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거버넌스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T Governance Mediated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Capability on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Success (인적자원능력이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IT거버넌스의 매개효과)

  • Lee, Jong-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7
    • /
    • pp.285-29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T governance mediated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capability on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success. The survey method was used for this paper, and data from a total of 108 companies that were listed greater than $10 mill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human resource capability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success but IT governance mediates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capability. Second, preparedness capability and relationship capability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T governance. Th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T governance in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Good Governance and Information Disclosure: Focus on the LAIIS(Local Administrat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굿 거버넌스와 정보공개 - 지방행정종합정보공개시스템을 중심으로 -)

  • Kim, Me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203-220
    • /
    • 2008
  • To be a good government, it ha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citizens to help them understand reality well. Furthermore, the government has to provide an authority to the citizens so that they could access to the information system. The information must be shared equally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s. With sincere effort on the information disclosure and clarity of the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should accomplish good governance. This paper introduces the information disclosure cases to achieve good governance.

A Study on IT Governanc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Korean Government Integrated Data Center (정부통합전산센터의 IT 거버넌스 핵심성공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 Lee, Seok-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2
    • /
    • pp.45-53
    • /
    • 2013
  • The Korean Government Integrated Data Center (GIDC) was established as a comprehensive solution to integrate information systems spread across each government agency in 2005.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d operating the GIDC, various IT governance issues are potential. To implement the effective IT governance in an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confirm some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of each issu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subject in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tried to draw several CSF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panel opinions and provid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good IT governance in the GIDC.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Possibility of Local Governance - Focu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Field - (로컬 거버넌스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도서관서비스를 위한 협력을 중심으로 -)

  • Park, Seong-Woo;Hong, Soram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0 no.1
    • /
    • pp.199-224
    • /
    • 2019
  •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role of libraries in governance. Governance is valid when private actors participate in it. Because it emphasizes the cooperation with actors in diverse sectors for solving complex problems in society. Communities as private actors with publicness help governance actualize direct democracy by participating in governance. Libraries are institutes that foster communities, but in some cases libraries are communities themselves. Therefore, the study reviews literature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govern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and communitie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s, the study conducts the survey to 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and governance.

Building SOA Governance relating with EA Governance (EA 거버넌스를 고려한 SOA 거버넌스의 구축)

  • Choi, Jong-Sup;Kim, Hee-Tae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30-235
    • /
    • 2007
  • 현대의 조직은 급격한 업무 환경의 변화와 극심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기술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다. 업무 체계가 다양하고 복잡해지면서 이들 체계 간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하여 조직의 전략들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업무의 민첩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전사적 아키텍처(EA)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가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들은 일회성 프로젝트로 추진하여서는 섬과를 얻을 수 없으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뭐하여 EA 거버넌스와 SOA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이들 간의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고려하며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를 설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Governance System built on the USN Infrastructure (USN 인프라 기반의 전자거버넌스시스템 구조에 관한 연구)

  • Han, Jae-I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5a
    • /
    • pp.267-272
    • /
    • 2006
  • 일반적으로 거버넌스는 사회가 스스로를 이끌어나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전자거버넌스시스템(electronic governance system)은 이러한 거버넌스 지원을 위한 차세대 전자정부시스템을 의미한다. 전자거버넌스시스템은 주로 정부기관의 기능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전자정부시스템과 달리 능동적인 시민참여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이에 부수되는 정보공유, 보안, 프라이버시, 구성원 사이의 상호 신뢰형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현재 거버넌스 관점에서 행정에 대한 시민참여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 및 실증적 연구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전자거버넌스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중요한 한 축으로써 많은 응용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IT839 전략에 따라 국내 USN 인프라스트럭쳐에 대한 활발한 연구${\cdot}$개발 및 시험사업이 진헹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USN 인프라스트럭쳐를 활용하여 구성원 사이의 신뢰형성을 도울 수 있는 전자거버넌스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논한다.

  • PDF

The Study on Corporate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Model for CEO (최고경영자를 위한 기업 정보보호 거버넌스 모델에 대한 연구)

  • Kim, Do Hyeo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7 no.1
    • /
    • pp.39-44
    • /
    • 2017
  • The existing enterprise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were centered on the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 and the top management considers information security and enterprise management to be separate. However, various kinds of security in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In order to cope with such incidents, it is necessary to protect information in terms of business management, not just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xisting corporate governance and IT governance, and present an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model that can reflect the business goals of the enterprise and the goals of the management. The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nduces the participation of top management from the planning stage and establishes information security goals. We can strengthen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by establishing an information security plan, establishing and operating an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nd reporting the results to top management through compliance audit, vulnerability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IT거버넌스가 기업 성과 좌우한다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87
    • /
    • pp.26-35
    • /
    • 2007
  • 'IT거버넌스'가 국내 IT시장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일부를 제외하곤 국내 대기업에서 이렇다 할 IT거버넌스 구축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것 또한 사실이다. 이는 물론 IT거버넌스의 개념 자체가 워낙 방대해 기업의 전산실무자들이 IT거버넌스를 위한 뚜렷한 로드맵을 내놓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최근에는 ITSM 이슈 외에 계정관리, 시스템리스크관리, DB보안 등 내부 보안에 대한 것도 중요한 IT거버넌스의 범주에 포함되고 있는 상황이다.기업들의 IT투자 비중이 커질수록 그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의 IT에 대한 기대와 의존도가 높아진 만큼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IT 리스크는 단순한 IT만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존망을 결정짓는 심각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IT 리스크 관리'는 중요한 기업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 PDF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Measurement Development for IT Governance (IT 거버넌스의 개념적 정의 및 측정도구 개발)

  • Jeong, Seung-Ryul;Kang, Jae-Hwa;Lee, Bong-Gyou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4D no.2
    • /
    • pp.225-234
    • /
    • 2007
  • Recently, IT Governance has emerged as the new keyword in the IT world. However, the multiple definitions and concepts that exist for this word are causing confusion among observers. Thus,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ual meaning behind the term 'IT Governance' once and for all, this study reviews previous literature and defines the sub construct of IT Governance. Then, we develop the measurement instrument for IT Governance, which results in three domains: IT resource and performance management. IT project management, and IT service management.

A Study on CIO Centered IT Governance for Strategic Management (전략경영을 위한 CIO 중심의 IT 거버넌스 수립 방안 연구)

  • Cho, Sung-Nam;Chung, Taik-Yeong;Ahn, Sung-Soo;Park, Chan-Jin;Kim, Han-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863-866
    • /
    • 2008
  • 최근 많은 조직들이 IT를 경영전략의 핵심적 요소로 인식하고 IT투자를 확대하면서 IT의 효율적 관리와 전략적 활용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CIO 기능 강화와 IT 거버넌스 체제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학계나 산업계에서 IT 거버넌스의 개념이 통일되어 있지 못하고, 구성요소와 체계 및 실행방법 등도 조직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다. 정부출연연 KISTI를 모델로 삼아 KISTI 정보화에 대한 총괄기획, 정책수립, 운영 프로세스 관리, 정보화사업 관리 등 기관정보화에 대한 총괄자로서의 CIO 역할과 IT 거버넌스 체제 구축 방안 연구를 통해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정보화 추진 및 자산 관리 운영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