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al-time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based on the Media Users' Time-space Information for The Activity Spaces

미디어 이용자의 활동공간 시.공간 정보를 활용한 서울의 실시간 인구 분포 분석

  • Lee, Keumsook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Kim, Ho Sung (Department of Media Communi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Soo Young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김호성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이수영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5.02.11
  • Accepted : 2015.02.26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for accounting real-time population distribution in the urban areas. For the purpose, we utilize the media user's time-space information from the media users' media diaries in the media panel survey databases. We analyze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 for each activity space related with everyday urban lifes. Seoul has been selected as a case study area, since space-time information are relatively rich there, and thus the comparisons are available.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s have been verifi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card results. We propose a real time population measurement method by combination of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 with geographical data. The real time population of each activity space at each dong in Seoul has been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s to the numbers of employer of three categories of activity spaces(residential, working, and commercial). By utilizing GIS, we visualize the results of two time points (3AM and 3PM) and then analyze the spac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real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The Day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 shows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distribution of business and commercial activities, while the night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 can be explained by resident population distribution almost perfectly.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디어패널조사에서 얻어진 미디어 이용자들의 미디어 다이어리 데이터에서 미디어 수용자들의 활동공간 이용 시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도시 실시간 인구분포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민의 시공간 정보가 상대적으로 다양하여 비교검토가 가능한 서울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고, 서울시 미디어 이용자들이 도시민들의 주요 활동공간인 주거, 업무, 교육, 교통, 상거래 등 다양한 활동공간별로 하루 중 시간 흐름에 따라 머무는 비율의 변화를 분석한다. 활동공간에 따라 하루 중 시간 흐름에 따라 머무는 인구비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미디어 이용자의 시공간 정보 활용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울시 대중교통이용자의 시공간적 이동 정보를 담고 있는 교통카드 데이터에서 얻어진 내용과 비교한다. 도시민의 활동공간을 주거, 업무, 상거래의 활동공간으로 범주화하여 활동공간 범주별 실시간 인구 분포률을 산정하고, 이에 서울시 각 동별 거주 인구수 및 관련 산업별 고용자 수를 결합하여 서울시 동별 실시간 인구수를 산정한다. 서울에서 낮과 밤의 인구 분포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거 공간에 머무는 인구수에 가장 큰 격차를 보이는 오전 3시와 오후 3시 두 시점의 각 활동공간 범주별 및 이들을 총합한 실시간 인구수를 GIS를 활용 하여 지도화 하였다. 도시민의 대부분이 거주지를 떠나 일상과 관련된 활동공간에 머무르고 있는 오후 3시의 서울 실시간 인구분포는 업무공간과 상업공간의 분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밤 시간대의 인구분포는 주거공간 인구 분포와 거의 유사한 양상을 나타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