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영재의 특성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Gifted characterization of the subjects (정보과학영재의 과목별 특성 분석)

  • Seo, Seong-Won;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5-498
    • /
    • 2009
  • In this paper, we tried to identify implications of selecting gifted of information science & followed educational system via analyzing each of student's characteristics in each subjects they study with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 study of the existing institutions do not have experience of the gifted students based on assessment through observation of the 1-year science, mathematics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the List of attribute analysis. Learners of Information Science became with analysis that Attitude Category was superior in mathematics to the subject of science and Problem Solving Category regardless of the subjects showed similar. As to, Attitude Category, Problem Solving Category and Mathematics Cognition Category was analyzed to be closed and we could confirm through the qualitative observation record. On thi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the mathematics could know the effect fitness by a learner rather than the subject of science as to an attitude and problem resolution area.

  • PDF

A Problem Solving Analysis of Gifted Students in Information based on PISA Problem Solving Tool (PISA의 문제해결력 도구를 이용한 정보 영재 학생의 문제해결력 분석)

  • Choi, Junghyun;Kim, Kap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2
    • /
    • pp.179-188
    • /
    • 2016
  •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is the gifted in Informatics student's cognitive features different from others and present standard for screening. So ultimately, I hope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promising perspective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And hopefully give an Implications for the way forward as an information special education by study of problem solving skills that underlie the learning ability. These skills are being able to collect, analyze, synthesize and apply the informations so that make sustainable development possible. Therefor,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ett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Informatics student's basic learning skills.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Creative Product Achievement for Informatics Gifted Children by their Motive and Parental Support (초등정보영재의 동기와 부모지지에 따른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 차이 분석)

  • Gwak, Soah;Kwon, Daiyoung;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3
    • /
    • pp.41-51
    • /
    • 2014
  •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have made multi-faceted efforts to encourage students to do creative activities which can be extended lasting. However, research about gifted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is yet incomplete, and most of the research has only focused on their cognitive abilitie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creative activity curricula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cs gifted students. This study assessed the creative products achievement of 56 informatics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esults with affectiv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result is that the achievement of creative products was higher when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be higher. Parents' support or extrinsic motiv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 PDF

Development of On-line Content Evaluation Standards for Informatics Gifted Students (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평가 준거 개발)

  • Kim, Yong;Kim, Ju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9
    • /
    • pp.487-495
    • /
    • 2010
  • Online content evaluation standards we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for informatics gifted students in this paper. This evaluation standards were developed by thinking and learn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which were presented in preceding research. The evaluation standards were review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s well a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items and validity analysis by experts of informatics gifted student education sector. In the result of analysis, reliability of items has been very reliable. Level of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tems has also shown satisfactory value. Developed the evaluation standards has 5 evaluation categories such as "talent development", "Interaction", and others. It also has 11 evaluation factors and 40 evaluation items. The online content evaluation standards can be helpful and useful in order to develop qualitative online contents and select online contents for informatics gifted student.

Elementary Gifted Education Eligibility Information Analysis Study on the recommendation for selection (초등정보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추천서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Sang-Yoon;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13-318
    • /
    • 2010
  • 한 국가의 미래는 인적 자원의 개발에 달려 있으며 정보영재는 중요한 인적자원이다. 영재교육진흥법 시행에 따라 영재 교육 체제의 정립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역별 특성에 맞는 정확한 판별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초등정보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추천서를 31개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과학영재원 합격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관찰 추천의 타당도에 대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Strategy using SNS for improving of the Leadership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in Information (초등 정보영재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SNS 활용 전략)

  • Jeon, Su-Ryun;Kim, Seon-Hwoi;Nam, Dong-Soo;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313-315
    • /
    • 2013
  • 영재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자아실현 및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우리의 영재교육이 지적인 영역에 치중한 결과, 우리나라 영재의 리더십 수준은 미국의 일반 학생과 비슷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지적능력만 뛰어난 영재는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타인을 배려하고 소통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인재상과는 거리가 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도구로 SNS를 활용하였다. SNS는 다양한 자료를 검색, 공유할 수 있고 사람사이의 관계 맺기, 타인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하기에 리더십 교육의 목표 실현에 적합한 특징을 지녔고, 컴퓨터나 인터넷 등 첨단 기기의 사용을 즐기는 정보 영재의 특성과도 일치하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유투브, 위키피디아, 트위터 등의 SNS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제작하고 간단한 메시지로 타인과 소통하며, 위키에서 협업하여 과제를 수행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와 조직능력, 타인과 공동체 배려 등 리더십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ing an Discrimination Test for the Information Gifted usign EPL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PL을 활용한 초등 정보 영재 판별 도구의 개발)

  • Kim, Hyun-Soo;Kim, Soo-Hwan;Han, Seo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1a
    • /
    • pp.203-209
    • /
    • 2011
  • This paper proposed new approach for the information gifted discrimination test usign EPL. We tried to distinguish high level thinking in the information gifted through test of this study. We designed discrimination test by the features of EPL and developed testing item tool like single-sprit and multi-sprite. These items are divided into adding block, changing the block order, modifying value io block, and changing a block. We designed this testing tool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can solve items without an experience on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 We expect the testing tool io proposed this study will help to discriminate the information gifted effectively.

  • PDF

Observation Assessment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정보과학 영재교육에서 관찰 평가)

  • Won, Seo Seong;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595-598
    • /
    • 2009
  • 최근 영재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에 수학 및 과학 분야 위주로 이루어졌던 영재교육은 정보, 발명, 인문, 예술 등의 기타 분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고도화된 정보화 사회로의 진행과 더불어 정보과학에서도 영재교육데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과학의 학문적 역사가 짧고 그 범위의 설정이 어려운 만큼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있어서도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정과 교육에 필수적인 평가 방식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여 교육 방식의 보완과 창의적인 대상자 선발에 있어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태의 평가 방식 중 관찰평가가 평가도구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면 평가의 측면에서 지필평가와 보완적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년간의 학습자들의 지필평가 성적과 관찰평가 중 리커트 척도 방식의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 기록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또한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기록지의 하위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크리스트의 하위항목 분석을 통해서는 태도와 문제해결 능력 간의 상관관계, 수학적인지영역과 문제해결 능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서술형 관찰 기록지 분석을 통해서는 투입 프로그램 적응 능력이라 할 수 있는 과정적 영역은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상관 관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 방식간의 상관 관계는 지필 평가와 관찰 평가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정보과학 분야 영재교육 학습자의 잠재 능력이나 사회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필평가와 더불어 관찰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다면평가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Question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using the Sternberg's View of Successful Intelligence: Focused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Sternberg의 성공지능 관점을 적용한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의 발문 특성 분석: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 Chung, Duk Ho;Jin, Mina;Park, Ky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6
    • /
    • pp.654-670
    • /
    • 2019
  •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successful intelligence theory is a means to understand how th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successful intelligence is fully reflected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GECDO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GSEIU: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For this study, we selectively used 143 (GECDOE) and 134 questions (GSEIU) from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Those questions is analyzed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are not evenly reflected in the successful intelligence, such as analytical ability, creative ability, and practical ability. Second,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intensively demands analytical ability for students such as 'identify problem', 'represent and organize information', and 'additional prompts for analytical thinking'. Third, the teaching materials of two gifted education centers are presented to students without linking each frame of successful intelligence to one another. As the gifted students are quick to learn and show a preference for more complex think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to experience the various abilities and promote integrated think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ifted studen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to support customized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과학창의적 과제 수행 중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뇌파 비교분석

  • 하종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7-130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의 효과적인 성취를 가져오기 위해선 우선 영재 판별의 시도가 다양해져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 동안 영재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은 뇌기능의 활동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뇌의 활동성에 대한 뇌파측정 방법을 통해 좌.우뇌 기능상에서의 뇌파특성을 파악해 보므로써 영재성 판별의 한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재아 11명, 일반아 10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이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다음 표는 과학영재아 및 일반아의 아무런 과제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기본뇌파와 과학 창의적 과제를 수행중인 상태에서의 뇌파를 좌뇌와 우뇌의 뇌파 활성도별로 그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