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matic Nerve Activity to Physiologic Response in Adult With Psychiatric Disorder: A Systemic Review

성인 정신장애의 청각자극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 측정에 대한 체계적 고찰

  • Jung, Hye-Ri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
  • Kim, Kyeong-M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정혜림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김경미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1.06.07
  • Accepted : 2011.08.01
  • Published : 2011.09.11

Abstract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method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using equipments and auditory stimulation, and the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of adult psychiatric disorders through a systemic review. Methods : The systemic review was executed using PubMed. The key words for search were "auditory stimulation, auditory startle, electromyograph, skin conductance, heart rate, psychiatric disorder, anxiety disorder, schizophrenia, depression". 8 stud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all of levels of evidence were level II. The substances of the review were subject(population), auditory stimulation, measure equipments and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of psychiatric disorder. Results : 1.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were anxiety disorder(4) and schizophrenia(4). 2. Auditory stimulation was used in 8 studies and visual stimulation with auditory stimulation was used in 2 studies to induce physiologic response. 3. Every study used electromyograph, and skin conductance was used in 2 studies and heart rate was used in 2 studies with electromyograph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4.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schizophrenia and anxiety disorder(PTSD, OCD) have different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All studies used simple tones as an auditory stimulation and electromyograph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Psychiatric disorders indicated larger response, shorter and delayed habituation. The objective and systematic study using physiologic measure to investigate the sensory feature of psychologic disorders.

목적 : 성인 정신장애를 대상으로 청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한 연구에서 사용된 청각자극의 종류와 측정도구를 알아보고 대상군의 자율신경계 반응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으로는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는 PubMed이었다. 검색어는 "auditory stimulation, auditory startle, electromyogram, skin conductance, heart rate, psychiatric disorder, anxiety disorder, schizophrenia, depress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8개이었으며, 근거의 질적 수준은 모두 수준II이었다. 분석 내용은 대상군의 특성, 청각자극의 종류, 측정도구, 정신 장애의 청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이었다. 결과 : 1. 연구 대상군은 불안장애와 정신분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각각 4개이었다. 2. 생리학적 반응 유발을 위해 청각자극만 제공한 연구가 6개, 청각자극과 함께 시각자극을 포함한 연구가 2개이었다. 3. 분석대상 연구 모두에서 근전도(electromyograph)를 사용하였으며, 근전도와 함께 피부전기전도(skin conductance)를 측정한 연구가 2개, 심박수(heart rate)를 측정한 연구가 2개이었다. 4. 정신분열장애와 불안장애(외상후 스트레스장애, 강박장애)는 일반인과 다른 생리학적 반응을 보였다. 결론 :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에서 사용한 자극은 청각자극으로 단순음을 제시하였고, 근전도는 안륜근에 전극을 붙여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정신장애군은 청각자극에 대해 큰 반응, 짧은 잠재기, 지연된 습관화 등의 특징을 보였다. 앞으로 정신장애군의 감각 특성에 대하여 생리학적 측정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