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간호학 실습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이 요중 17-Ketosteroid(KS), 17-Hydroxycorticosteroid(OHCS)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inical Experience for Psychiatric Nursing on Urinary 17-Ketosteroid(KS) and 17-Hydroxycorticosteroid(OHCS) of the Student)

  • 나현주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권1호
    • /
    • pp.85-9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first experience of the clinical experience for psychiatric nursing on the urinary 17-ketosteroid (KS) and 17-hydroxycorticosteroid (OHCS) of the nursing students. We analyzed the urine of fifteen students on curriculum who were students of D college in K c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terms of 17-KS, at the end (4 PM) of the first day (p=0.001) and the last day (p=0.00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terms of 17-OHCS, at the end of the first da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p=0.005), and between at the beginning (8 AM) and at the end during the clinical experience (p=0.035). At the last day,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tatistics between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in both the control (p=0.018) and the experimental group (p=0.004). In conclusion, 17-KS and 17-OHCS may be used as a indicator of the amount of stres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 PDF

간호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실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 배행자;안황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5
    • /
    • 199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self esteem and self concept, psychiatric nursing lectures on students'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at practice. The subjects were 123 third year nursi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of G University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989 to 1991 by question-aires and academic records. Pearson Correlation and t-test were used in analysing the data to confirm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the study variable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confirm the predictors of the nursing students'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 on psychiatric nursing pracice evaluation scores. 2) Relationship of the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 and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 the higher the degree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 was the higher the scores for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r=.5528, p(.001). 3) Relationship of psychiatric nursing course and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the higher the scores in the psychiatric nursing course the higher the scores for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r=.2793, p(.01). 4) Relationship of self-esteem & self concept and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 Self-esteem 8f concept was not significant o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5) Stepwise multiple correlation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self-esteem and self concept, psychiatric nursing lectures o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valuation scores showed that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psychiatric nursing course scores influenced the evaluation scores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significantly.

  • PDF

산업간호교육에 관한 실태조사 - 기본 간호교육을 중심으로 -

  • 김화중;전경자;고봉련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호
    • /
    • pp.5-16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간호사의 역할 확대에 따른 교육과정의 개선 및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기본간호교육과정에서의 산업 간호교육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기본간호교육과정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둘째,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을 파악하였고, 세째, 산업 간호교육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1991년 2월 18일 부터 2월 25일까지 기존 문헌을 토대로 기본 간호교육과정의 일반적 특성과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을 파악하였고, 산업 간호교육 실태에 대해서는 2월 26일부터 3월 15일까지 전국에 있는 간호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작성된 조사표에 의해 전화 또는 서신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대상 산업간호교육 실태조사의 대상은 조사에 응답한 간호교육기관 41개교로서 '90년 현재 전국 간호교육기관의 66.1%를 차지하는 것이다. 교육과정별로는 간호대학 14개교 전문대학 27개교였고, 지역별 분포에 있어서는 대학과정 중 6개교(42.9%)가 서울에 있으며 전문대학의 경우 전남 6개교(22.2%), 경북 5개교(18.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교육과정의 특성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과목 분포 및 주전공 교과목의 내용을 파악하였다. 대학과정의 경우 평균 141.3학점, 전문대학의 경우 평균 120학점이 필수 이수 학점인 것으로 나타났고, 두 경우 모두 전공교육에 관한 학점이 총 이수학점 중 대학 55.5%, 전문대 57.2%를 차지하였다. 주전공 교과목 중에서는 성인간호학 및 실습, 기초간호과학 및 실험, 모아간호 및 실습, 지역사회간호학 및 실습, 정신간호 및 실습의 배당 학점이 특히 많았다. 3)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 산업간호 교육의 기본 개념틀올 제시하고 있는 지역사회간호학은 체계이론과 Stevens의 간호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는데 이 모형에 따르면 산업간호는 지역사회간호 문제의 하나로 다뤄지고 있다. 4) 산업간호 교육 실태 조사 대상 학교 모두 산업간호에 관한 내용을 강의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6개 학교에서는 실습도 병행된 바 있다. 강의는 주로 전문대의 경우 3학년(22개교), 2학년(5개교)에서, 대학의 경우 모두 4학년에서 이루어졌다. 산업간호 강의의 편성형태는 36개교(87.8%)가 지역사회간호의 일부로 다루고 있었으며, 강의시간수는 5~9시간이 19개교(47.5%)로 가장 많았다. 강의시간에 주로 사용되는 교재로는 교수가 직접 작성한 참고자료나 보건학강좌, 산업보건학 등이 사용되었다. 강의내용 또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전문대학의 경우가 더욱 다양했으며, 전반적으로는 산업간호사업, 산업간호개념, 직업병관리가 가장 많았다. 한편 실습운영에 있어서는 산업체의 비협조 또는 거리상의 문제 등이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었다. 실습대상인 업체로는 종이제조업, 제철업, 신발제조업, 전자업체, 봉제업체, 관공서, 유리제조업체가 있었고, 주로 1주일간 실습지침서를 이용한 현지 교수 중심의 지도와 1,2회의 conference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일 견학하는 정도로 운영하는 학교와 선택 학점으로서 3주동안 실습을 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첫째, 전반적인 전공교육과 특히 지역사회간호학을 통해서 산업간호사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일반적인 능력이 길러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산업간호사의 업무 중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산업간호라는 교과를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사용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 실습현장의 마련, 시간 및 학점의 증가 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이 요중 $Na^+$, $Cl^-$, $K^+$, $Ca^{++}$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inical Experience for Psychiatric Nursing on Urinary $Na^+$, $Cl^-$, $K^+$, $Ca^{++}$ of the Student)

  • 나현주;한유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3권2호
    • /
    • pp.51-61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irst experience of the clinical experience for psychiatric nursing on urinary $Na^+$, $Cl^-$, $K^+$, $Ca^{++}$ of the nursing students. We analyzed the urine of 36 students on curriculum who were students of D college in K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A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paired t-test, GLM. The second day group increased 18.56 at 8AM, 31.90 at 4PM in case of $Na^+$(p=0.004). The second day group increased 27.61 at 8AM, 45.53 at 4PM in a case of $Cl^-$(p=0.009). The first day group increased 2.62 at 8AM, 7.09 at 4PM in case of $K^+$(p=0.018). The second day group increased 3.69 at 8AM, 5.19 at 4PM in a case of $K^+$(p=0.013). The second day group increased 20.65 at 8AM, 14.07 at 4PM in a case of $Ca^{++}$(p=0.03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a^+$ according to group at 8AM(F=4.17, p=0.024) and 4PM(F=3.58, p=0.04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 according to group at 8AM(F=4.38, p=0.020) and 4PM(F=6.29, p=0.00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 according to group at 8AM(F=5.03, p=0.012). In conclusion, $Na^+$, $Cl^-$, $K^+$, $Ca^{++}$ may be used as a indicator of the amount of stres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 PDF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융합연구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 정성원;황라일;이영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65-27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두 개 시도에 위치하고 있는 3년제 대학의 간호과 학생과 4년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총 81명의 설문 응답에 대해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남자 대학생보다 높았으며, 간호학이라는 전공에 만족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경우 대학생활에 만족한다고 한 학생들이 불만족한 학생들보다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학생들의 스트레스원은 주로 의료인, 환자, 보호자들의 태도와 실습환경, 정신적 요인 이었다. 실습 중 타 직종 및 대상자와 가족과 지속적인 응대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융합적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습 전에 중재가 시행되어야 한다.

ARCS모형 적용 온라인 기반 지역사회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online-based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with the ARCS model)

  • 김판희;김희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n online-based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with the ARCS model and a conventional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in promoting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of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elf-efficacy.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44 nursing students at three nursing colleges in Gyeongsa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the online-based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with ARCS model,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the conventional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from July 9, to September 3, 2022. Both groups received practice training 8 hours a day, 5 days two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exact χ2, Mann-Whitney U-test, and Quade's two-way ANCOVA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8.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an experimental group training with the online-based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with ARCS model and a control group training with the conventional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of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and learning self-efficacy. However, communication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F=6.23, p=.017). Conclusion: The online-based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program with ARCS model can be used as a substitute learning to improve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capabilities in situations when clinical practice is suspended due to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disease 2019 or when is a shortage of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institutions.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received Online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 김미자;오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93-104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2020년 3월16일부터 6월19일까지 간호학과 4학년 28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𝑥2-test,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변수의 평균은 학습만족도 4.03±.70, 학습자기효능감 5.69±.82, 전이동기 5.52±.86이었고, 문제해결능력은 3.65±.41이었다. 학습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r=.387, p<.001), 학습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r=.576, p<.001), 전이동기와 문제해결능력(r=.536, p<.001)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𝛽=.11), 평균성적(𝛽=.12), 전공선택의 개인적 동기(𝛽=-.12), 간호학전공만족도(𝛽=.13), 학습자기효능감(𝛽=.36)과 전이동기(𝛽=.16)로 변수의 설명력은 41.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해결능력과 관련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표준화환자 활용 정신간호학 융합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만족도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on Motivation to Transfer in the Practicum of Psychiatric Nursing Convergence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learning)

  • 오현주;김미자;박경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75-383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무에 접하기 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융합 시뮬레이션 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습 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144명의 3학년 간호학생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을 하였고, Baron & Kenny의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만족도와 학습자기효능감(r=.686, p<.001), 학습만족도와 전이 동기(r=.633, p<.001), 학습자기효능감과 전이동기(r=.804, p<.001)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자기효능감은 학습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7.63, p<.001).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무에 적용하고자 하는 전이동기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 이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정신과 간호실습 과정과 자기실현에 관한 연구 (Self. Actualization of College of Nursing Students Resulting from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 이광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40
    • /
    • 1976
  •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personality changes in collegiate nursing students as a result of their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10 students in 8 colleges of nursing in Korea, 96 with psychiatric practice, 103 with other clinical practice and III with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1. The self-actualization scores of nursing students resulting from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2. The self-actualization scores of nursing students resulting from other clinical nursing practice. 3. The difference between scores for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those without experience. 4. The relevance between self-actualization and sibling order. 5. The relevance between self- actualization and religion. 6. The coefficiently scores for students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The instrument used was the Personal Orientation Inventory (POI), developed by Shostrom. It provides a measure of values and behavior which are thought to be of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self- actualiz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Competence, Self 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resulting from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ner Directed, Existentialist, Feeling Reactivity, Spontaneity, Nature of Man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resulting from other clinical nursing practic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ner Directed, Feeling Reactivity, Spontaneity, Self- Regard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between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and those without practice.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Acceptance scale for both the eldest and the youngest siblings.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Competence, Inner Directed, Existentialist, Self-Acceptance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for middle and youngest siblings,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istentialist scale between students with a religion and those without one. 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students without a religion in the Time Competence, Inner Directed, Self-Regard, Nature of Man,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after clinical practice. 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students, with a religion in the Inner Directed, Existentialist, Spontaneity, and Nature of Man scales after clinical practice. 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students in the Self- Actualizing value, Spontaneity, Nature of Man and Synergy scales according to whether their parents had a religion or not. 10. Before and after practice, significantly differe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ime Competence and Capacity for Intimate Contact scales : the Inner Directed and Existentialist scales ; the Self- Actualizing Value and the Feeling Reactivity, Spontaneity, Self-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 the Feeling Reactivity and Acceptance of Aggression scales: the Spontaneity and the Self-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and between the Self-Regard and Nature of Man sca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