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이용교육

Search Result 3,683, Processing Time 0.077 seconds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 Lee, Byeong-Ki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1
    • /
    • pp.45-74
    • /
    • 2005
  • The study has develop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for integration strategie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 the 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American and Japan. Basing on the comparative result, it propos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The scope and sequence which it proposes based on the skill and process of information literacy model, it includes content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lso, supposed scope take in all format of information media, the process and strategies of information use,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the supposed sequence divided into elementary school(1-3), elementary school(1-4), middle school(1-3), high school(1-3)

  • PDF

Desig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ith School Infra-Network Management Func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학내망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교육 정보 인프라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 Park, Jeong-Ae;So, Won-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76-283
    • /
    • 2005
  • 최근 컴퓨터, 인터넷, 그리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이용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각급 학교에서는 컴퓨터, 학내망 장비,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의 교육 정보 인프라에 대한 관리 및 관련 업무를 교육 정보부에 전담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보화 기자재 및 소프트웨어 관리뿐만 아니라 학내망 관련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교육 정보 인프라 통합 관리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을 기반으로 교육 정보부에서 관리하는 모든 관리 대장의 자료를 포함한다. 특히 제안된 시스템은 교육 정보부의 개별적인 관리대장 자료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학내망 구조 기반으로 운용된다. 이를 위하여 학내망 장비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형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는 학내망 구조 구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리 대장 자료에 대한 접근을 학내망 구조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 정보부 업무에 대한 거부감과 업무 효율을 향상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ystem to Generate Dynamic Test Using the Information of Perconal Ability (개인 능력 정보를 이용한 동적 문제 출제 시스템)

  • 박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89-591
    • /
    • 2000
  • 현재 인터넷과 컴퓨터를 활용한 web 기반의 원격교육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교육 효과적인 면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손쉽게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원격교육의 평가방법은 정적이어서 더 나은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에 문제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출제하여 주는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도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학습의 평가가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학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능력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더 효과적으로 원격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개선된 동적 문제 출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정규학교에서의 정보보호교육 강화 방안

  • 이민섭
    • Review of KIISC
    • /
    • v.13 no.6
    • /
    • pp.67-78
    • /
    • 2003
  • 최근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 등의 급속한 발전과 국가 정책에 따른 세계 최고수준의 If 인프라 구축에 따라 인터넷 이용률 및 인터넷에 의한 범죄 등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가장 많은 인터넷 사용 연령층이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대학생들로 그들의 인터넷 이용률은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이버 범죄의 절반정도가 이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학생을 위한 정보보호관련 교육내용과 교육환경의 열악함은 학생들이 죄의식 없이 범죄를 저지르거나 그들 자신들이 피해자가 되는 사회로 방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8회 정보보호심포지움에서 발표하였던 '초중고 정보보호교육 강화'의 내용을 보완하여 대학교를 포함한 정규학교에서의 정보보호교육내용을 분석하고 정보보호교육환경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에 관한 결론으로 정보보호교육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 Design of A Education Information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KEM Ver 2.0 based on MPEG-7 (KEM Ver 2.0을 이용한 MPEG-7 기반의 교육정보 이미지 검색시스템 설계)

  • Kwak, Kil-Sin;Jo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509-512
    • /
    • 2005
  • 인터넷과 웹과 같은 정보사회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정보의 교류 수요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교육정보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표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개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교육정보 자료를 통합적으로 공유, 재사용하기 위하여 KEM(Korea Education Metadata) Ver 2.0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하였다. 또한 해외에서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절한 표현을 위하여 MPEG-7 표준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정보 자료 중에서 교육정보 이미지에 대한 검색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검색시스템의 설계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된 KEM Ver 2.0을 수용하기 위하여 교육정보 이미지의 메타데이터 표현을 KEM Ver 2.0에서 제안된 메타 데이터 표현을 MEPG-7으로 확장한 XML 스키마를 사용하였다. KEM Ver 2.0 기반의 high-level 메타데이터와 MEPG-7 기반의 low-level 메타데이터를 이용함에 따라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육정보 이미지의 상호교환 뿐 아니라 체계적이고 빠른 검색과 추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XML-based Learning Model that Using Web Casting Technique of Web. (Web에서의 웹캐스팅 기법을 이용한 XML기반의 학습모형에 관한 인구)

  • 윤호군;김천호;김지연;김현기;강환수;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63-66
    • /
    • 2000
  •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의 발전으로 웹 코스웨어의 교육에 응용하려는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가고 있다. 이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쉰 상에서의 원격교육에 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실세계에 다양한 방법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다양한 교육 툴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웹 코스웨어의 교육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여러 곳에 떨어져 있는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및 구현되었다. 그러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시스템이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위해 통신이 항상 서로 교류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하고, 사용자가 새로이 갱신된 학습정보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항상 찾아가 정보를 찾아 접속해야만 갱신된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반영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한 웹 캐스팅기법으로 웹 코스웨어를 구연하였으며, 이를 적용하기 위해 CDF(Channel Definition Format)형식을 사용하였다. 채널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자율적으로 채널을 선택하면 새로이 갱신된 정보가 자동적으로 학습자의 시스템에 저장되도록 구현하였다.

  • PDF

정규교육기관을 통한 정보보호인력 양성에 대한 연구

  • 김태성;김민정;김종하
    • Review of KIISC
    • /
    • v.14 no.4
    • /
    • pp.78-91
    • /
    • 2004
  • 최근 정보화의 역기능이 더욱 다양해지고 광범위해지면서 정보보호의 중요성은 전 세계에 걸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보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기관들이 개설 및 증설되고 있지만, 인력양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규교육기관에서의 정보보호인력 양성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통계연보를 이용하여 국내 정규교육기관(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의 정보보호전공 설치 현황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졸업생 진로 현황,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애로사항,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우선순위를 파악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정보보호인력의 공급을 전망하고 학교 급별로 정보보호인력의 양성 방안을 제시한다.

Analysis of Usage Behavior for the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of Part-time Instructors (시간강사들의 교육학술정보 이용행태 분석)

  • Oh, Seo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3
    • /
    • pp.237-262
    • /
    • 2020
  • Part-time instructors are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and research, strengthening research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and social knowledge and academic development. Therefore, academic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for part-time instructors are essential for their educational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is study, researcher suggested various methods for providing efficient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ir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needs, and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recognition and usage behavior by applying the survey method to part-time instructors.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Using Topic Modeling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정보활용교육 연구주제 분석 및 교육내용 제안)

  • Jihye, Yun;Yoo Kyung,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1-21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opics and suggest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o 97 scientific articles and identified the cor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uch a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th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ed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Big 6 model,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of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y, and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s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ethics' to sugges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e Analysis on the Teaching in the Use of Libraries in Primary School′s Language Textbooks at Japan (일본 소학교 국어 교과서의 도서관 이용 교육 분석)

  • 신대범;남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3.08a
    • /
    • pp.315-323
    • /
    • 2003
  • 도서관에 대한 올바른 이용과 이해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도서관 이용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정규 교과서에 반영하여 교과 수업 시간에 지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일본은 문부과학성에서 고시한 ‘학습지도요령’에 의거 국어 교과서에 다각적인 도서관 이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도서관 이용 교육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 나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에 참고 자료가 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