work is needed to develop the concept of humane entrepreneurship as a new perspective of the entrepreneurship research domain.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enhance the research on humane entrepreneurship by suggesting i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identify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humane entrepreneurship with empirical data. This study suggests the five disciplines in management studies as theoretical foundations of humane entrepreneurship: strategic entrepreneurship, stakeholder theor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tivation theory, and humanistic management. Also, we developed the measurement of humane entrepreneurship and test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by collecting data from 19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 of humane entrepreneurship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humane and enterprise cycle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further research agenda in the domain of humane entrepreneurship research.

  • PD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sychiatric patients on ability model : A convergent using of performance test and self-report test (능력모델에 근거한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정서 지능 : 수행기반 검사와 자기보고식 검사의 융합적 사용)

  • Kim, Keun-Hyang;Park, Ju-Ri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2
    • /
    • pp.35-42
    • /
    • 201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features of Emotional Intelligence(EI) in psychiatric patients in terms of the ability model. EI scores of patients, measured by performance-based test and self-report inventory, was compared. The scores of performance-based test(Emotional Literacy Test) and self-report inventory(Trait Meta-Mmood Scale) of patients(30 with psychotic symptoms, 32 without psychotic symptoms) who had a appropriate literacy were analyzed by means of independent t-test.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Q between two groups. Our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tic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EI in performance-based test than non-psychotic group. In contrast, non-psychotic group showed lower EI in self-report inventory than psychotic group. This inconsistent results might be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s in method of measurement. Thu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may be important to adopt a convergent using of both performance-based test and self-report inventory while assessing EI of patients with psychopathology.

Automatic Nerve Activity to Physiologic Response in Adult With Psychiatric Disorder: A Systemic Review (성인 정신장애의 청각자극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 측정에 대한 체계적 고찰)

  • Jung, Hye-Rim;Kim, Kyeong-Mi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9 no.1
    • /
    • pp.45-52
    • /
    • 2011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method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using equipments and auditory stimulation, and the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of adult psychiatric disorders through a systemic review. Methods : The systemic review was executed using PubMed. The key words for search were "auditory stimulation, auditory startle, electromyograph, skin conductance, heart rate, psychiatric disorder, anxiety disorder, schizophrenia, depression". 8 stud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all of levels of evidence were level II. The substances of the review were subject(population), auditory stimulation, measure equipments and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of psychiatric disorder. Results : 1.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were anxiety disorder(4) and schizophrenia(4). 2. Auditory stimulation was used in 8 studies and visual stimulation with auditory stimulation was used in 2 studies to induce physiologic response. 3. Every study used electromyograph, and skin conductance was used in 2 studies and heart rate was used in 2 studies with electromyograph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4.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schizophrenia and anxiety disorder(PTSD, OCD) have different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All studies used simple tones as an auditory stimulation and electromyograph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Psychiatric disorders indicated larger response, shorter and delayed habituation. The objective and systematic study using physiologic measure to investigate the sensory feature of psychologic disorders.

  • PDF

Effect of Mood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기분과 성격특성이 정신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Koo, Moon-Sun;Yu, Bum-Hee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8 no.1
    • /
    • pp.59-66
    • /
    • 2001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ood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measured by a biofeedback system in a normal population. Methods: Fifty healthy volunteers without any history of medical or psychiatric illne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pielberger trait anxiety inventory,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s in these subjects. Using the J & J biofeedback system, we also measured skin temperature, electrodermal response, forearm and frontal electromyography (EMG)s in 3 experimental conditions of baseline, stress, and recovery phases. Results: Trait anxie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except stress response in forearm EMG levels(r=0.282, p<0.05). Depressed moo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rearm EMG levels in baseline (r=-0.299, p<0.05) and recovery phases(r=-0.314, p<0.05). Subjects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depressed mood showed different stress and recovery responses in frontal EMG levels compared with those with relatively low levels of depressed mood (F=4.26, p<0.05). Extroverted subjects showed higher levels of forearm EMG than introverted ones in stress phase. Conclusion: Mood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are closely related with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measured by a biofeedback system. We suggest that mood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variables in analyzing abnormal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in some psychiatric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