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이용환경

Search Result 16,769, Processing Time 0.083 seconds

Framework for designing and Build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 ;;R.S.Ramskrishin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202-204
    • /
    • 2001
  • 인간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추론하여 이러한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그러나 현재의 컴퓨터가 인간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환경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컴퓨터가 환경 정보를 수집, 추론, 활용하기 위해 환경문맥-인식 컴퓨팅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은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특별한 인지 작용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행동을 환경정보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인간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까지의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문제점은 환경정보를 사용하기 어렵고,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존의 많은 프레임워크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즉,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들이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에 기여하였지만, 이동환경 및 인터넷 컴퓨팅 환경에서 여러 종류의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화된 프레임워크 개념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노문은, 이동환 경과 인터넷 컴퓨팅 환경에서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Jini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이 OASIS(Office Application Service for Intelligent Systems)를 구현하고 있다. 이것은 이동환경에서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효과적이고 적합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ir using skills on the user′s information behavior at the academic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정보기술환경과 이용자의 정보기술 이용능력이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85-88
    • /
    • 2001
  • 대학도서관의 정보기술 환경과 이용자의 정보기술 이용능력이 도서관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독립변인으로 선정된 도서관 집단간의 비교와 이용자 집단간의 비교를 통한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도서관의 정보기술 환경에 따른 도서관 정보기술 이용행태는 대체적으로 차이가 없으며 개인의 정보기술 이용능력에 따른 도서관 정보기술 이용행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Function and Routing Method of Sensor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센서의 기능 및 라우팅 기법 연구)

  • Hong, Su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2-29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연안·해양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해 연안·해양지역의 대기환경 정보는 물론 수질 환경의 정보를 측정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연안 및 해양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해 고려된 해양 센서를 사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조도, 기압, 이슬점의 대기환경 정보와 용존산소량(DO), 수소이온지수(pH), 수온 등의 수질환경 정보를 측정한 후 측정된 환경 정보를 베이스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모니터링 하도록 하였다. 환경 정보를 전송할 때 정확하고 신속한 전송을 위하여 데이터 전달 확률이 높은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전달하였다.

An Analysis of Context Information for Develop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상황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상황정보 분석)

  • Moon, Mikyeong;Baek, Sunjae;Park, Kyuhyun;Lee, Daesung;Yoon, S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063-1066
    • /
    • 2009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소프트웨어가 외부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외부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환경에 대한 정보, 즉 상황정보를 이용하는 상황인식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외부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것이 병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설계 방법들은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외부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상황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획득되어야 하는 상황정보를 분석하고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상황인식 애플리케이션이 수행해야 하는 상황규칙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한 상황인식 강의실 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발 사례연구를 소개한다.

  • PDF

GIS를 이용한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 개발

  • 이사로;송원경;박종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221-23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관련 공간정보를 검색 및 출력 등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철도 노선 중 낙석 및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춘선, 영동선, 중앙선, 태백선, 정선선의 2.5km 혹은 5km 반경 지역에 대해 철도 관련 정보, 각종 지도 관련 정보, 지형분석 정보, 수문기상 정보, 현장 조사된 낙석 관련 정보 등 각종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정보시스템은 보기환경, 테이블환경, 차트환경, 레이아웃환경, 프로젝트환경 등 5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정보시스템의 기능은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검색, 출력 뿐 아니라 자료 변환, 자료 및 범례 편집, 라벨 생성, 화면 확대, 축소, 지도 작성, 그림 편집, 문자 DB 관리, 차트작성, 도움말 등 다양하다. 본 정보시스템은 ArcView의 스크립트 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고 풀다운 메뉴 및 아이콘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개발되었다.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개발된 정보시스템은 낙석 및 산사태 관리 및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 및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Information Use Environments (고등학생들의 정보이용환경(IUEs)에 관한 연구)

  • Chung, Jin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1 no.3
    • /
    • pp.189-213
    • /
    • 2017
  • Conduc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nformation Use Environ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high schools, identified the typical problems of the students and their information source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analyzed the settings the students use dail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20 students in 3 different high schools located in the affluent community area of K-Ku in Seoul particularly known for high academic interests. 18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4.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tudents's attitudes toward education, going to college, and changes and innovations were positive. that they chose the internet as their most favorite information sources for problems, and that 21 problems in 7 self-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the students' typical problems, and that the problems within emotional and cognitive self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t was interesting that the students use parents and siblings as information sources to resolve the problems within emotional and cognitive self, although they chose the internet as their favorite information sources in general. The settings that students use daily during weekdays were homes, schools, smart devices. academic tutoring centers, PC or laptop in order. The students' daily settings for weekends were homes, academic tutoring centers, restaurants, PC or laptop in order. These setting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o suggest the further research questions and to show the application of the IUEs for under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in a specific sett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high school students in different contexts.

Performance Analysis of CDMA/QPSK System for Image Transmission in Multipath Environment (다중 경로환경에서 영상 전송을 위한 CDMA/QPSK 시스템 성능분석)

  • 조송백;김지웅;강희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582-58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CDMA/QPSK 시스템을 이용하여 압축된 영상 정보 데이터를 다중 경로 환경에서 전송했을 때 전송 에러가 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무선 채널 환경으로써 ITU-R M.1225에서 제시한 시스템 모델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실내 사무실 환경, 보행자 이동 환경, 차량 이동 환경에 따라 압축된 영상 정보가 전송되었을 때 복원된 영상을 분석하였다.

  • PDF

Information Environment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earcher (과학 기술연구자들의 정보환경에 관한 연구)

  • 김태승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3 no.1
    • /
    • pp.5-18
    • /
    • 1996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overall information environment and information needs of researchers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ields. 113 researchers, professors or research graduate students either working or studying in four of the scientific research institutes or colleges major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up. Out of 25 items in the questionnaires, 14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which their information environment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ere analyzed and hpothesis were tested

  • PDF

Development of National Scale Environmental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Exposure Assessment (노출평가를 위한 전국규모의 환경지리지형정보 시스템 개발)

  • Kim, Jong-Ho;Kim, Mi-Sug;Kwak, Byeong-Kyu;Yoo, Hong-Suk;Shin, Chi-Bum;Yi, Jong-Heo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10
    • /
    • pp.1082-1089
    • /
    • 2006
  • This study describes a methodology to develop a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a national scale which is supports the environmental fate modeling. This system was developed via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DB) and the DB usage software. For the sound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DB were constructed by extracting the geometrical figures-such as points, polylines, and/or polygons-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previously developed in Korea. Then it was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Visual Basic Complier, the software can be a useful tool for visualizing the DB, for searching the environmental &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supporting the environmental fate modeling.

Context-Based Security Policy Management Model Using Adaptive Security Level (적응적 보안등급을 이용한 컨텍스트-기반 보안정책 관리모델)

  • 서정철;채종우;정목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286-288
    • /
    • 2004
  • 최근 인터넷의 급성장을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하면서 다양한 환경요소를 가진 자원들이 네트 워크 상에 공존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적절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컨텍스트(Context)를 기반으로 적절한 보안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제공되는 상황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 디바이스의 성능, 서비스의 가치 등 다양한 자원의 환경요소를 획득하여 MAUT와 간결한 휴리스틱스를 이용하여 자원에 적절한 보안 등급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보안정책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