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격차

Search Result 7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for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ation Algorithm with Channel Estimation for WBAN System Application (WBAN 환경에서 채널 추정 기반의 공용 채널 간섭 제거 기술)

  • Choi, Won-Seok;Kim, Jeong-G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6C
    • /
    • pp.476-482
    • /
    • 2012
  •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compare several co-channel interference mitigation algorithms for WBAN application in 2.4 GHz ISM frequency bands. ML (Maximum Likelihood), OC (Optimal Combining) and 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has been considered for the possible technique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view of the trade off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complexity of implementation. Based on the channel model of IEEE 802.15.6 standar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ML and OC attains the lower BER performance than that of MMSE if we assume the perfect channel estimation. But, ML and OC have the additional requirement of implementation for his own and other users's channel estimation process, hence, besides the BER performance, the complexity of implementation and the sensitivity to channel estimation error should be considered since it requires the simple and small sized equipment for WBAN system application. In addition, the gap of detection BER performance between ML, OC and MMSE is much decreased under the imperfect channel estimation if we adopt real channel estimation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o WBAN system, the trade off between the BER performance and complexity of implemetation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to decide the best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BAN system application.

A study on Ability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Effect of Education for Smart Device Utilization (장애인의 스마트기기 사용능력 및 활용도에 관한 연구 -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의 효과를 중심으로 -)

  • Song, Jihyang;Kim, Dongwook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1 no.2
    • /
    • pp.67-88
    • /
    • 2014
  •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education for smart device util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for the disabled. The data for disabled of NIA's 2012 survey about digital divide is used, and the research method is "Heckman's 2-stage method" which considers the problem of selection bias. As a research result, this paper says that the disabled who had experience of education for smart device utilization have higher level of ability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lso, a high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income, professional career and young generation have been very positive effect on the high level of a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disabled. The level of a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blind ten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physically disabled. These results remind that the education for smart device utilization for the disabled is important and effective. And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disability types should be developed.

A study on Systems and Needs for The Mass Customiztion (대량 주문식 생산의 체계와 중요성에 대한 연구)

  • 구현서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7 no.1
    • /
    • pp.129-136
    • /
    • 2002
  • Mass production system of most manufacturing companies has been supplying us with various useful needs in life for many years. It leads our life to live in comfortable and prosperous circumstances. And we can consider that the contributions of the mass production system to the reduction of different stratification in community remarkable . However, The needs of many clients in these days are various, different, and segmented. It is undesirable to consider every Product on the same basis anymore. So these new requirements of the customers let manufacturing companies be ready for the new production systems which are able to satisfy all the customers, but differently. In this aspects, the customization system could meet new needs of the customers. As we know, cost increase and flexibility matter for the production are main difficulties for the introduction to mass customization. However, to make arrangements for the mass customization systems of the firms is an indispensible factor for maintaining competitiveness and coping with new needs in the future market. We should remember that customers' needs in market will be changing, segmenting, and diversifying, continuously.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is tried for studying strategical approach methods of the mass customization.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 Yoon, Hee-Jeong;Shin, Hye-Ri;Kim, Young-S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7 no.4
    • /
    • pp.85-10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of the middle-aged or elderly people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social capital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data of 1,661 people aged 55 or older from the 「2018 Survey on Digital divide」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the mu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1986)'s steps for media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capital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ged people have a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are women and older, do not live alone, have higher levels of digital informatization usage and social capital. In addition, social capital also revealed to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social capital needs to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s a way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or the elderly peopl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for their Awareness of Good Job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 Bea, Sung-Sook;Chang, Sug-I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6 no.1
    • /
    • pp.59-80
    • /
    • 2017
  • Due to the recent deepening youth unemployment aftereffect, government, companies and universities seek a youth unemployment resolution method and jobs creating measures. But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Good Job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 are limited and sudden rise of the youth unemployment rate mirrors the situation in Japan 20 years ago. Thu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this research attempted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ffect their Awareness of Good Job. To achieve the goal, 2013 GOMS 5,380 copies provid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re used in the case of Korea and total 5,636 copies within 256 questionnaires targeted to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re used in the case of Japa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awareness of Good Job showed a positive influence both in Korea and Japan.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awareness of Good Job showed a meaningful effect in Korea whereas it showed no effect in Jap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employment preparation and awareness of Good Job,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major field of study didn't show any effect either in Korea or Jap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it is verified that the support of univers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Good Job, it seems that universities need to intensify the support for the students' welfare enhancement,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structural support system. Second, the gap of attitude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awareness of Good Job between Korea and Japan occurred due to the levels of social structure, welfare and wage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if measures of policy to resolve the welfare and wage gaps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er enterprises are enacted, the awareness of younger generations to the Good Job will show a corresponding effect.

  • PDF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New College Graduates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 Chai, Goo-M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9 no.4
    • /
    • pp.35-61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new college graduates by using Youth Panel Data(2003-2005) of the Work Information Center, and seeks assignments for mitigating unemployment and wage disparities of new college graduate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shows that the Kyunggi Inchon district in school locations, higher school records, and qualification certificates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hile the private college group in the non-capital area negatively affects the employment rate. Second,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standard employment demonstrates that the Kyunggi Inchon district in school locations, higher school records, qualification certificates, and the major group of medical science, pharmacy, nursing science and health science, and the major group of education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hile the private college group in the non-capital area, the junior college groups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nega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Third,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nonstandard employment shows that the junior college graduation in scholarly attainments, the junior college groups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hile the private college group in the non-capital area negatively affects the employment rate. Fourth,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wages demonstrates that male in sex, the older in ages, the major group of medical science, pharmacy, nursing science and health science, and the major group of education positively affect the wages, while nonstandard employment, Kyunggi Inchon and Cholla districts in school locations negatively affect the wages.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irst, college education should be reformed to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who are required by industries. Second, alternative measures to mitigate sex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s should be prepared. Third, the process of attaining qualification certificates should be reformed in order that it is actually connected to the abilities of work performances and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Fourth, a locally balanced development must be realized through the decentralization of industries. Fifth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rogram need to be prepared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new college graduates.

  • PD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al-time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based on the Media Users' Time-space Information for The Activity Spaces (미디어 이용자의 활동공간 시.공간 정보를 활용한 서울의 실시간 인구 분포 분석)

  • Lee, Keumsook;Kim, Ho Sung;Lee, Soo Yo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1
    • /
    • pp.87-102
    • /
    • 2015
  •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for accounting real-time population distribution in the urban areas. For the purpose, we utilize the media user's time-space information from the media users' media diaries in the media panel survey databases. We analyze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 for each activity space related with everyday urban lifes. Seoul has been selected as a case study area, since space-time information are relatively rich there, and thus the comparisons are available.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s have been verifi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card results. We propose a real time population measurement method by combination of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 with geographical data. The real time population of each activity space at each dong in Seoul has been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s to the numbers of employer of three categories of activity spaces(residential, working, and commercial). By utilizing GIS, we visualize the results of two time points (3AM and 3PM) and then analyze the spac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real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The Day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 shows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distribution of business and commercial activities, while the night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 can be explained by resident population distribution almost perfectly.

  • PDF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of Digital Sign Systems in General Hospitals (종합병원 디지털 정보안내사인의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연구)

  • Kim, Hwa Sil;Paik, Jin Kyung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19
    • /
    • pp.281-292
    • /
    • 2015
  • For this study, I conducted a survey investigating current situation, user preference, and field experiment. Hospitals utilizing digital sign systems at least five years were selected, which are connected with visual elements (layout, typo, color) used in waiting areas and elements of the systems (time, video time lin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digital sign systems used the color of typo and background contrasted to one another to increase explicitness and to ensure easy understanding of contents. In addition, the Gothic typo with relatively high legibility was adopted. Time and video timeline, which characterize digital sign systems, showed the advertising screens of the hospitals and the guidance of medical treatment at regular intervals. Moreover, survey results on user satisfaction showed that a majority of respondents indicated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digital information conveyed from digital sign systems due to time setting for rotational speed or the small size of typo although most of the users had previous experience with digital sign systems.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n=86, 86%) answered that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l departments was what they sought most frequently and that this kind of information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in digital sign systems. For the experiment, new samples with restructured contents of current digital sign systems were created and tested while keeping its design unchanged as well as applying these new samples. Study participants were in their 20s through 50s. When the size of typo was larger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all age groups, study participants found the desired information approximately 3.5 seconds faster. In addition, those in their 20-30s and 40-50s showed the time difference of 4.7 seconds for small typo and 6 seconds for large typo, which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y age in the amount of time taken in the experiment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rotating digital sign system regardless of age and the size of typo.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of Internet Addiction related to Disabled Person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장애인 정보화교육에 따른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Lee, S.D.;Hong, J.A.;Yeum, D.M.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6 no.2
    • /
    • pp.63-69
    • /
    • 2012
  •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udying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addicted group and non-addicted group based on usage time. The target group is consisted of 30 people who receive the training at home. The purpose of this training is to reduce digital divide for the disabled with reduced mobility. As a result, the typical user group, less than the 31-point appeared as 4 cases, the potentially dangerous user I group, from 31 to 54 points appeared as 25 cases, the potentially dangerous user II group, from the 54-67 points appeared as only one person. However, there was no game addiction case, more than 67 point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ulsivity and aggression between the high-risk group of 9 persons using internet more than 2.7 hours and the typical user group of 21 persons with less risk. From the result, there are two possibilities. On the one hand, an increase of the usage time for the disabled might not lead to addiction. Or, on the other hand, a measure of addiction for non-disabled might not suitable for the disabled addiction examin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