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by Reorganizing BRM : The case of Reorganization of Seoul's BRM and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 서울시 BRM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Unlike other government agencies, the city of Seoul experienced a three-year gap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a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a busines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the city has been unable to manage the current status of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this impeded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In September 2012,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egrate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tandard sheet for record management with the department of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to a new department: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Division." This new department is mainly responsible for record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and taking this as an opportunity, the city government has pushed ahead with the maintenance project on BRM and Standards for Record Management (hereby "BRM maintenance project") over the past two years, from 2013 to 2014. The study was thus conducted to introduce the case for the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record management through the BRM maintenance project by mainly exploring the case of Seoul. During the BRM maintenance project, Seoul established a unique methodology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of a business management system and the burde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BRM maintenance project. Furthermor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usiness management system, the city government developed its own processes and applied the maintenance result to the system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departments, despite the lack of precedence on the maintenance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raining for the BRM managers of the department has taken place twice -before and after the maintenance-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BRM maintenance project and the stable operation of the project in the future. During the period of maintenance, newsletters were distributed to all employees in an effort to induc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To keep the performance of the maintenance project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BRM in the future, the city government has mapped out several plans for improvement: to apply the "BRM classification system of each purpose" to the service of the "Seoul Open Data Plaza"; to reinforce the function for task management in the business management system; and to develop the function of a records management system for the unit tasks. As such, the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ould serve as a helpful reference so that the organizations-which had planned to introduce BRM or to perform the maintenance project on classification system-experience fewer trials and errors.

서울시는 다른 기관과 달리 기능분류시스템 구축과 업무관리시스템 도입 사이에 3년의 시간차가 발생하여 기능분류체계의 현행관리가 되지 못했고, 이것은 기록관리기준표를 수립하지 못하는 문제로 이어졌다. 2012년 9월 서울시는 기록관리와 정보공개를 전담하는 정보공개정책과의 신설을 통해 기능분류시스템과 기록관리기준표의 운영부서를 통합하였다. 이를 계기로 2013~2014년 2년에 걸쳐 'BRM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사업(이하 BRM 정비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서울시 BRM 정비사업은 업무담당자의 부담과 업무관리시스템의 운영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비방법론을 수립하였다. 업무관리시스템 도입 후 분류체계를 정비하는 선례가 없는 상황에서 관련부서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독자적인 절차를 개발하고 정비결과를 시스템에 탑재하였다. 또한 BRM 정비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향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BRM 부서관리자를 대상으로 정비 전 후 2차례에 걸쳐 교육을 진행하였고, 정비사업 기간 동안 뉴스레터를 배포하여 전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기록관리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비성과를 유지하고 향후 BRM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기록관리시스템에 단위과제 현황기능 개발, 업무관리시스템에 과제관리 기능 보완, BRM 목적별 분류체계를 서울시 정보소통광장의 서비스에 적용하는 등 여러 개선사항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가 새롭게 BRM을 도입하려는 기관 또는 분류체계 정비사업을 준비하는 기관에서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참고사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7.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조정 지침.
  2. 김화경, 김은주. 2014. BRM 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99-219.
  3. 문찬일. 2016. 기초지방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BRM)의 단위과제 구축 사례-서울특별시 강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9, 247-275.
  4. 서울특별시, 한국문헌정보기술. 2013. 서울시 기능분류모델(BRM) 및 기록관리기준 정비용역 최종보고서.
  5. 서울특별시, 한국문헌정보기술. 2014. 서울시 BRM 정비확대 및 비전자기록물 전수조사 용역 최종보고서
  6. 설문원. 2013a.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7. 설문원. 2013b.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구조 및 운용분석 :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51.
  8. 이미영. 2007. 기록관리기준 조사 및 작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5, 185-218.
  9. 이주연. 2016. 정부기능연계모델(Business Reference Model) 분류체계와 기록분류체계의 통합방안, 한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3-60.
  10. 이희준, 정연경. 2016.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설건축분야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5-25.
  11.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15. 참여정부의 기록관리 혁신,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백서7.

Cited by

  1.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2. 공공기관 '비공개 세부 기준' 개발 전략 vol.21, pp.1, 2016,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