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비성

Search Result 1,5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Method of Computing Standard Wartime Maintenance Man-Hour Incorporating Wartime Maintenance Condition (전장 정비환경을 고려한 전시 표준정비인시 산출방안 연구)

  • Kim, Min-Hy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477-483
    • /
    • 2021
  • In a military maintenance system, the standard maintenance man-hour of weapon systems is a tool to estimate the maintenance capabilities of maintenance units, provid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maintenance needs and workload,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aintenance plan. The standard maintenance man-hours of major weapon systems have already been derived and used, but the standard maintenance man-hour in a wartime maintenance environment has not been computed. Therefore, the standard wartime maintenance man-hours need to be derived and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 and method of computing the maintenance man-hours. In addition, this work suggests the criteria of collecting and screening data that is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standard maintenance man-hours and introduce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intenance man-hour distribution in the process. The proposed process first designs a model that reflects the wartime maintenance environment, selects statistical techniques, collects maintenance data, analyz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estimates the distribution, and finally presents representative values of maintenance man-hour.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the standard wartime maintenance man-hours of the four weapon systems were calculated, and the distribution of the maintenance man-hours was analyzed to follow a lognormal distribution, and the method presented reliable results.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Urban Renewal Projects in Korea: Focused o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전국 도시재정비사업 추진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고찰: 주택재개발사업 및 주택재건축사업을 중심으로)

  • Lim, Jung-Min;Lee, Young-Hwan;Kim, Jae-Sung;Kim, Sung-You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4 no.4
    • /
    • pp.333-348
    • /
    • 2013
  • The detailed current situation of urban renewal projects which have implemented in all over the country is sorted by regional and divisional groups, researching press reports. Problems in the progress of promoting urban renewal projects made the paper are analyzed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about urban renewal projects synthetically and then, deduced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 First, formulating long-term renewal plan is needed. Secondly, It should be changed into the gradual urban renewal project on a small scal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of each local area. Finally,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consideration of local conditions should be carried out.

Lean Maintenance Framework, Maintenance Strategy for ILS and Case Study on Lean PM (종합군수지원(ILS) 측면의 린 메인터넌스 프레임워크, 정비 전략 제시 및 린 예방정비(PM) 사례 연구)

  • Lim, Jae-Hoon;Seo, Yang-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9
    • /
    • pp.5502-5512
    • /
    • 2014
  • Until recently,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ILS) focused mainly on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supportability factors (maintenance planning, maintenance tools, support equipment, supply support, maintenance training, etc.). In the long term, supportability strategies and policies are needed in terms of LEAN-like cost reduction, efficiency in the field of weapon systems. This study first introduces the concept of Lean, theory of Lean Maintenance and suggests Lean maintenance framework, maintenance strategy for ILS. The ca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maintenance time, maintenance man-hours, maintenance cost for Lean PM in a radar system. The direction of LEAN on supportability in a weapon system is suggested.

A Feasibility Study on Adopting the Maintenance Rule (정비 규정 도입 타당성 연구)

  • 황미정;김길유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79-285
    • /
    • 2000
  • In Korea, as risk informed applications and regulations become active, the necessity of Maintenance Rule(MR) has increa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Maintenance Rule, which is one of the performance-based regulations and to propose the effective maintenance and regulation method. Also, Periodic Safety Assessment (PSR) and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RCM) are introduced a little.

  • PDF

The Economic Benefits of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s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경제적 편익 분석)

  • Yoo, Seung-Hoon;Lee, Gwang-Man;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32-336
    • /
    • 2010
  • 댐 운영 제약조건의 해소, 댐 기능회복, 댐직하류 하천에 대한 치수적 안정성 확보, 댐 운영의 효율성 제고 등을 위하여 댐 홍수조절과 댐직하류 하천의 연계 등 치수측면을 고려한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조기시행이 요구되었으며, 아울러 일부 댐의 건천방지를 위한 하천유지용량 확보, 하천수질개선, 하천생태계조성, 하천공간조성 등 이수 및 환경 생태 측면에서도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32개 댐 하류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정비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임하댐, 용담댐 3개 댐을 시범사례로 선정하여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에 따른 경제적 편익의 개념을 정립하고 직접 추정하고자 한다. 편익 항목으로 생활용수 공급편익, 공업용수 공급편익, 농업용수 공급편익, 유지용수 공급편익, 발전편익, 홍수조절 편익 등을 고려하였는데, 대청댐은 연간 37.5억원, 임하댐은 연간 60.1억원, 용담액은 연간 42.5억원의 경제적 편익이 발생하여 3개 댐을 합하면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경제적 편익이 연간 140.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편익을 다시 국가 대 한국수자원공사로 배분하였더니 약 38% 대 62%로 계산되어, 현행 부담 비율인 40% 대 60%는 비교적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PDF

Retirement Prediction Model for ROK Navy's Maintenance Support Unit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적용한 해군 정비지원부대 퇴직자 예측 모델)

  • Jun-Mi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35-338
    • /
    • 2023
  • 국방 무기체계의 운용유지를 위해서는 숙련자에 의한 신뢰성있는 정비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고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구/제작된 해군 무기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와같은 정비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군에서는 효과적인 정비지원을 위해 수개의 정비지원부대를 조직하여 운용하고 있다. 원활한 정비지원부대의 운용을 위해 다년간 기술력을 축적한 정비인원의 중도 이탈을 예방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해군 정비지원부대의 퇴직자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정비인력의 만족도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봉급, 특근율 등을 변수로 사용하였고, F1 Score를 통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0.7이상의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 모델을 통해 조기 퇴직이 예상되는 그룹의 공통 개선소요를 파악하여 사전 조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Revetment in Gwangju Stream (광주천에 대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Park, Nam-Hee;Kim, Yun-Hwan;Jin, Young-Hoo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98-1107
    • /
    • 2007
  • 과거 치수적 목적에 의해 진행하던 하천정비방식이 최근에 친환경적 개념의 정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천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천살리기 운동을 비롯해 하천의 환경기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며 전국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또는 친환경적 하천복원 등의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정비 개념의 도입이후 많은 하천에 다양한 자연형 호안공법이 시공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적합한 호안공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상 하천이 지니는 특성에 적합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 데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적용 호안이 시공 이후 하천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광주천을 대상으로 하여 호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하천인 광주천은 광주시를 관통하는 도시하천으로, 현재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광주천의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리적 안정성, 식생의 건전성과 경관/심미성 및 생태성을 포함한 평가방식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광주천에 적용하여 하천공사 전후의 호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호안평가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Effect of maintenance of drainage ditches for various uses of paddy fields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로 정비 효과)

  • Yi, Hya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4-514
    • /
    • 2022
  • 쌀 공급과잉이 사회적 문제가 되면서 논에 타작물 재배를 위한 논의 다각적 활용 시스템 구축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해 2020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지구를 선정하였다. 전북 김제시 옥성지구는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지구로 선정되어 용·배수로 정비가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 김제시 옥성지구 용배수로 정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시범사업 전후의 주요 영농여건 변화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 DB, 흙토람 등을 이용해 옥성지구 일대 수혜 필지와 비수혜 필지를 추출하고, 각 필지별 실제 경작자 명단을 작성 후 1:1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옥성지구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면적은 총 50.4ha인데, 169개 필지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129개 필지의 총 69명의 경작자 명단이 작성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조사에 총 30명이 참여했고, 이 가운데 수혜구역과 비수혜구역의 논을 동시에 경작하고 있는 9농가를 대상으로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 정비 전후의 성과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9농가는 모두 논콩을 재배하고 있다. 이들의 평균 논콩 재배면적은 2020년 1.76ha에서 2021년에는 2.22ha로 증가했다. 그리고 논콩 10a 당 생산량을 살펴보면, 2020년 355.8kg/10a에서 2021년에는 567.2kg/10a로 사업 전후 논콩 단수가 211.4kg/10a 증가했다. 평균 우리나라 전국 콩의 생산량이 203kg/10a, 전북 248kg/10a(2021년 기준)인데 반해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지구의 논콩 생산성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로 정비를 통해 평균 단수는 211.4kg/10a 증가하기 때문에, 용배수로 정비는 논타작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로 정비 이전에 평균 침수 시간은 24시간 이내였다. 이러한 침수로 인해 논콩 재배농가들은 대부분 논타작물 재배의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용배수로 정비 후 평균 침수 시간은 3시간 이내로 단축되었다. 이러한 침수시간 단축은 논콩 생산비 절감으로 이어져 용배수로 정비 후 시범사업 수혜 농가들의 논콩 직접생산비는 10a당 210,200원으로 전년 대비 34,250원/10a 감소하였다.

  • PDF

A Study on Effect of Intellectual Study Cadastral Data Maintenance Business - Focusing on Uiwang-city - (지적공부 자료정비 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의왕시를 중심으로 -)

  • Choe, cho-won;Shin, soon-ho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7 no.1
    • /
    • pp.237-250
    • /
    • 2017
  • This study focuses on the maintenance of the registration details of the cadastral study (drawings, chiefs) in relation to Uiwang city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formation unification project by the data maintenance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igh quality data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data maintenance business in the unification of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ntellectual study diffusion maintenance model in the futu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llectual study data maintenance project and the effectiveness of institutional, temporal and cost aspects, it was able to show the effect of the data maintenance project.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typed the error shown here, and developed the maintenance plan and maintenance result.

A Study of Planning for Gumswae-dong Garden Heritage Maintenance (고산 윤선도 금쇄동 정원유적 정비에 관한 연구)

  • Kim, Moo-Han;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1
    • /
    • pp.41-51
    • /
    • 2015
  • Gosan Yoon, Sundo's Gumswae-dong Garden Heritage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Historical Site 432 including Hyunsan old fortress wall. The site requires maintenance planning. For the plan, it also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Gosan's written documents describing the garden heritage and the site survey with on-site inspections for authentic maintenance approaches. It should be based on the thorough comprehension of historical remains. The site is a traditional ancient garden, so its approaches should be different with a historic structure and building. For the planning, the study conducts the interview of residents and experts, literature review, the investig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site survey, and the analysis of aerial photography. The results are following:5) Firstly, the paper suggests three types of an excavation area selection: core, recommend and investigation. Secondly, of 22 landscapes named by Gosan, it has the plan of guidance facilities, vegetation maintenance, safety facilities, landscape maintenance as view points, pathway maintenance, deck, and halting place. Thirdly, it also suggests pathway plan for authentic garden promenad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f Gumswaedong-Gi, an old map and aerial photography(1967, 1976, 1990), and interviews with residents. Fourthly, it suggests vegetation refurbishment at the site to check erection time and to require a preservation plan. In a case of no historic remains part, it also has a plan of amenities for visitors and wetlands for biodiversity of ecology and landscape. Finally, although it requires excavation and more historical evidences for the Hyunsan fortress wall, it suggests a maintenance plan of Pyeonchuksseong and Hyeopchuksseong parti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