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4.59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Reminiscence Approach among the Elderly Using Daycare Center :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MHRQoL)  

Kwon, OhGyeong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Hur, Junsoo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group reminiscence program for the elderly who use the elderly daycare center. An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s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ng elderly and the non-participating elderly in a group reminiscence program. To this e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reminiscence programs for the elderly using the daycare center on MHRQo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ared wit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in this study had a higher quality of lif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Second,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vitality and mental health in the sub-factors of MHRQoL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emotional role restriction and social fun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develop and improve programs that encompass the entire sub-areas of MHRQoL, and to implement programs that positively affect the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persons. Finally, it was suggested to link and cooperate with senior welfare centers and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Keywords
Social Welfare; Daycare Center for the Elderly; Group Reminiscence Program;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MHRQoL); Program Effectiv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여인숙, 김춘경, "노년기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이야기치료 회상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구성방법에 따른 효과 비교," 상담학연구, 제8권, 제1호, pp.199-228, 2007.   DOI
2 김수영,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50-62, 2006.
3 권미화, 정다해, 김수경, "집단 회상치료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6권, 제2호, pp.11-18, 2012.
4 배강대, 이현림,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무력감,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7권, 제2호, pp.347-364, 2006.
5 최유임, "작업회상치료가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12호, pp.781-789, 2019.   DOI
6 L. M. Watt and P. appeliez, "Integrative and instrumental reminiscence therapies for depression in older adults: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reatment effectiveness," Aging & mental health, Vol.4, No.2, pp.166-177, 2000.   DOI
7 김한솔, 정민예, "치매 노인에게 적용한 작업 중심 회상치료와 의사소통 중심에 따른 회상치료의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5권, 제2호, pp.17-28, 2011.
8 서울형 평가.인증, 서울시복지재단, 2022
9 https://www.law.go.kr/법령/서울특별시장기요양기관 좋은 돌봄 인증제 운영에 관한 조례
10 하혜미, 최은영, 전종국,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제19권, 제2호, pp.405-421, 2012.
11 권미화, 김수경,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맞춤형 회상치료 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3-23, 2019.
12 백용운, 최신 재가복지론, 공동체, 2016
1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2
14 B. Woods, L. O'Philbin, E. M. Farrell, A. E. Spector, and M. Orrell, "Reminiscence therapy for dement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3, 2018.
15 E. T. Bohlmeijer, M. Roemer, P. Cuijpers, F. Smit, "The effects of reminisc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adults: a meta analysis," Aging & Mental Health, Vol.11, pp.291-300, 2007.   DOI
16 허준수,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4권, pp.235-263, 2014.
17 이민숙,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제2권, 제3호, pp.191-211, 2005.
18 한현숙, 여성노인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 H. Hojjati, S. A. Sharifnia, S. Hassanalipour, G. Akhonzadeh, and H. Asayesh, "The effect of reminiscence on the amount of group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Urmia Nursing & Midwifery Faculty, Vol.9, No.5, 2011.
20 S. E. McKenzie, The efficacy of a culturally relevant life review program: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mmunity-dwelling African American elders, University of Minnesota, 2004.
21 S. Bluck and L. J. Levine, "Reminiscence as autobiographical memory: A catalyst for reminiscence theory development," Aging and Society, Vol.18, No.2, pp185-208, 1998.   DOI
22 권은정, 이용호, 김남송, "회상치료가 요양원 여성노인의 우울, 불안 및 회상기능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3호, pp.159-181, 2011.
23 김명희,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복지 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심리행동연구, 제5권, 제1호, pp.93-116, 2013.
24 김현정, 송미숙, 배선형, 유미애, "회상프로그램이 우울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018.
25 홍기훈, 주아영, 구성민, 김윤완, 정혜림,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제5권, 제2호, pp.57-64, 2015.   DOI
26 이은정, "한국노인의 회상(回想)의 본질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제35권, 제4호, pp.498-509, 1998.
27 송선희, 권승숙, 김은임, 노유석, 이상매, 임나현, 주민경, 하경분, 새로 쓴 노인교육론, 신정, 2019.
28 인지훈련도구자료집, 국민건강보험공단, 2020.
29 C. Sheridan, Reminiscence: Uncovering a lifetime of memories, Elder Press, 1991.
30 엄명용, "뇌졸중 노인을 위한 회상 그룹 운영과 평가," 한국노년학, 제20권, 제1호, pp.21-35, 2000.
31 김혜경, 백경원, 100세 시대의 노년기 건강, 신정, 2018.
32 허준수, "노인들의 고독감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101-131, 2011.
33 박경순, 박영란, 염유식, "사회참여가 농촌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2호, pp.200-227, 2015.
34 임영아, 신택수, 조영채, "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301-310, 2018.   DOI
35 R. J. Havighurst, and R. Glasser, "An exploratory study of reminiscence," Journal of gerontology, Vol.27, No.2, pp.245-253, 1972.   DOI
36 배극수, 강창교, 권영길, 이영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퍼시픽북스, 2014
37 권중돈, 김동배,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 실천, 학지사, 2011.
38 전시자, "회상(reminiscence)에 관한 개념 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19권, 제1호, pp.92-98, 1989.
39 J. J. Wang, "The effects of reminiscence on depressive symptoms and mood status of older institutionalized adults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 journal of the psychiatry of late life and allied sciences, Vol.20, No.1, pp.57-62, 2005.   DOI
40 홍승연, 김혜민, "전래동화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경도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269-270, 2017.
41 김귀분, 윤지현, 석소현, "개인회상요법이 노인의 우울, 사기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과학회지, 제36권, 제5호, pp.813-820, 2006.
42 Y. Ching-Teng, L. Chia-Ju, and L. Hsiu-Yueh, "Effects of structured group reminiscence therap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in Taiwan," Social work in health care, Vol.57, No.8, pp.674-687, 2018.   DOI
43 김말선, "회상을 통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어르신의 자아통합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Vol.13, No.2, pp.97-113, 2010.
44 김영숙, 도복늠,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제12권, 제2호, pp.483-500, 2005.
45 공재희, 윤숙영, 최병진, "회상을 활용한 원예치료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지, 제18권, 제4호, pp.305-309, 2015.
46 오영이, 이숙민,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제1권, 제2호, pp.79-86, 2016.   DOI
47 양성지, "노인들의 신체운동 참여와 사회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57권, 제1호, pp.23-36, 2018.
48 조지용, 박태영, "갈등으로 인한 이혼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41-62, 2011.
49 김윤정, "회상을 통한 우리나라 여자노인들의 일생과 자아통합감," 노인복지연구, 제18권, pp.207-231, 2002.
50 A. Kousha, A. Sayedi, H. R. Moghaddam, and H. Matlabi, "The Iranian Protocol of Group Reminisc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stitutionalized Older People,"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Healthcare, Vol.13, pp.1027-1034, 2020.   DOI
51 이기표, 유미경,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활력과 사회지원,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73권, pp.377-387, 2018.
52 조명희, 허준수, "규칙적인 여가활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제44권, 제4호, pp.77-91, 2020.
53 권중돈, 치매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학현사, 2004.
54 J. E. Ware and C. D. Shaborne, "The MO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36) I conceptual frame 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Vol.30, No.6, pp.473-483, 1992.   DOI
55 이영주, 노경민, "사업장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9권, 제3호, pp.173-183, 2020.   DOI
56 원성윤, 심선화, 우희순, "영상매체를 통한 회상기법이 치매노인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1호, pp.67-76, 2016.   DOI
57 최미영, 곽현근, 박현식,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제66권, pp.307-328, 2014.
58 이향숙, 윤정애, 노종수, 차정진, 강선애, 강현아, 김은미, 박종현, 이보람, "개별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적 건강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6권, 제2호, pp.19-29, 2012.
59 M. P. Lawton, "A multidimensional view of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s," In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Academic Press, Vol.3, No.27, 1991.
60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61 A. M. Pot, E. T. Bohlmeijer, S. Onrust, A. S. Melenhorst, M. Veerbeek, and W. De Vries, "The impact of life review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 IPA, Vol.22, No.4, pp.572-581, 2010.   DOI
62 김형수, 김지민, "노인의 종교성에 따른 심리적 안정감 및 죽음태도 차이," 가족과 상담, 제3권, 제1호, pp79-92, 2013.
63 E. Bohlmeijer, F. Smit, and P. Cuijpers, "Effects of reminiscence and life review on late-life depression: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8, No.12, pp.1088-1094, 2003.   DOI
64 M. Pinquart P. R. Duberstein, and J. M. Lyness, "Effects of psychotherapy and other behavioral interventions on clinically depressed older adults: a meta-analysis," Aging & Mental Health, Vol.11, No.6, pp.645-657, 2007.   DOI
65 H. Karimi, B. Dolatshahee, K. Momeni, A. Khodabakhshi, M. Rezaei, and A. Kamrani, "Effectiveness of integrative and instrumental reminiscence therapies on depression symptoms reduction i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n empirical study," Aging & Mental Health, Vol.14, No.7, pp.881-887, 2010.   DOI
66 권미경,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67 노길희, "한센노인에 대한 집단회상요법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3권, pp.7-34, 2009.
68 H. M. Chen and C. M. Chen,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y, Vol.11, No.1, pp.12-15, 2017.   DOI
69 2021년 장기요양기관 현황, 국민건강보험, 2022.
70 R. N. Butler, "The life review: An interpretation of reminiscence in the aged. Psychiatry," Vol.26, No.1, pp.65-76, 1963.   DOI
71 장우심, 이재모, "집단회상요법이 치매 노인의 우울, 삶의 질 및 사회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4권, pp239-269, 2006.
72 권오균, "노인복지시설 거주노인의 죽음불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27-50, 2008.
73 홍정미, 노병일, "재가 치매노인에 대한 회상활동의 우울 감소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9호, pp.483-492, 2017.   DOI
74 P. Gallagher and K. Carey, "Connecting with the well-elderly through reminiscence: Analysis of lived experience," Educational Gerontology, Vol.38, No.8, pp.576-582, 2012.   DOI
7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 2021.
76 김은경, "노인의 연령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9권, 제5호, pp.2807-282, 2017.   DOI
77 l. Fallowfield, What is quality of life, Health Economics, 2009.
78 이해영, 노인복지론, 창지사, 2019.
79 이수인, 유지영, "아동기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7권, pp.109-138, 2018.
80 https://www.law.go.kr/법령/노인장기요양보험법
81 Erikson, Insight and Reponsiblility, George J. McLeod, 1964.
82 이미숙, "노인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삶의 질, 인지, 심리.정서적 요인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5권, 제3호, pp.232-240, 201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