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정보처리모형

Search Result 93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Computer Subject Learning Model Unifying the Apply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Level Learning (수행평가와 수준별 학습이 결합된 컴퓨터 교과 학습모형)

  • Jang, Yoo-Soon;Kim, Byung-Ki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2.04b
    • /
    • pp.1097-1100
    • /
    • 2002
  • 2000년부터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과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가 도입되었다. 본 논문은 컴퓨터 교과의 수행평가와 수준별 학습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행평가와 수준별 학습이 결합된 학습모형을 제안하다. 이 학습모형을 따르면 수준에 맞는 개별화 학습이 이루어져 능동적인 완전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사는 수행되는 과정을 관찰하여 학생의 수준을 잘 파악할 수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Onion Weight on Growth Stages Using Functional Regression Model (범함수 회귀모형을 이용한 성장단계별 양파무게의 추정)

  • Cho, Wanhyun;Na, Myeong Hwan;Kim, Junki;Kim, Deogh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9.10a
    • /
    • pp.858-860
    • /
    • 2019
  • 본 논문에서 우리는 범함수 회귀모형을 이용한 양파의 성장단계별 무게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통계적 추정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우리는 풍속, 평균온도, 강우량, 일조량 그리고 습도 등 나타내는 환경요인들을 설명변수들로 사용하고, 양파의 성장단계별 무게를 반응변수로 사용하여 범함수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먼저 그래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일일 평균온도는 양파의 무게 증진에 가장 큰 양의상관이 있고, 풍속이나 습도 그리고 일조량들은 양파의 성장에 약간의 영향력이 있으며 강우량은 양파의 성장에 전혀 도움이 안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범함수 회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각 환경요인들에 대한 회귀계수들의 그림을 통하여 우리는 양파의 성장 기간 동안에 이들의 무게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환경요인들을 관리해야 되는 가를 알 수 있는 재배방법을 유도하였다.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W Education of the low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Using the EPL (EPL을 이용한 초등학교 저학년 SW교육 교수·학습 모형 연구)

  • Son, Won-Kyung;Lee, Myung-Su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을 전혀 해보지 않았고, 게임에는 관심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EPL 도구로서 스크래치를 이용한 SW교육의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5단계 10차시로 분류하여 각 단계별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교수 학습 목표를 결정하였다. 학습목표에 맞게 각 단계별 수업이 이루어지면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반복수업, 흥미 있는 수업, 이해도가 증가할 수 있도록 단계별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SW교육 교수 학습 모형에서 각 차시별 목표를 설정하고 단계별 교수 학습 전략을 제공하여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SW교육이 가능한지, 어느 정도 수준의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지, EPL 도구로서의 스크래치의 활용성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알아보고 SW교육에 수업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Ozone Concentration Prediction Model Using SARIMA Model in Atmospheric (SARIMA모형을 이용한 대기 중 오존농도 예측 모델 구축)

  • Kang, Jung-Ku;Park, Seok-Cheon;Kim, Jong-H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04a
    • /
    • pp.641-644
    • /
    • 2015
  • 우리나라는 지난 40년간 급속한 경제 성장의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2005년 사이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2차 오염물질인 오존은 1990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3% 상승하고 있으며, 반복 노출 시 폐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오염 물질로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계절성 특성을 지닌 오존농도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SARIMA 모형을 활용하여 예측 모형을 구축 하였다.

Evalu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s based on 3C-D-T Model (3C-D-T 모델에 기반한 인터넷 쇼핑몰 평가)

  • Lee, Yong-Tae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4.05a
    • /
    • pp.447-450
    • /
    • 2004
  • B2C 전자상거래 분야의 대표격인 인터넷쇼핑몰은 유통산업의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쇼핑몰의 성공적 구축 및 운영이 주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웹사이트 평가모델로 주목 받고 있는 3C-D-T 모델을 기반으로 보완하여 국내 인터넷쇼핑몰 웹사이트 평가에 보다 최적화된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평가모형의 보완은 주로 평가영역 부분에서 이루어졌는데, 인터넷 쇼핑몰 웹사이트에서 비교적 비중이 적은 Community 영역의 평가점수가 전체 웹사이트 평가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의미가 있었다. 그리하여 3C-D-T 모델의 평가영역의 Commerce 항목과 Community 항목을 통합하여 새로이 Com&Com 항목을 구성했고, 그것으로 보다 최적화 된 인터넷쇼핑몰 웹사이트 평가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새로운 평가모델로 국내 메이저 종합쇼핑몰 웹사이트들을 분석, 비교평가 하였다.

  • PDF

A Study on Remote Control for Intelligent Model Car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모형 자동차의 원격 제어에 관한 연구)

  • Kim, Jae-Young;Park, Sung-Geun;Kim, Dong-Hyeon;Jun, Hee-S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04a
    • /
    • pp.647-65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험실용 모형 지능형 자동차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기존의 임베디드 기기(지능형 모형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은 단순한 1:1 통신으로 조종 기기와 임베디드 기기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구현 하였으므로 조종 기기와 임베디드 기기와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면 원격 조종이 가능한 거리의 제한이 없어진다. 사설 아이피끼리의 P2P 연결에서 공인아이피를 알아내기 위해 UDP서버 경유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기 근처에 연결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망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Ad-Hoc방식을 구현하였다. 또한 일반패킷 구조를 사용하는 것 보다 직접 구현한 데이터 패킷 구조를 사용하여 이미지 및 센서 데이터를 전송한 결과 전송속도가 훨씬 개선하였다.

A Design of Automatically Chang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SA for Smart Learning System (스마트 러닝 시스템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자동변화 SSA 설계)

  • Hong, Seong-Y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04a
    • /
    • pp.1445-1446
    • /
    • 2011
  • 최근 스마트 컴퓨팅 시대를 맞아 스마트 러닝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 러닝의 개념은 크게 2가지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과 학습을 위한 스마트 학습 기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기법은 학습자에게 좀 더 효율적이면서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학습자의 성향과 학습자의 프로파일, 학습 상황 등을 인지하여 분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에게 스마트 러닝을 위한 스마트 학습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러닝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자동으로 적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학습의 유형과 학습 패턴의 변화에 따라 시스템이 학습자에게 지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 모형이 학습자에게 자동변화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향분석 그리고 형성평가, 사후평가 등의 데이터 분석을 수집하고 자동으로 분석하여 적용 할 수 있는 스마트 학습 에이전트(SSA:Smart Study Agent)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SA 설계를 기반으로 스마트 러닝 시스템의 필요성과 향후 연구 발전에 따른 이러닝(e-learning) 교육 혁신에 기여하고자 한다.

Developing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Job Allocation Model by Using FlexSim Software (FlexSim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강화학습 기반 작업 할당 모형 개발)

  • Jin-Sung Park;Jun-W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11-313
    • /
    • 2023
  • 병렬 기계 작업장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처리할 작업을 적절한 기계에 할당해야 한다. 특정 작업을 처리할 기계를 선택할 때 휴리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특정 작업장에 맞춤화된 휴리스틱을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다. 반면, 본 논문에서는 이종 병렬 기계 작업장을 위한 작업 할당 모형을 개발하는데 강화학습을 응용하고자 한다. 작업 할당 모형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에피소드들은 상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FlexSim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아울러, stable-baseline3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생성된 에피소드들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시뮬레이션과 강화학습이 작업장 운영관리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Forecasting Port Trade Using Non-linear AI Modeling (비선형 AI 모델링을 활용한 항만 물동량 예측)

  • Yeong-Woon Kim;Ye-Eun Kim;In-Hwan Kim;Jae-Yun Kim;So-Yeon Je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4.10a
    • /
    • pp.1030-1031
    • /
    • 2024
  • 항만 물동량 예측은 해운사 및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 중에서 컨테이너 물동량은 최근 국내 총 항만 물동량을 견인하고 있어 정확한 예측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예측모형은 전통적인 시계열 모형을 활용해 실효적인 예측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자료로 다양한 비선형 AI 모델을 활용해 항만 물동량을 예측하고 비교평가 하였다. 그 결과 DeepAR 모델을 활용한 모형의 예측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witch Router with Output-Buffer (출력 버퍼를 장착한 스위치 라우터의 성능 분석)

  • Shin Tae-zi;Yang Myung-kook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2 no.2
    • /
    • pp.244-253
    • /
    • 2005
  • In this paper,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the switch router with the multiple-buffered crossbar switches is proposed and examined. Buffered switch technique is well known to solve the data collision problem of the crossbar switch. The proposed evaluation model is developed by investigating the transfer patterns of data packets in a switch with output-buffers.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le-buffered crossbar switch is analyzed. Steady state probability concept is used to simplify the analyzing processes. Two important parameters of the network performance, throughput and delay, are then evaluated. To validate the proposed analysis model, the simulation is carried out on a network that uses the multiple buffered crossbar switches. Less than 2% differences between analysis and simulation results are observed. It is also shown that the network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small number of buffer spaces is given. However, the throughput elevation is getting reduced and network delay becomes increasing as more buffer spaces are added in a swi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