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 접근성

검색결과 6,084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 모바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구축 (The Implementation of Smart Mobile Elevator Control System)

  • 김운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209-212
    • /
    • 2010
  • 전통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노력으로 IT융합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무선네트워크 및 센서기술의 발달, 스마트폰과 같은 지능화된 단말기의 보급은 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역시 다양한 분야로의 진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고자하는 노력으로 기존 기계적인 환경에 다변화된 접근방식과 정보전달을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삶의 새로운 중심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다 향상된 사용자 접근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확장한 IT환경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 모바일 시스템과 결합한 제어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직접적인 엘리베이터 접근을 포함한 무선 환경의 보다 효율적인 원격 접근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 및 장애인들의 접근성 향상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웹 접근성과 웹 표준화 향상을 위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연구 (A Study on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and Web Standards)

  • 이용희;김환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2
    • /
    • 2014
  • 최근에는 인터넷 웹 컨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대학교, 그리고 기업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인 KWCAG2.0은 1.0에 비해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명확한 대체 텍스트 제공, 데이터 테이블의 명확한 구분 및 키보드 접근과 사용 등에 대한 지침을 더욱 준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속도로 변화되는 웹 및 모바일 환경에서 모든 사람이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CMS : Content Management System)을 개발 하였다. 이를 위하여 KWCAG(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W3C XHTML-1.0-Strict DTD, W3C CSS2를 기반으로 웹 접근성 및 웹 표준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 하였다. 본 시스템은 WYSIWYG 방식으로 제작이 되어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웹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하였다.

웹 접근성을 고려한 전통의학정보포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ASIS Considering Web Accessibility)

  • 한정민;장현철;김진현;예상준;김상균;김철;송미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187-20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한의학 학술논문 및 한의학 연구정보를 제공하는 오아시스(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를 대상으로 국가에서 정한 [웹 접근성 국가표준]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해 보고, 웹 접근 취약성을 분석하여 해결방법을 모색하였다. 웹 접근성 평가항목으로는 웹 콘텐츠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하는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웹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콘텐츠 구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있는지를 평가요소로 하는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웹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평가하는 기술의 진보성(Robust)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된 결과를 기준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고려한 오아시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웹 취약성을 수정하여 재구축한 오아시스는 한의학 연구를 하는 청각, 시각 장애인들에게 일반인들과 동등한 웹 접근 기회를 부여해 줌으로써 장애인들의 한의학 지식습득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원격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 분석 사례 (A Case Study on the Accessibility of Online Learning Content in Korea)

  • 신승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92-101
    • /
    • 2003
  • 국내의 웹기반 교육용 콘텐츠 10개를 선정하여 접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자동 분석 프로그램인 Bobby를 사용한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1.0 준수 여부에 대한 기초 자료 산출 (2) SGML 표준 문법 검사 (3) 텍스트 브라우저를 포함한 여러 브라우저에서의 호환성 시험 (4) W3C가 제안한 접근성 체크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직접 분석 순으로 접근성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콘텐츠가 모든 단계에서 매우 저조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접근성이 낮은 주된 이유는 웹 표준, 브라우저 호환성, 장치 독립성에 대해서 거의 고려를 하지 않고 콘텐츠를 개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검사 대상 콘텐츠들은 대부분 가장 잘 꾸며진 환경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시청각적인 효과에 치중한 결과, 제한된 사용자 환경에서의 대안적인 접근 경로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보편적인 정보 취득을 포함한 점점 더 많은 학습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접근성이 낮은 콘텐츠들은 정보 격차를 더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접근성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 PDF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Analysis of the Vulnerable Class on Digital Divide)

  • 권선희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19
    • /
    • 2022
  •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의 접근성 문제인 디지털정보격차가 사회·문화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대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격차수준을 파악하고 정보의 접근성, 인구사회학적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특성이 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정보격차는 감소하고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보기기의 접근성을 높이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정보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취약계층에 대한 세부적인 계층별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와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취약계층의 삶의 만족도와 일상생활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디지털 포용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정보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재활심리분석시스템의 타입기반 접근제어 모델 및 응용 (Type based Access Control Model and Application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Analysis System)

  • 김영수;김정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082-2090
    • /
    • 2013
  • 상담자의 심리검사에 대한 정보와 자원을 관리하는 재활심리분석시스템은 정보교환의 호환성과 보안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와 데이터에 대한 접근 투명성을 제공하는 객체지향시스템을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서드와 속성 지향적인 접근제어기법은 저장된 데이타가 방대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서비스 요청시 가용성을 제한되고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활심리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서 접근처리지연과 네트워크 폭주의 해결책으로 보안성과 가용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접근제어시스템으로 타입정보를 사용한 객체의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하고 이의 검증을 위하여 객체지향 시스템의 접근제어모델과 분리 통합되는 형태로 타입 보안 모델을 구현하였다.

통합 분산환경에서 타입 정보를 이용한 지속성 객체의 보안 모델 및 응용 (Security Model and Application of Persistent Object using Type Information in Integrated Environment of Distributed System)

  • 김영수;최흥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661-669
    • /
    • 2004
  • 분산시스템은 호환성과 이식성 그리고 보안 문제을 확대하고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하여 네트워크와 데이터에 대한 접근 투명성을 제공하는 코바와 객체데이타베이스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보안성의 보장을 위하여 사용하는 메서드와 속성지향적인 접근제어기법은 자료가 방대하고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가용성을 제한하고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는 접근처리지연과 네트워크폭주를 야기하는 객체의 인스턴스를 통한 접근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의 해결책으로 보안성과 가용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접근제어시스템으로 타입정보를 사용한 지속성객체의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하고 이의 검증을 위하여 코바와 객체DB시스템의 접근제어모델과 분리 통합되는 형태로 지속성보안시스템을 구현하였다.

SPKI를 이용한 DB 접근통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ess Control Model for Database Using SPKI)

  • 김장성;장영달;김인성;김지홍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2권2호
    • /
    • pp.109-117
    • /
    • 1999
  • 접근통제(Access Control)의 목적은 여러 자원들에 대하여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막는 것이다. 허가되지 않은 접근이란 자원의 불법적인 사용, 노출, 수정, 파괴 등을 포함한다. 즉, 접근 통제는 각 자원에 대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및 합법적인 이용과 같은 정보보호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들의 권한부여를 위한 수단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X.509 계층구조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터넷 드래프트 표준으로 제안된 SPKI(Simple Public Key Infrastructure) 인증서를 분석하고, 이를 DB 접근통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노인들을 위한 건강관련 웹사이트의 사용성과 접근성 평가 (Usability and Accessibility Evaluation of South Korean and American Health-Related Websites for the Elderly)

  • 박은준;고지운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5-487
    • /
    • 2010
  • 연구목적: 노인을 위한 건강정보 웹사이트들이 사용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켜야 할 디자인 요소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비교함으로써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및 미국에서 개발된 노인 대상의 건강정보 웹사이트를 각각 9개씩 선정하였다. 근거 기반의 웹디자인 지침서인 Make Your Website Senior Friendly: Checklist와 Research-based Web Design & Usability Guideline을 통합 수정하여 얻은 4개 영역의 평가 항목 48개를 적용해 두 명의 평가자가 선정된 총 18개 웹사이트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가독성' 영역 중 서체 선택, 줄 간격, 배경색과 글자색 선택 등은 양호하였으나 국내 웹사이트들 중에는 글자 크기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정보의 표현과 구성' 영역에서 다수의 웹사이트들은 정보 배치 등이 우수하고 소비자 용어를 사용하는 노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국내 웹사이트들은 프린트 기능을 제공하지 않거나, 노인들의 저하된 인지 능력을 배려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미디어 사용' 영역에서 국내 웹사이트들은 글자 외에 다른 매체를 사용하는 빈도가 미국 웹사이트들에 비해 낮았고, 시청각 매체를 사용할 때는 동일한 내용을 문자로도 볼 수 있도록 하라는 권고안을 준수하지 않았다. '내비게이션과 검색의 용이성'에서는 메뉴나 링크의 명칭이 명확하며, 이용 중에도 쉽게 홈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국내 사이트들이 사이트맵을 제공하지 않거나, 검색어의 철자오류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였다. 결론: 국내 웹사이트들은 미국 웹사이트들에 비해 노인들의 사용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진 연구 근거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노인 대상의 인터넷과 웹을 활용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므로, 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들은 정보의 질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