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건강복지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43초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직무소진과 정서노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Effects of Job burn-out, Emotional labor on Mental Health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Model of Resilience-)

  • 김묘정;김근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51-2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직무소진 및 정서노동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14년 국립정신보건교육 연구센터의 학술용역연구에서 수집된 정신건강전문요원(간호, 사회복지, 임상심리의 3개 직역 각 1 2급 자격자) 1,02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무소진과 정서노동 모두 정신건강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직무소진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정신건강 종사자들이 직무소진으로 인한 정신건강이 저하될 위험성을 회복탄력성이 완충시켜 줄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 서비스 대상자들의 정신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자인 정신건전문요원들의 정신건강에도 동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강조하는 연구로서 정신건강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양측 모두에서 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건강전문요원을 비롯한 정신건강 분야 종사자들의 정신건강 관리에 관한 방안 등이 추가로 논의되었다.

델파이 기법을 통한 소방공무원 보건안전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A Study for Deduc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Health Safety and Welfare Policy for Korean Firefighters by Delphi)

  • 박찬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4-43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기본계획, 그리고 매년 연도별 계획이 실질적으로 소방공무원의 보건과 복지에 기여하는지 여부를 실증검증하여 현재 계획에 근거한 정책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현황분석과 더불어 해당분야 전문가들로부터의 델파이분석기법에 의해 연구결과: 소방공무원 보건안전정책에서의 문제점으로 소방관 전문병원의 부재, 일선 소방서차원의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미흡, 현장활동 위험평가 체계 미흡의 문제, 심신건강관리사업의 효과성 문제, 심신안정 프로그램의 내실화 부족, 정신건강관련 교육의 부재, 정신건강관련 프로그램 이용자의 은닉성 보장문제가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으며, 소방공무원 복지정책에서의 문제점으로 부모소방관에 대한 지원부족, 퇴직소방관에 대한 노후설계대비 미흡, 여성소방관에 처우개선 미흡이 도출되었다. 결론: 개선방안으로 소방전문병원설립,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 및 소방서내 CISD 리더 양성프로그램 마련, 재난현장 위험평가체계의 마련, 찾아가는 심리상담실사업등에 대한 효과성 측정등의 평가체계 도입, 수요자 만족도 조사등을 통한 프로그램 내실화, 정신건강관련 교육시스템 마련, 인사시스템 개선을 통한 은닉성 보장 방안, 육아 휴직제도 장려 및 소방서내 육아시설 도입, 퇴직소방관 활용 방안 수립 및 사업 활성화, 여성소방공무원을 위한 정책마련 방안이 도출되었다.

노년기 신체 활동 특성과 우울, 스트레스 및 행복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Types with Depression, Stress and Happiness in the Elderly)

  • 강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80-691
    • /
    • 2021
  • 본 연구는 노년기 신체활동 특성과 우울, 스트레스 및 행복 등 정신 건강의 실태를 보고하고, 신체활동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년도 자료 중 총 2,381사례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대부분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강도 신체활동과 유산소 신체활동은 대부분 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우울, 스트레스, 행복 등의 정신건강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중강도 신체활동 및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에 따라 우울, 스트레스, 행복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기 신체활동 및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독립주거 거주 중증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Living in Supported Housing)

  • 이성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281-299
    • /
    • 2008
  •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지원을 수반하는 독립주거 (Supported Housing)는 정신장애인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 독립성, 지역사회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는 이상적이고도 실현 가능한 주거모델로 간주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독립주거의 긍정적 결과물 가운데 하나인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과 독립주거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시의 독립주거 프로그램인 SIL(Supported Independent Living)에 거주하는 237명의 중증 정신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인터뷰, 정신건강 서비스 행정데이터 및 2000년도 미국 센서스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적자원, 주거환경, 지원 프로그램, 서비스 요인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신건강 진단, 정신질환 수준,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 그리고 프로그램 관리자와의 우호적 관계가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은 중증 정신장애인들의 더 나은 삶의 질을 통한 안정된 독립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지역사회 서비스 계획 및 정책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노인부부의 가정폭력실태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ior couple's domestic violence and its effect on mental health)

  • 박상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01-109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 부부간의 폭력실태를 피해와 가해를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부부폭력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부폭력은 정서적폭력, 경미한 신체폭력, 심각한 신체폭력, 성적폭력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하였다. 정신건강은 우울, 스트레스, 공격성, 자존감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부부폭력 피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9.9%로 가장 높았고, 신체폭력은 3%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 가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5.4%이고, 신체폭력은 2%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 분석결과 피해의 경우는 폭력유형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우울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해의 경우는 공격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부부폭력은 폭력유형과 가해와 피해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부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서 부부폭력 예방을 위한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활성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기초정신건강증진센터의 평면유형 및 소요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or Plan Typ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Standard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 임은정;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5-5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the basis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floor plan type and spatial composition by analysing standard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to 22 standard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ental Health Center is divid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Location types of mental health center were 'Director type', 'Health center connection type', 'Public facilities connection type', 'Complex center connection type' and 'Commercial Facilities connection type'. Secondly, Depending on the type of management a mental health center is divided into two types. Types are 'Complex type' and 'Independent type'. Average area of 'Complex type' is $192.99m^2$ and 'Independent type' is $266.87m^2$. This difference affects the various spaces.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give and architectural suggestion of mental health center in response to the proposal of the system.

서울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경증 혹은 무증상 코로나19 감염자의 정신건강: 우울, 불안, 외상경험, 자살위험성에 대한 단면 분석 (Mental Health of Asymptomatic or Mildly Symptomatic COVID19 Pati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Community Treatment Center: Cross Sectional Analysis of Depression, Anxiety, Trauma Experience, and Suicidal Tendency)

  • 문명현;이해우;유용준;신주희;안치웅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08
    • /
    • 2022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pression, anxiety, trauma experience, and suicidal tendency among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a community treatment center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each symptom. Methods : A total of 213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Tae-reung community treatment center between March 16, 2020 and April 30, 2020 were recruited into this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or interview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as used to assess PHQ-2, GAD-7, PC-PTSC and P4 screener. In 90 pati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urden of each psychiatric symptoms and associat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 Female gende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GAD-7 score, score of each GAD-7 subscale of 1, 2, 3 or 4 (nervous, control of worry, worry, and trouble relaxing), and sum of GAD-7 subscale scores reflecting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 of anxiety (1. nervous+2. control of worry+3. worry+7. afraid). Previous psychiatric history and, number of counseling service used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HQ-2 score and the duration of isol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Q-2 score.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were more prevalent in COVID-19 patients at the community treatment center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gende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 of anxiety. It shows the necessity of an appropriate psychiatric intervention protocol and health-policy preparation for community treatment centers.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집단회상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MHRQoL)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Reminiscence Approach among the Elderly Using Daycare Center :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MHRQoL))

  • 권오경;허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92-608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성에 대해 검증하여 사회복지적 개입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로써 비동일성 통제집단 사전 사후 전후실험설계로 프로그램 참여 노인과 비참여노인을 비교하여 사전·사후 차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집단회상프로그램 참여집단은 비참여 집단보다 삶의 질 정도가 높았다. 둘째, 참여집단의 활력과 정신건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고, 감정적 역할 제한과 사회적 기능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 및 제언으로, 첫째, 노인들의 활력과 정신건강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집단회상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기능과 감정적 역할 제한의 영역까지 포함한 전체 하위영역에 포괄적으로 효과성이 입증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효과성이 입증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노인주간보호센터에서 시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서울시의 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서비스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끝으로 지역사회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