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비사업

Search Result 79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 Based on the Project Area, Economic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소요기간의 영향요인 - 사업구역과 경제적 및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

  • Lee, Jaewon;Bae, Sangyoung;Jeong, Bosun;Lee, Sangyoub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3
    • /
    • pp.61-68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with a relatively long project duration in the context of Seoul's increasing urbanization rate and aging. Among the business areas that have been designated since 2005 and have been approved for the management and disposal plan of the entire Seoul area, 75 business areas have been set as targets. A hedonic price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project area, economic,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project duration from designation of zones to approval of management and disposal plans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maller the project area, the larger the area occupied per union member, the larger the land price change rate, and the smaller the KOSPI index, the shorter the required period. This study has the distinction of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variables considering size and economic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n period. It provides implications that the area of the business area, the number of union members, and economic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business area.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자연형 소하천정비사업 수리특성분석)

  • Yeon, Gyu-Bang;Kim, Y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44-448
    • /
    • 2005
  • 자연형 이동소하천 시범사업은 축제공, 배수공, 구조물공, 조경공 등의 공종과 자연석 쌓기, 식생축조블록, 그린리버(환경)블록, 스톤넷, 친환경 돌망태, 식생매트, 환경블록 H형, 반딧불 블록, 지오그린셀, 자연석 3단쌓기 호안 등 9개의 다양한 호안공법이 적용되어 2003년 5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03년 12월에 준공하였다. 본 자연형 이동소하천 정비시범사업에서는 공사 전$\cdot$$\cdot$후에 "수질, 유량, 홍수량 측정 및 수리분석 그리고 생태계, 하천수리"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중에서 유역 내 2004년의 홍수로 인하여 발생한 세굴$\cdot$퇴적 등의 하상변동과 하천형태의 변화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또한 2003년도에 시공되어 설치 완료된 9개의 호안 공법의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소하천 특성을 고려한 올바른 하천정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용하고자 하는 공법들에 대한 치수 안전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양한 자연형 소하천 정비실적 및 적용사례가 부족한 국내의 실정을 고려할 때 국내 소하천 특성에 적합한 치수 안전성을 갖추면서 소하천의 환경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하천 정비공법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수리$\cdot$수문자료의 축적을 위한 연구와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PDF

Welding Specifications and Quality Systems (용접규격과 품질시스템)

  • 최병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3 no.1
    • /
    • pp.11-22
    • /
    • 1995
  • 용접관련 국가규격(KS)를 보완하고 지원하는 단체규격을 제정하고 보완하는 단체규격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단체규격은 외국의 유사단체의 규격과 상호인증이 가능하도록 정비되어져야 한다. 용접기술분야에서 단체규격의 주체는 외국의 경우는 용접협회인바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한용접학회와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단체규격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단체규격의 수준을 높이고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가 적극 참여하여 규격을 정비할 수 있 도록 정부 또는 관련 사업계로부터 지원이 필요하다. 국내 용접관련 규격을 국제적 수준으로 정비하는 사업이 정부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 용접관련 규격을 해석하고 산업체에 규격적용의 문제점을 자문할 수 있는 전문가가 양성되어 져야 한다. 이러한 전문가는 우리산업체가 해외에서의 규격관련 분쟁에서 유리한 입장을 지킬 수 있도록 훈련되어져야 한다. 또한 국제 규격 제정 활동에도 참여하여 국가이익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하수관거정비 개선 BTL방식으로 가속화된다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8 s.361
    • /
    • pp.6-6
    • /
    • 2006
  • 하수관거는 생활환경의 개선, 공중위생의 향상, 침수의 방지, 공공수역의 수질보전 및 건전한 물순환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도시기반시설이다. 우리나라는 도시민의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수관거를 지속적으로 부설하였지만 '03년말 기준 전국의 보급률이 65.8%에 불과하고, 설치된 관거도 8.6m당 1곳이 불량하고, 하수관 유량의 31%가 침입수여서 하수관거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하수관거정비 종합투자계획을 수립ㆍ하수관거 개보수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07년까지 5조 6천억원을 투자하여 하구관거보급률을 75%수준으로 향상시켜 하수처리장 운영효율 제고 및 수계별 목표 수질 달성에 기여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수관거정비는 시민 및 사회단체의 환경을 향상시키는 반면에 많은 예산과 장기간이 소요되는 사업이다. 그동안 민간자본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 건설 등 환경기초시설 설치 등에 활용되어 왔던 BTO 방식에서 탈피하여 BTL(건설-이전-임대)방식을 도입하여 추진하게 된다. 이에 본지에서는 하수관거정비사업의 현황, 향후 추진방향 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by Reorganizing BRM : The case of Reorganization of Seoul's BRM and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 서울시 BRM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사례를 중심으로)

  • Lee, Se-Jin;Kim, Hwa-Kyo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50
    • /
    • pp.273-309
    • /
    • 2016
  • Unlike other government agencies, the city of Seoul experienced a three-year gap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a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a busines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the city has been unable to manage the current status of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this impeded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In September 2012,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egrate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tandard sheet for record management with the department of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to a new department: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Division." This new department is mainly responsible for record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and taking this as an opportunity, the city government has pushed ahead with the maintenance project on BRM and Standards for Record Management (hereby "BRM maintenance project") over the past two years, from 2013 to 2014. The study was thus conducted to introduce the case for the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record management through the BRM maintenance project by mainly exploring the case of Seoul. During the BRM maintenance project, Seoul established a unique methodology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of a business management system and the burde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BRM maintenance project. Furthermor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usiness management system, the city government developed its own processes and applied the maintenance result to the system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departments, despite the lack of precedence on the maintenance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raining for the BRM managers of the department has taken place twice -before and after the maintenance-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BRM maintenance project and the stable operation of the project in the future. During the period of maintenance, newsletters were distributed to all employees in an effort to induc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To keep the performance of the maintenance project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BRM in the future, the city government has mapped out several plans for improvement: to apply the "BRM classification system of each purpose" to the service of the "Seoul Open Data Plaza"; to reinforce the function for task management in the business management system; and to develop the function of a records management system for the unit tasks. As such, the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ould serve as a helpful reference so that the organizations-which had planned to introduce BRM or to perform the maintenance project on classification system-experience fewer trials and errors.

도시$\cdot$주거정비법 문제있다

  • 김태섭
    • 주택과사람들
    • /
    • s.155
    • /
    • pp.20-21
    • /
    • 2003
  • 오는 7월부터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 시행되면 공동주택 시장은 크게 변할 것으로예상된다. 이 법은 그 동안 개발지상주의가 팽배해 있던 공동주택 시장을 성장관리 체제로 전환해 관리하겠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이 법이 시행되면 향후 재건축사업은 도시계획 차원에서 관리가 가능해지고, 그 동안 수많은 사업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비리와 잡음이 차단되는 등 운영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의 도입은 공동주택 시장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할 우려가 높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 Evaluation Technology for the Stream (하천 관련 사업평가를 위한 기법 개발 방안 연구)

  • Jang, Cho Rok;Song, Juil;Jang, Moon Yup;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6-226
    • /
    • 2019
  • 하천은 이수, 치수 및 환경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의 생활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 현재 전국에는 총 3,836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우리 실생활에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하천유역을 개발 및 복구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각 사업의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의 경우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하천사업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사업효과를 평가하고 있다. 또한 본 평가를 토대로 매년 "자연환경대상" 공모전을 개최하여 기술적 사회적 평가 및 대내외적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재해예방 및 환경개선, 수질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소하천 정비사업'을 수행 중에 있으며 매년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공모전"추진을 통해 소하천정비 예산으로 추진한 사업들의 평가와 시상을 진행 중에 있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물 관리 기본계획인 '물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 '제4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을 토대로 지방하천의 재해예방 및 수생태계 복원목적의 '지방하천정비사업 종합계획'을 수행 중에 있으며 하천재해 예방사업, 수계치수사업 등의 5가지 세부사업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천관리 전문가와 지역주민을 평가단으로 구성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각 부처는 하천유역의 환경개선 및 재해예방을 위해 여러 하천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각 기관별로 사업의 평가기법 또는 평가절차가 통일되지 않고 상이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경우 하천사업의 사업계획부터 사후평가까지 사업의 전 절차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효율적인 사업평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기법 개발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Sewer Rehabilitation Project and Study on Improvement of Fixed Flow Meters (하수관거정비사업의 사업효과 분석 및 유량계 설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n, Dae Hoon;Kim, Jong Oh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461-469
    • /
    • 2013
  • Even though a sewer rehabilitation BTL project has been executed throughout the nation with the input of a significant amount of budget, the overall review on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is insufficient. And disputes over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and of the employment of I/I indexes for evaluation of the project are continued due to reliable issues of flux data which has been measured after completion of certain projects and excessive amounts of I/I. Thus, this study has reviewed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installation of fixed flow meters as well as countermeasures based on 15 projects subject to the oper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The review on operation of the project has revealed that sewer rehabilitation BTL projects are significantly effective and highly effective on reducing a rate of infiltration water. The review on the employment of proper countermeasures for main issues revealed during the investigation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fixed flow meters has shown that such countermeasures could result in securing more reliable flux data.

A Changes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Materials in Yangdong Village, Gyeongju - Building Roof Materials in the Village Since the 1970s - (정비 사업을 통해 본 경주 양동마을 전통조경 재료의 변화양상 - 1970년대 이후 마을 내 건축물 지붕 소재를 중심으로 -)

  • Kim, Dong-Hyun;Lee, Jong-Sung;Choi, J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4
    • /
    • pp.50-57
    • /
    • 2018
  • Based on research projects and maintenance plans that have been carried out to observe changes in the appearance of buildings in Yangdong Village, Gyeongju,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s in roof materials since the 1970s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proportion of houses used in the yanggi and yanggi in the 1970s appears similar to that of Wagawa, it is believed that the village landscape has changed due to the use of modern materials by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Second, the initial stage of readjustment was designated as a folk data protection zone in 1977 and important folk data designation in 1984. However, due to the lack of a budget for repair and indiscriminate repai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did not seem to have been high. As a result, the trend of decreasing the initial price of the previous period and increasing the use of materials such as yanggi and slate were continuing. Third, in the 1990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ushed for restoration to the traditional method through extensive renovation projects, making efforts to restore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reduction of the yanggi and roof, removal of the Hamseok roof, and an increase in the price of grass. Fourth, in the 2000s and thereafter, various readjustment projects were completed in the previous period, with the ratio of Wagwa and Choga greatly increased and the number of houses on the roof of slate reduced by about half, and the level of maintenance of the village's retirement homes was readjusted after the World Heritage List in 2010.

Public-Private Collaboration Process for Planning Phase of Urban Renewal Projects (도시환경정비사업 계획단계 민.관 협의 프로세스 도입 방안)

  • Lee, Jong-Kweon;Park, Hyeon-Soo;Koo, Kyo-J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22-30
    • /
    • 2011
  • In the planning phase of domestic 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rojects, a particular problem is the increase in service expenses and project cost with the establishment of plans under circumstances that exclude the residents or have incomplete consent from them and the public organization. This delays the promotion of the project. This study aims to resolve such problems by proposing a measure to introduce a privatepublic consultative body for residents and the relevant departments of the public sector,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and establish plans together from the beginning.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mooth promotion of the project, as it would remove the conflicting factors that are expected to be generated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phase before they could eme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