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 기술 Database educa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2초

필기문자열의 품질평가를 통한 언어학습시스템 (Language Learning System Evaluating the Quality of a Handwriting String)

  • 김계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1호
    • /
    • pp.159-16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전자펜과 그 인터페이스를 장착한 정보통신장치와 서버가 인터넷으로 연결된 환경에서 패턴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글씨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훈련을 수행한 수 있는 언어학습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참조자료를 획득하는 방법 및 전역특징과 지역특징을 통한 글씨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문자 뿐 아니라 문자열에 대해서도 글씨품질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시어와 입력어가 같은 경우 뿐 아니라 다른 경우에도 글씨품질을 평가한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글씨연습 뿐 아니라 언어 훈련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

웹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Web-related Spatial Design Research Trend)

  • 안소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81-492
    • /
    • 2014
  • IT산업과 공간디자인의 융합에 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된, 본 연구의 목적은 웹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분야의 연구 흐름을 분석하고, 연구 카테고리별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최근 5년간 웹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연구는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새로운 가능성이 잠재된 상태로 분석된다. 초기의 다양한 디자인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도에서 최근에는 공간디자인교육과 디자인프로세스 측면의 IT기술과의 융합시도가 증가하고 있고, 공간 거주자는 디자인과 관리에 이르기까지 능동적 참여자로 변화하고 있으며, 환경적 측면에서 건물의 예측 및 관리에 대한 연구도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거하여 창의적 교육과 디자인프로세스, 친환경적 IT기술의 공간디자인 접목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KoMCI(Korean Medical Citation Index)와 KCI(Korea Citation Index)의 2004년도 영향력지표값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KoMCI 2004 and KCI 2004 Impact Factors)

  • 허선;이춘실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3호
    • /
    • pp.183-193
    • /
    • 2005
  •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우리나라 의학학술지의 영향력지표인 KoMCI(Korean Medical Citation Index) 2004의 결과값과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산출한 우리나라 학술지의 영향력지표인 2004년도 KCI(Korea Citation Index)에 공통으로 포함된 의학학술지의 영향력지표(impact factor, IF), 자체인용제외 영향력지표(ZIF), 자체인용 영향력지표(SIF) 값을 비교하고, 왜 이 두 가지 지표 값 사이에 차이가 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KoMCI와 KCI에 공통으로 등재된 의학학술지 중 양쪽에 모두 2004년도 영향력지표 값이 있는 경우는 59종이었다. KoMCI IF 평균과 KCI IF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KCI 값은 KoMCI의 18%이었다. KoMCI ZIF 평균과 KCI ZIF 평균은 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KCI 값은 KoMCI 값의 23.5%이었다. 자체 인용에 영향력지표는 KoMCI SIF 평균이 0.13, KCI 평균이 0.0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0). 이러한 차이는 KCI의 인용문헌 데이터베이스를 전거통제(authority control)하지 않고, 학술지 논문에 저자가 기술한 상태 그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이 이 KCI를 학술지평가에 사용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베이스의 유일성을 확보하는 전거통제를 반드시 시행하여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영향지표를 산출하여야 한다.

웹 기반 학습을 위한 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Web-Based Instruction)

  • 이진경;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40-56
    • /
    • 2000
  •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웹 기반 학습이 증가추세에 있다. 웹 환경에서 학습도 전통적인 학습과 마찬가지로 학습 내용과 더불어 학습한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평가도 포함되어야 진정한 교육의 과정(Process)이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웹 기반 학습의 평가는 학습의 결과나 지식 이해 위주의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평가 결과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웹 기반 학습을 하는 과정에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즉각적인 피드백의 제공으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해 나가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즉, 교사가 작성한 문제를 문제은행화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주제어, 학년, 학기, 단원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각 문제마다 정답과 오답에 대한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을 해 나가면서 문제를 풀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음으로써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며 학습의 동기를 유발하여 웹을 통한 교수 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Bangladesh: An Analytical Study

  • Islam, Md. Shariful;Islam, Md. Nazmul;Mondal, Madhob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2호
    • /
    • pp.36-45
    • /
    • 2018
  • The utmost intention of this work is to identify various field areas which are most preval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e study also denotes the rate of tendency on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research production among information specialists in Bangladesh.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arefully done to collect the basic elements of research patterns. It is noted that in the period of 1980-2016, 200 articles were publish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Bangladeshi researchers in 62 journals. In this article a total of 200 articles were reviewed.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ratio of female authors had fewer contributions than male authors did. The majority of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the United Kingdom.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largest numbers of articles (19 papers, 9.50%) were published in the Social Science Journal of the University of Rajshahi from Bangladesh. The paper also shows that about 71.50% of papers have been cited while 28.50% of papers did not receive any citation. The present research might be helpful for revealing the country's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owever, this study may also inspire development of a subject-based indigenous database and can act as an important device for research scholars.

Publication Metrics and Subject Categories of Biomechanics Journals

  • Duane Victor Knudso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40-50
    • /
    • 2023
  • Research in interdisciplinary fields like biomechanics is published in a variety of journals whose visibility depends on bibliometric indexing that is often driven by citation analysis of bibliometric databases. This study documented variation in publication metrics and research subject categories assigned to 14 biomechanics journals. Authors, citation, and citation rate (CR) were collected for the top 15 cited articles in the journals retrieved from the Google Scholar service. Research subject categories were also extracted for journals from three databases (Dimensions, Journal Citation Reports, and Scopus). Despite the focus on biomechanics for the journals studied, these biomechanics journals have widely varying CR and subject categories assigned to them. There were significant (p=0.001) and meaningful (77-108%) differences in median CR between average, low, and high CR groups of these biomechanics journals. Since CR are primary data used to calculate most journal metrics and there is no one biomechanics subject category, field normalization for journal citation metrics in biomechanics is difficult. Care must be taken to accurately interpret most citation metrics of biomechanics journals as biased proxies of general usage of research, given a specific database, time frame, and area of biomechanics research.

웹과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이용한 교수-학습안 관리 시스팀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s Pla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Connectivity of Web and DBMS)

  • 이정민;안병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23
    • /
    • 2001
  • 웹이 대중화됨에 따라. 교사의 자료 수집에 있어서도 웹 사용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으나. 정보의 양미 급증하고 적절한 사용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수-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와 교사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교수-학습안 관리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교수-학습안에 필요한 정보는 웹에서 간단한 입력으로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생성된 교수-학습안은 웹 환경에서 다른 교사도 공유한다. 또한. 교수-학습안 DTD를 설계하고 각 교수-학습 안을 이에 유효한 XML 문서로 표현함으로써 문서교환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에 관련된 다른 시스템으로의 확대적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 PDF

Web에서의 협력 환경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llaboration Environment for Web)

  • 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4-81
    • /
    • 1997
  • 현재 World Wide Web (이하 Web) 자체를 일반 사용자들이 인터넷으로 인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잘못된 정보의 전달은 매우 큰 문제이며, 이것은 존재하는 정보를 잘못 가공하는 데에서 기인하게 된다. 잘못 가공된 정보의 전달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로 CSCW이다. CSCW 환경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과 같은 단일 시스템에서의 공동 작업 공간을 다중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환경과 같은 분산 공유 정보 시스템 환경 즉, 다중의 이질적인 시스템과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사용시는 다수의 추가적 요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협력으로 폐쇄적인 인터넷인 인트라넷에서의 이질적인 전산환경 특히, 교육, 생산, 마케팅 분야 및 정부에서 사용시 많은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협력의 골격이 되는 CSCW, 그룹 웨어등의 개념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협력의 정의와 분류, 문제점 분석, 그리고 Web에서의 협력 환경 구축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겠다.

  • PDF

이기종 플랫폼을 지원하는 온톨로지 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Support Cross-Platform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Ontology)

  • 전승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0-963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해 교육은 스마트러닝으로 접어들고 있다. 학습자는 종이책을 내려놓고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학습을 하고 있으며, 이 순간에도 수없이 많은 플랫폼에 각각 들어맞는 학습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플랫폼 종속적인 시스템이 이기종 플랫폼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며,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학습 콘텐츠의 양이 많아질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된다.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학습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이기종 플랫폼을 지원하는 러닝 시스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수많은 학습 콘텐츠를 불필요한 중복 없이 통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학습 콘텐츠를 통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대안으로 온톨로지 기반의 메타데이터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해 이기종 플랫폼을 지원하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웹 환경에서 중학교 체육교과 보조학습 시스템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Instruction for the Physical Education of a Middle School)

  • 이영길;김광백;노영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63-171
    • /
    • 2003
  • 정보통신기술을 학교 교육에 도입함으로써 전통적인 교육방법과 교육내용 등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교과 수업의 10% 이상을 ICT를 활용하여 수업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체육교과 수업에서 ICT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체육교과에 적합한 코스웨어 설계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육상 단거리 달리기, 전력 달리기 동작 등을 대상으로 웹, 플래시와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원격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생 4개 학급의 14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한 후에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설문과 시험을 통한 평가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ICT 활용교육은 수업내용의 이해에 효과적이고, 수업 집중이 질되고,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