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비복원

Search Result 16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ability Analysis of High Water Revetment Using Hydraulic Model (수리모형을 이용한 고수호안의 안정성 분석)

  • Lee, Sung-Jun;Jun, Sang-Mi;Kim, Young-Do;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84-1688
    • /
    • 2008
  • 국내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하천 환경이 지속적으로 오염 및 훼손되어 왔다. 하천을 관리함에 있어서 치수목적을 중심으로 한 직강화와 콘크리트 제방과 더불어 하천변의 공간이 주차장이나 도로로 사용되었다. 또한, 하천의 홍수피해 방지, 도심의 택지 및 농경지 등의 토지 확보를 위한 대규모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과거 자연상태의 하천은 홍수터 내 저류능력 상실, 생태환경공간 훼손 등으로 하천의 자연적 환경 기능이 매우 악화된 상황이다. 최근 들어 치수 기능만을 위한 공학적 효율 위주의 하천관리 정책에서 벗어나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개선, 자연하천으로의 생태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복원공법의 적용결과 호안의 안정성이 고려되지 않은 복원사업들이 진행되기도 한다. 진정한 자연하천으로의 복원은 하천기능의 회복과 함께 호안의 안정성까지 고려된 복원이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생태복원 하천을 대상으로 하여 HEC-HMS, HEC-RAS 등과 같은 수리 수문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의 유량과 수위에 대하여 소류력 평가 공식을 활용하여 기설 고수호안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신어천을 대상으로 각 하천마다 적용된 공법을 조사하고 지점별 적용 공법과 평균 소류력의 관계를 파악하여 고수호안의 안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각 호안공법의 수리학적 설계기준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eam habitat creation technique (하도 내 생물서식처 조성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i-Nae;Lee, Dong-Ju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7-121
    • /
    • 2011
  • 기존 국내의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정비된 하천을 대상으로 훼손된 자연성을 되살리기 위하여 물리적 환경의 개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수호안의 안정성과 더불어 식생 피복율을 높이는 등 형태적 복원을 중심으로 사업이 시행되어 왔다. 이러한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은 하천의 생태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하천이 생물서식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천의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생물서식처와 이에 반응하는 생물들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생물들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며, 하천유역의 환경 훼손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종을 복원 목표종으로 선정하여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기술을 검증함으로써 생물을 중심으로 한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중소하천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하천을 선정하여, 서식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서식처의 물리 화학 생태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납자루아과 어종의 산란처 및 서식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개방형 하도습지 조성 기술을 개발 및 시범적용 하였다.

  • PDF

A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nd the Management of Historic Gardens in Suzhou, China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 Park, Hee-S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1
    • /
    • pp.76-84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World Heritage Values, in Suzhou classical garden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the protection management of historic garde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as a world heritage, Suzhou gardens proved OUV by showing the taste and lifestyle of the literati, the unique class of Chinese history,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East Yangtze Delta region. In addition, it showed the exchange of international culture with unique Chinese garden techniques. Second, a authentic reconstruction of garden have original value because it exist records of the near past. The 20th-century archives described by the contemporary language and describing the heritage through images using such media as photography and drawing played a decisive role in restoring gardens. Third, the protection management of Suzhou gardens, which began in the 1950s, was carried out in detail, including the reconstruction of components such as buildings, the restoration of plant materials and horticulture technique, the creation of a list through the records of trees, the maintenance of props such as plaque, furniture, and the project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restore waterscape. The last, after the World Heritage inscribing, Garden's protection management was proceeded in two directions. One is that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 and the enactment of laws related to Suzhou classical Gardens, the listing heritage is strictly protected and managed, and the other is that the historical gardens are used to establish urban masterplan and urban identity in Suzhou. The range of garden properties greatly expanded by distinguishing the principle of conservation from protection to rational use and the grade of protection, such as whole protection, maintenance protection and protection of historical sites.

VD ISSUE-기업가정신의 약화와 복원방안 -한국 경제 활력, 기업가정신으로 되살려야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54
    • /
    • pp.20-21
    • /
    • 2004
  • 우리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을 가능케 했던 기업가정신이 쇠퇴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현재 경제위축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지름길은 기업활력의 회복이다. 그 기업활력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업가정신을 되살려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각종 제도와 인식을 기업친화형으로 서둘러 정비해야 한다.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쇠퇴의 조짐을 진단하고 이를 살리는 길을 모색해보자.

  • PDF

A Study of Planning for Gumswae-dong Garden Heritage Maintenance (고산 윤선도 금쇄동 정원유적 정비에 관한 연구)

  • Kim, Moo-Han;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1
    • /
    • pp.41-51
    • /
    • 2015
  • Gosan Yoon, Sundo's Gumswae-dong Garden Heritage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Historical Site 432 including Hyunsan old fortress wall. The site requires maintenance planning. For the plan, it also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Gosan's written documents describing the garden heritage and the site survey with on-site inspections for authentic maintenance approaches. It should be based on the thorough comprehension of historical remains. The site is a traditional ancient garden, so its approaches should be different with a historic structure and building. For the planning, the study conducts the interview of residents and experts, literature review, the investig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site survey, and the analysis of aerial photography. The results are following:5) Firstly, the paper suggests three types of an excavation area selection: core, recommend and investigation. Secondly, of 22 landscapes named by Gosan, it has the plan of guidance facilities, vegetation maintenance, safety facilities, landscape maintenance as view points, pathway maintenance, deck, and halting place. Thirdly, it also suggests pathway plan for authentic garden promenad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f Gumswaedong-Gi, an old map and aerial photography(1967, 1976, 1990), and interviews with residents. Fourthly, it suggests vegetation refurbishment at the site to check erection time and to require a preservation plan. In a case of no historic remains part, it also has a plan of amenities for visitors and wetlands for biodiversity of ecology and landscape. Finally, although it requires excavation and more historical evidences for the Hyunsan fortress wall, it suggests a maintenance plan of Pyeonchuksseong and Hyeopchuksseong partially.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Before and After the Stream Improvement (하천정비 전후의 하천자연도 평가)

  • Kim, Souk-Gyu;Kim, Chul;Jeong, Jang-M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96-1301
    • /
    • 2005
  • 하천자연도 평가는 하천이용과 보전, 복원계획에 대한 적합성의 근거를 파악하고 이에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주로 평가가 이루어진다. 최근 많은 하천들이 자연형 공법을 적용하여 정비되고 있지만 하천 정비에 따른 실효성 검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자연형 하천으로 정비된 하천의 실효성을 검토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공사전과 공사후 하천자연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공사전과 공사후의 하천자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항목은 종단면, 횡단면, 하상구조, 하천주변, 하천수질, 식생, 어류, 조류 등 8개 부문 29개 항목을 반영하였고 공사전과 후의 자연도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 공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부문별 평가항목 7개 부문에 17항목을 평가하였다. 평가의 척도는 정량적 지수로서 $1\~5$의 점수로 하였고 하천자연도의 표현은 5등급 체계로 구분하고 가중치는 부문별로 동일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사전 평가지수 3.3으로 하천자연도 III등급이었으나 공사후에는 평가지수 2.7로 II등급을 나타내었다.

  • PDF

Status of Damage and Restoration Planning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Seoul, South Korea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훼손 실태 및 복원방안 연구)

  • Han, Bong-Ho;Ki, Kyong-Seok;Noh, Tai-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923-93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targeting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in Seoul of South Korea, whose level of visitation and use pressure has been recently increasingly high, was to understand distribution and damage status of forest trail and accordingly, set up direction of how to improve forest trail in urban area. With regards to current damage on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the damaged trail with road width of over 2m and with erosion depth of over 30cm amounted to 20.3% and 36.3% respectively. And the trail section with bare land erosion, root exposure or rock exposure and the section whose impact rating class exceeded IV occupied 47.0% and 70.6%, indicating the forest trail was severely damaged. The severely injured trail route mainly included the main forest trail formed along the main ridge, the byroad connected to the main forest trail and the steep forest trail in low-lying area.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ve types of restoration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were offered, including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stabilization of forest trail base, maintenance of forest trail surface, vegetation restoration after closing forest trail and maintenance. Ecological restoration was additionally offered. The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was planned to prevent expanded width of forest trail where bare land was exposed. The stabilization of forest trail base was planned to prevent erosion in the forest trail and exposure of roots. The maintenance of forest trail surface was planned in a way to protect the severely damaged forest trail surface by using wood deck and wood stairs and surfacing the road.

Management after Restoration of Close-to-nature Techniques for River (in Musim River) (친자연공법의 조성후 자연형하천 관리방안(무심천을 중심으로))

  • Yeon, Gyu-Bang;Cho, Yong-Soo;Yeon, In-Sung;Maeng, Seung-Jin;Ju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6-120
    • /
    • 2011
  • 무심천에는 2002년부터 자연형 하천정비사업에 착수하면서 저수로, 저수로 하안, 고수부지 등 하도내에 여러 자연형 하천 공법과 함께 시설들을 설치하였다. 본 모니터링 조사사업은 '무심천 살리기'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하천종합조사사업으로써 무심천의 수리/수환경 변화와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를 통해 생태 수환경 수리특성 등 생태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필요한 공법 등 향후 추진될 무심천 하천정비 및 관리에 반영하기 위하여 저수량, 홍수량, 생태계 및 하천공법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전문가, 시민참여 그리고 공무원이 함께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심천을 친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실시한 친자연형공법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얻은 수리/공학적 그리고 생태적 성과물을 자연형하천정비사업에 피드백시키는 자연형 하천관리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무심천의 친자연형하천관리를 위하여 하천의 3대기능과 관련한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평가를 하고 자연형 하천공법 등급을 I-V로 구분하여 하천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평 저수시 무심천 본류와 지류에 대한 유량측정을 실시하고,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였다. 저수/고수호안, 하상, 둔치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무심천을 점차 자연형하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생태계의 적응관리로 하천식생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를 실시하고, 유해식물과 외래식물을 제거하고, 하도내 직경이 10(m) 이상되는 버드나무 수목에 밑둥치기를 실시하여 치수기능의 저해를 방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 Evaluation Technology for the Stream (하천 관련 사업평가를 위한 기법 개발 방안 연구)

  • Jang, Cho Rok;Song, Juil;Jang, Moon Yup;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6-226
    • /
    • 2019
  • 하천은 이수, 치수 및 환경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의 생활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 현재 전국에는 총 3,836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우리 실생활에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하천유역을 개발 및 복구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각 사업의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의 경우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하천사업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사업효과를 평가하고 있다. 또한 본 평가를 토대로 매년 "자연환경대상" 공모전을 개최하여 기술적 사회적 평가 및 대내외적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재해예방 및 환경개선, 수질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소하천 정비사업'을 수행 중에 있으며 매년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공모전"추진을 통해 소하천정비 예산으로 추진한 사업들의 평가와 시상을 진행 중에 있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물 관리 기본계획인 '물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 '제4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을 토대로 지방하천의 재해예방 및 수생태계 복원목적의 '지방하천정비사업 종합계획'을 수행 중에 있으며 하천재해 예방사업, 수계치수사업 등의 5가지 세부사업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천관리 전문가와 지역주민을 평가단으로 구성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각 부처는 하천유역의 환경개선 및 재해예방을 위해 여러 하천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각 기관별로 사업의 평가기법 또는 평가절차가 통일되지 않고 상이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경우 하천사업의 사업계획부터 사후평가까지 사업의 전 절차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효율적인 사업평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기법 개발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ockpiling and Spreading of Topsoil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Floodplains and the Levee Slope of a Stream (하천 고수부와 제방 비탈면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표토의 집토와 부설)

  • Han, Seung-Wan;Kim, Hyoung-Joon;Chae, Byoung-Koo;Kim, Jeong-Go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1
    • /
    • pp.99-104
    • /
    • 2015
  • Topsoil including numerous soil seedbanks has been known to be a valuable material for ecological restoration. There is a lack of specific study for its utilization in the field of stream restoration. This study conducted a revaluation of the value of topsoil as a material for stream restoration. Furthermore, an ecological technique using topsoil was applied in an improvement project of a stream environment at the Hwanggujicheon Stream in Korea. Stockpiling and spreading topsoil was specifically applied to the revegetation of a low slope revetment and a high flow plain. The result of this application showed that topsoil played an integral role in eco-friendly restoration in terms of ecological, flood control, economic, and constructional aspects. In conclusion, this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topsoil is a suitable candidate material for stream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