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보호교육 프레임워크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효과적인 정보보호 교육 및 훈련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오창규;김종기
    • Review of KIISC
    • /
    • v.13 no.2
    • /
    • pp.59-69
    • /
    • 2003
  • 오늘날의 정보시스템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접근 통제나 정보보호기술 측면에서의 통제만으로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렵다. 흔히 정보보호는 기술보다는 관리의 문제라고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정보보호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하며,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과 훈련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심리학 관점으로부터 의사결정과정 측면과 교육 및 훈련의 효과성 측면에서 정보보호에 대한 사용자의 실제 행동과 내면화 과정을 규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이 지속적인 정보보호 실제 행동을 할 수 있는 정보 보호 교육 및 훈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구성요소별 전략과 프로그램의 실행 단계를 소개하였다.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Employees: A Cas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정보보호 담당자를 위한 업무교육 프레임워크 개발 : 교육관련기관 사례)

  • Lee, Eun-Ju;Jun, Hyo-Jung;Kim, Tae-Sung;Kim, Yeon-B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
    • /
    • pp.386-399
    • /
    • 2014
  • Following the heightened facilitation of information system in the education field, educational institutions encounter frequent information security infringement accident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education for persons in charge of information security duti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of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institution type, service area and duty.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on survey data, this study presents th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framework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Domestic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Focusing on a Two-Track Curriculum Customized by Age and Job (국내 정보보호 교육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연령 및 직무 맞춤의 이원화(Two-track)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Park, Minjung;Lee, GI Hyouk;Chai, Sangm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1 no.5
    • /
    • pp.1083-1095
    • /
    • 2021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users' dependence on the Internet and the spread of various IT devices,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ecurity on the users' has expanded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ave an increased influence on information security in personal life. In addition, as the intrusion factors that threaten security continue to become more advanced and diversified (eg., fake news, cyberbullying, identity theft), the need for nurturing information security experts is increasing. Furthermore, not only corporate information security workers, but also all individuals, cannot be free from the threat of information sec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to improve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induce proactiv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ourses are analyzed and provide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pplicable to the domestic environment.

개인정보보호 참조 아키텍처와 국제표준화 동향

  • Shin, Yong-Nyuo;Kim, Hak-Il;Chun, Myung-Geun
    • Review of KIISC
    • /
    • v.21 no.5
    • /
    • pp.12-20
    • /
    • 2011
  • 개인정보보호법이 전면적인 법 시행을 앞두고 있고 지금까지 규제대상이 아니던 기업 종업원의 개인정보는 물론, 종이 문서형태의 개인정보까지를 규제대상으로 삼고 있어 개인정보보호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규제범위도 정보통신, 교육, 의료, 금융 분야까지 다루고 있어서, 정부/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이러한 발전추세에는 국내외 표준화가구를 통한 활발한 표준화작업이 밑바탕이 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한국 등의 나라를 중심으로 국제표준화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1]. 표준화의 분야에는 개체의 신분확인을 위한 표준, 개인식별정보와 바이오인식 정보가 같이 사용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바이오인식 프라이버시 및 보안요구조건을 위한 표준, 프라이버시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 기반 구현을 위한 프라이버시 레퍼런스 아키텍쳐 등 다양한 표준화 분야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라이버시 표준화를 위한 국외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추진해야할 중점 표준화 항목을 도출한다.

국제 공통평가기준(CC)의 교육 동향 및 평가된 정보보호 제품 분석

  • 오흥룡;염흥열
    • Review of KIISC
    • /
    • v.13 no.5
    • /
    • pp.1-15
    • /
    • 2003
  •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의 보안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서로 다른 체계를 이용함으로써 평가를 위한 이중의 비용 소요와 추가의 시간 소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등의 선진국들은 국제간에 상호 인정이 가능한 공통평가기준(CC : Common Criteria)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고, CCRA(Common Criteria Recognition Agreement)에 가입한 나라에서 평가된 제품은 다른 나라에서 재평가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호 인정하는 CCRA 라는 평가를 위한 국제 조약을 체결하여 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CC는 다양한 보안 제품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고, 표준안의 분량이 매우 많을 뿐만 아니라 복잡하며, 개발자와 평가자, 그리고 이용자 모두가 평가를 위한 기술적, 관리적, 절차적 과정의 이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CC 주요 주체에 대한 평가 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또한 우리 나라도 국제공통평가기준 인정 협정인 CCRA로의 가입을 준비중에 있고, 다양한 제품으로 평가제도의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의 CC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현재 CC 체제하에서 평가된 정보보호 제품들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평가 교육 현실을 살펴본 후, 국내 CC 교육 프레임워크와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A Study on Tracking Method for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 Tools (명령 제어 프레임워크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 도구 추적 방안에 대한 연구)

  • Hyeok-Ju Gwon;Jin Kwa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3 no.5
    • /
    • pp.721-736
    • /
    • 2023
  • The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 was developed for penetration testing and education purposes, but threat actors such as cybercrime groups are abusing it. From a cyber threat hunting perspective, identifying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 servers as well as proactive responding such as blocking the server can contribute to risk managem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tracking the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 in advance. The methodology consists of four steps: collecting a list of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related server, emulating staged delivery, extracting botnet configurations, and collecting certificates that feature is going to be extracted. Additionally, experiments are conducte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ology to Cobalt Strike, a commercial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 Collected beacons and certificate from the experiments are shared to establish a cyber threat response basis that could be caus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Framework.

가상 개발환경 기반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 설계: 공격 중심으로

  • YoungBok Jo;Subin Choi;OH ByeongYun;YongHo Choi;Hojun Kim;Seonghoon Jeong;Byung Il Kwak;Mee Lan Han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23-29
    • /
    • 2023
  • 대부분의 임베디드 시스템은 기계장치와 전자기기 장치가 함께 작동되는 물리 장치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복잡한 보안체계 등을 고려하여 가상화 기반 사이버훈련 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을 대상으로 물리적인 실험환경에서 모의침투 등 사이버훈련을 수행한다는 것은 교통사고를 비롯한 안전사고 발생에 있어 위험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개발환경에서의 공격 기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공격 기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의 작동은 자동 활성화되는 가상의 C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시작된다. 가상의 C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가상 머신에서 간단한 부트스트랩 명령어 실행을 통해 파이썬 패키지와 Ubuntu 서비스 목록 설치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설치된다. 이후 내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와 공격모듈과 관련된 UI가 자동으로 Ubuntu Systemd에 의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시작과 동시에 준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이버훈련 UI 내 공격 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공격 선택 및 파라미터 셋팅 이후 차량의 이상 상태를 사이버훈련 UI에 다시 출력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 개발환경 기반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는 자율주행 차량 사고의 위험이나 다른 특수한 제약 없이 사용자의 학습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상화 기반 사이버훈련 교육 콘텐츠와는 달리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확장 개발이 가능하다.

Security Education Training Program Characteristics needed to Development Task of Security Software in Security Majors of 5 Universities of Seoul Region (서울지역 5개 대학 보안 전공들의 보안소프트웨어의 개발 직무에 필요한 보안 교육 훈련 프로그램 특성)

  • Hong, Jin-K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5
    • /
    • pp.16-22
    • /
    • 2020
  • In this paper, the technology and capabilities required for the job of developing security software recommended by the Cybersecurit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amework of the National Initiative for Cybersecurity Education (NICE) were studied. In this paper, we describe what security skills are needed for the task of developing security software and what security capabilities should be held.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sistency between security technologies (core and specialized technologies) required for security software development tasks and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protection-related departments located in Seoul, Korea. The reason for this analysis is to see how the curriculum at five universities in Seoul is suitable for performing security software development tasks. In conclusion, if the five relevant departments studied are to intensively train developers of development tasks for security software, they are commonly required to train security testing and software debugging, how secure software is developed, risk management, privacy and information assurance.

A Study on the Secur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the Information Security of the Aviation infrastructure (항공기반시설의 정보보호를 위한 보안관리체계 모델에 관한 연구)

  • Jung, Chang-Hwa;Lee, Joon-Taik;Chung, Dong-Keu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6 no.4
    • /
    • pp.87-96
    • /
    • 2011
  • The importance of the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aviation infrastructure cannot be overemphasized. What is especially important on the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it is the assessment that is detaild and systematic. This article presents a framework based on a Hanulcha-type secur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a Information security of the Aviation infrastructure. This system checks, estimates and analyzes the goal of security with effect, especially in case of the security-accident on the aviation infrastructure because this system model gives the integrated security assessment method.

A Study on the Framework of Comparing New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ATE Programs of U.S. (미국 ATE 정책 기반의 신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 비교 프레임워크 연구)

  • Hong, Soonjwa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8 no.1
    • /
    • pp.249-267
    • /
    • 2018
  • The US cybersecurity workforce policy is being pursued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NICE established initiated in 2010. Security Technologies, one of the eight areas of Advanced Technology Education(ATE) of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included in the STEM. This policy has been comprehensively promoted in conjunction with NICE, and this security technology field is operated with five detailed programs. In this paper, we examine in detail five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supported by ATE, and compare them with the current status cultivation of cybersecurity workforce in Korea. After finding ou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by comparis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in Korea, we propose several implementations of nation-wide strategies for cultivating new cybersecurity workforc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