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화이용만족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Pv6 기반의 정보 공유 P2P 개발

  • 이재준;김유정;안철현;이영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27
    • /
    • 2003
  • 분산컴퓨팅, 다자간 협업, 대용량 고품질의 컨텐츠 교환을 지원하는 P2P는 차세대 인터넷의 핵심 어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다. 본래 인터넷의 근본이었던 IP 라우팅도 P2P 방식이었다. 장비가 다양해지고, PC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동적 IP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IP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복잡한 방식을 취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새로운 IP 주소들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면, 하나의 장치 당 하나의 주소 체제가 다시 각광을 받게 될 것이고, 지금처럼 불규칙적인 동적 IP 주소를 활용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IPv6는 풍부한 주소자원을 각 단말에 부여할 수 있어, IPv16 기반의 P2P 구축은 P2P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현재 P2P는 콘텐츠 공유 및 전달, 네트워크/장치(하드디스크, CPU) 리소스 공유, 다자간 원격협업, 검색, 호스팅 및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2000년경부터 대두되기 시작한 P2P 애플리케이션은 지난 2년 동안 급속하게 늘어났으며, 특히 인터넷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공유/전달할 목적으로 P2P를 많이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컨텐츠의 공유에 있어 MP3, 동영상, 이미지의 전달 및 공유에 그치고 있어, P2P를 기업 환경에서 지식공유 및 전달을 위한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아직 미약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조직 내에서 정보활용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P2P 시스템을 정보 공유 시스템으로 팔용하고, P2P의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는 IPv6 기반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IPv6 기반의 정보 공유 P2P는 IPv6 전문가 그룹을 통해 시범적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시작해, 학교 및 연구소를 통한 정보지식 공유 그리고 기업 정보화 솔루션으로 활용 될 수 있다.을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대한 고객 납기를 만족하도록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계획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고객 주문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고, 계획의 투명성으로 인한 전체 공급망의Bullwhip effec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동시에 이것은 향후 e-Busines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인프라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많았고 년도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스키손상의 발생빈도는 초기에 비하여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손상의 특성도 부위별, 연령별로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었다.해가능성을 가진 균이 상당수 검출되므로 원료의 수송, 김치의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병원균에 대한 오염방지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고농도의 유기물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는 Hybrid Anaerobic Reactor (HAR)를 이용하여 HRT 30일 정도에서 충분히 직접 혐기성처리가 가능하며, 이때 발생된 $CH_{4}$를 회수하여 이용하면 대체에너지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207), $99.2\%$(238/240), $98.5\%$(133/135) 및 $100\%$ (313)였다. 각각 두 개의 요골동맥과 우내흉동맥에서 부분협착이나 경쟁혈류가 관찰되었다. 결론: 동맥 도관만을 이용한 Off pump CABG를 시행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영구적인 신경학적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았고 좋은 혈관 개존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동맥 도관을 이용한 Off pump CABG는 관상동맥의 협착의 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시행 시 좋은 임상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였다. 그러나 심근 기능이나

  • PDF

Revisiting the e-Government Maturity Model: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전자정부 성숙도 모델의 재검토: 모델의 의의와 한계, 실증분석을 통한 제언)

  • SUNG, WOOKJOO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30 no.3
    • /
    • pp.3-2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age behavior of e-government service users based on the e-government maturity model and provide suggestions for advancement of the e-government services. The changes in Korea's e-government services were analyzed as follows; 1) Proportion of use of e-government services in Korean public services, 2) E-government service types/stages use, 3) Service use by platform 4) User response to e-government service 5) Users' requests for future e-government service usage method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data from Korea's 2012-2020 e-government usage behavior survey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roportion of e-government servic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second, the use of the e-participation stag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presenting information, interaction, and transaction stages. Third, by platform, e-government service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access platforms such as mobile, kiosk, and SNS centering on the web. Fourth, users' satisfaction with e-government service is very high. However, to vitalize e-government services, users requested improvements such as providing one-stop integrated services and simplifying authentication procedu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1) reflects the user's point of view in the maturity model of e-government, 2) considers access to various platfor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3) improves the e-government maturity model through data-based analysis such as user usage behavior suggested the need.

조직적 환경에 따른 ERP 구축방법이 변화관리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승윤;장윤희;손정희;이재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3-69
    • /
    • 2003
  • 90년대부터 많은 ERP를 도입하여 회사의 전체 업무를 통합시키고 실시간으로 모든 업무를 동시에 처리함에 따라 경영환경과 정보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ERP 시스템을 도입하던 기존의 업무 수행절차와 방법대신 ERP 패키지가 제공하는 프로세스와 기능을 적용하여 기업 내 업무기능을 혁신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조직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ERP 구면을 위해서는 기업의 환경에 적절한 구축방법을 정하고 변화관리 이행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RP를 구축하는데 어떠한 조직적 환경요인이 영향을 미지고. ERP 구축방법에 따라 변화관리의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며. 변화관리가 ERP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틀 근간으로 하여 상이한 구축방법을 통하여 ERP틀 구면탄 두 기업을 대상으로 심도있게 비교 분석함으로써 ERP 구축환경의 특성과 ERP 구축방법에 따른 변화관리 특성 및 ERP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ERP 구축방법은 ERP 구축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ERP 구축 방법에 따라서 변화기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변화관리 방법 중에서도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과 현업 직원의 적극적인 참여 및 전사적인 커뮤니케이션은 ERP 구축방법과 관계없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ERP 구축방법에 있어서 변화관리 활동은 ERP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사례연구로 얻은 시사점은 ERP의 구현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들이 ERP 구축방법을 선정하고 적합탄 변화관리 방법의 전개를 위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6 전문가 그룹을 통해 시범적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시작해, 학교 및 연구소를 통한 정보지식 공유 그리고 기업 정보화 솔루션으로 활용 될 수 있다.을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대한 고객 납기를 만족하도록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계획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고객 주문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고, 계획의 투명성으로 인한 전체 공급망의Bullwhip effec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동시에 이것은 향후 e-Business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인프라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많았고 년도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스키손상의 발생빈도는 초기에 비하여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손상의 특성도 부위별, 연령별로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었다.해가능성을 가진 균이 상당수 검출되므로 원료의 수송, 김치의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병원균에 대한 오염방지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고농도의 유기물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는 Hybrid Anaerobic Reactor (HAR)를 이용하여 HRT 30일 정도에서 충분히 직접 혐기성처리가 가능하며, 이때 발생된 $CH_{4}$를 회수하여 이용하면 대체에너지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207), $99.2\%$(238/240), $98.5\%$(133/135) 및 $100\%$ (313)였다. 각각 두 개의 요골동맥과 우내흉동맥에서 부분협착이나 경쟁혈류가 관찰되었다. 결론: 동맥 도관만을 이용한 Off pump CABG를 시행하여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Problem-Solving Ba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n Web (웹에서 문제 해결 기반 및 자기 주도적학습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 Kim, Kyung-Deok;Lee, Sang-W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7
    • /
    • pp.944-955
    • /
    • 2004
  • The modern society as a high-level information-oriented society lays a great emphasis on lifelong education. It emphasizes all the learners' creative learning ability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s well. We need the self-directed learning to meet these requirements, and one of the solutions is the self-directed teaching-learning process employing the web. Though many educators, so far, developed a number of teaching materials, they are no more than web-based teaching materials for simple learning activities or simple item-bank systems. So, this paper suggests an problem-solving ba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n web in order to overcome such simplicities, and it show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Suggested learning system enables learners to get thinking skill though self-directed control of learning level after they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n the web as self-directed learning. For example, the system was appli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a middle school students. It supports a test of questions chosen from the item bank in a self-directed way, and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levels for themselves and to solve their questions through on-line discussions with their instructor. The system can also be helpful in improving the learners' learning effects by sharing mutual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room or the Q&A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or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 PDF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mart Garden (스마트가든의 인식경향에 관한 연구)

  • Woo, Kyung-Sook;Suh, J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2
    • /
    • pp.51-60
    • /
    • 2021
  • Modern society is becoming more informed and intelligen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which humans, objects, and networks relate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a garden system has emerged that makes it easy to supply the ideal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and moisture conditions to grow pla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oncept, perception, and trends of smart gardens, a recent concep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text mining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haracteristics of smart gardens are new gardens in which IoT technology and gardening techniques are fused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changes in people's lifestyles. As technology advan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smart gardens are becoming a reality due to the need for living spaces where humans and nature can co-exist. With the advent of smart garden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gardens' vitalization to deal with changes in garden-related industries and people's lifestyles. Second, in current research related to smart gardens and users' experiences, the technical aspects of smart gardens are the most interesting. People value smart garden functions and technical aspects that enable a safe, comfortable, and convenient life, and subjective uses are emerging depending on individual tastes and the comfort with digital devices. Third, looking at the usage behavior of smart gardens, they are mainly used in indoor spaces, with edible plants are being grown. Due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a possible food crisis, the tendency is to prefer the cultivation of plants related to food, but the expansion of garden functions can satisfying users' needs with various technologies that allow for the growing of flowers. In addition, as users feel the shapes of smart gardens are new and sophisticated, it can be seen that design is an essential factor that helps to satisfy users. Currently, smart gardens are developing in terms of technology. Howev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smart garden are the combination of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rather than focusing on growing plants conveniently by simply connecting potted plants and smart devices. It strengthens connectivity with various city services and smart homes. Smart gardens interact with the landscape of the architect's ideas rather than reproducing nature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esign that considers the functions of the garden and the needs of users. In addition, by providing citizens indoor and urban parks and public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functions of communication and gardening among generations targeting those who do not enjoy 'smart' services due to age and bridge the digital device and information gap. Smart gardens have potential as a new landscaping spac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Disabled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활용방안 연구)

  • Kim, Jung-Ho;Suh, Jun-Kyo Francis;Koo, J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3
    • /
    • pp.581-596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digital divide of the disabled by surveying the demand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s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state of digital divid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ifferences of possession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usage ability, and utiliz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ability profile by using the T-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T=-2.510*) of possession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with respect to the disability profile, and that the disabled have lower possession and accessibility of devices than the non-disabled. Result of this study's demand forecast shows that about 28% of total respondents are currentl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and a majority (67%) of them answered that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lend great help to their lives.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ve been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were 36% of the total respondents, and those satisfi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s were 46% of the total responses. Meanwhile, only 36% of total users answered that the operation and use of functions of the devices was easy and convenient, responding that the difficulty of operating assistive devices was the greatest inconvenience. Moreover, the general requests of respondents in regards to the devices were stabilization of device performance, miniaturization of size, simplification of buttons, and reduction of weight.

  • PDF

Survey and Analysis of the Audio Description Acceptance for Improving the Media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시각장애인 미디어접근권 향상을 위한 해설오디오 수용도 조사 및 분석)

  • Jang, Inseon;Ahn, ChungHyun;Seo, Jeongil;Lee, Eun Ha;Kang, Wan Sic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2 no.2
    • /
    • pp.214-233
    • /
    • 2017
  • For people with physical or sensory limitations, broadcasting is the main means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isure. Recently,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such a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digital mobile conversion of broadcasting, and active media usage behavior of users, make broadcasting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difficult, and as a result, the information gap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is increasing. A notice on broadcasting rights for the disabled was enacted in consequence of the amendment of the Broadcasting Law in July 2011 and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 became more effective with the amendment of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Act in 2013 so that legal basis for the right of media access for the disabled was established. However, media services for them are still lack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present status of the audio description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usage status,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of the audio description service for 100 visually impaired people.

Object-oriented Desig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in the Han River System (한강수계 수질측정망 개선을 위한 목적 지향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 Wang, Soo-Kyun;Na, Eun-Hye;Park, Seok-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5
    • /
    • pp.453-460
    • /
    • 2005
  • Since late 1970s, water quality monitoring had been performed in Korea by various agencies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and objectives. Lacking of consistency in principles, such diverse operation has been producing difficulties in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water quality parameters. These difficultie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expansion of monitoring networks had been based not on systematic methodology with considerations on scientifically established planning objectives but on personal experiences and subjective judgments in locating monitoring stations. This study aimed, therefore, to develop a selection methodology for locating monitoring stations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s on water quality to satisfy various monitoring objectives such as understanding short and long term trends of water quality, monitoring violations to water quality standards, identifying external causes and sources affecting water quality changes, supporting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examining short-term variations in water quality through a concentrated investigation, estimating pollution loads from each unit watershed, supporting water quality modeling, and establishing informative system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Also,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ology and presented an improved expansion pla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in the Han River.

An Empirical Study on the Adop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The Port Logistics Service (항만 물류서비스의 기술수용모델(TAM) 적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Lee, Je-Ho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7 no.4
    • /
    • pp.13-35
    • /
    • 2011
  • The advance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provides a wide range of corporate to cope with new business environments that are different in size, life and operation condition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tudy Method are mainly survey and questionnaire. The major result of article can be summarized. Its are as the follows: This paper ware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port service qualit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utilization intention', 'practice use'. There are 400 sended samples and 150 returns, 173 of them are analyzed on a port utilization using TAM model. 1. The Port service quality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o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utilization intention' 2. The perceived ease of use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o 'perceived usefulness', 'utilization intention' 3. The perceived usefulness i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utilization intention' 4. The utilization intention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o ''practice use' we hove to provide useful contribution to increase the Korea ports' competitiveness in introduction of port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port development offer some insight in further research.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