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밀기계기술

Search Result 75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韓國機械工業의 精密計測技術

  • 김재관
    • Journal of the KSME
    • /
    • v.20 no.3
    • /
    • pp.164-170
    • /
    • 1980
  • 현황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크게 다섯가지로 노정되고 있다. 첫째, 정민계측기기 및 시설의 부족 심화 둘째, 정밀기술에 대한 인식의 부족 및 시책 불재 세째, 정밀계측실의 부족 및 계측환경 유지시설의 미흡 네째, 검비정실시의 부진 및 국가 검교정망의 미비 다섯째, 정밀계측 기술인력의 부족 이상과 같은 점은 오늘날 우리나라 기계공업체 전체가 당면한 기술상의 큰 문 제점들로 되어 있다. 앞의 문제점들이 해결되지 않고서는 기계제품의 고급화는 물론이고 기계 공업발전의 큰지장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기술향상과 발전체제를 확립하고 80년대의 기간공업으로서의 기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경제발전과 수출입국의 주도적 역할을 다 하게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정밀계측기기의 적정량 확보 둘째, 국가 검교정체계 확대 세째, 정밀계층기기공업의 육성 네째, 검교정실시 제 고를 위한 제도의 개선 다섯째, 정밀계측기술요원의 확보 의무화 특히 K.S업체, 품질관리지정 업체 방위산업지정업체 여섯째, 정밀기술도입 및 정책의 실천 일곱째, 정밀중화학공업화 정책의 실천 정밀기술산업은 오늘날같이 자원부족과 석유 위기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가장 유리한 국 가정책적 유망산업이다. 자원을 절약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수출 증진의 고부가가치 주도업종인 정밀기술 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우리나라는 80년대를 정밀기계공업시대로 전환하는 과감한 정책을 실천에 옮기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 PDF

컴퓨터를 이용한 삼차원 측정기 및 공작기계의 정밀도 측정기술

  • 박희재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5
    • /
    • pp.429-440
    • /
    • 1992
  • 공작기계와 측정기기류는 산업현장에서 점점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초기 단순한 기능위주의 기계의 선택, 사용으로부터 고정도, 소형, 경량화, 다기능화의 세계적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측 정기기류와 공작기계에 있어서의 고정밀도 기술은 점점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현재 사용 또는 제작중인 기계의 정밀도를 측정하여 체계적으로 진단, 관리하는 정밀측정기술은 그 중의 핵심기술로서, 전통적으로 선진국의 산업현장에서 내려오는 현장기술이든 측정기술의 중 요성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선진국에서도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최근 컴퓨터의 발달에 힘 입어, 종래의 측정기술들을 적용함에 있어서 측정자체의 온라인화, 측정해석의 정확성이 이루어 지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현장 및 하계에서 정밀측정기술에 대해서 관심을 가진 분들을 위해서 공작기계 및 측정기기의 정밀도를 측정하는 방법 등을 소개하고, 또한 이와 관련하여 포항공대 정밀측정실에서 개발 또는 개발중인 측정방법 등과 측정의 컴퓨터화 등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 하도록 한다.

  • PDF

Robotics

  • Lee, B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 no.2
    • /
    • pp.19-23
    • /
    • 1984
  • 로보트기술에는 크게 나누어 3가지가 있다. 동적기술, 지적기술 그리고 시스템구성기술이 바로 그것이다. 로보트의 동적기술은 기계기술의 연장으로써 정밀기계, 제어기술이 그 중핵이 되고 있다. 로보트의 손가락, 손, 팔 등의 기구와 동적기능은 로보트의 기본적인 것으로써 로보트의 제일의적인 기능이라 할수 있다. 그래서 로보트의 기본적인 기능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은 정밀기계요소가공과 servo 기술이 되는데, 그 중에서도 serve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 로보트가 제 아무리 높은 지능과 우수한 감각을 가지고 있다 해도 소기의 동작이 따르지 않으면 모든 것이 허사이기 때문이다. 이 강좌에서는 이 servo 기술을 먼저 다루어 보기로 한다.

  • PDF

Examples of Performance Estimation on the Feed System of Precision Machine Tools (정밀공작기계용 이송시스템의 성능평가 사례)

  • 박천홍;황주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1 no.8
    • /
    • pp.19-26
    • /
    • 2004
  • 정밀 공작기계에 있어 안내/이송계(이하, 이송시스템)의 중요성은 새삼스럽게 강조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꾸준히 강조되어 왔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광부품,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초정밀 가공기술시장의 급격한 확대에 따라 이들 산업의 제조장비용 핵심기술로서 이송시스템의 역할 및 수요는 훨씬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오히려 요구정밀도 면에서는 공작기계상에서의 요구성능을 초월하여, 이들 산업에서 개발된 기술이 역으로 공작기계에 적용되어야하는 시점으로까지 진전되고 있다.(중략)

우리나라 공작기계공업현황과 과제

  • Lee, Chang-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4 no.4
    • /
    • pp.1-5
    • /
    • 1987
  • 어떤 산업이든 기계공업이 관여되지 않는 분야가 없듯이 공작기게가 관여되지 않는 기계공업은 생각할 수 없다. 이와같이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 라는 점에서 모든 산업분야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공작기계의 품질과 성능은 곧 한나라의 기술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서 대표된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 니다. 오늘날 선진국들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초정밀공작기계까지도 만들고 있다. 크게는 우주개발에 서 항공기, 선박 및 자동차생산을 위시하여 건설장비, 전자 및 광학, 정밀화학, 각종 시험기기 등 공작기계의 손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이렇게 공작기계는 전산업에 걸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산업 화 추세가 점차 자동화, 무인화, 초정밀첨단산업으로 비약함에 따라 공작기계의 역할은 더욱더 중요시되고 있 다. 우리나라 공작기계공업은 1960 년대의 이전 극히 영세한 중소기업중심의 보수공작기계부품 생산형태에서 1960 년대 후반부터 일부 범용기종의 생산이 시작되었으나 보다 본격화한 것은 1973 년 정부의 중화학공업육성 시책에 따라 대기업의 대거 참여로 공작기계제조업은 시설, 자산, 경영면에서 대형화 하였고, 동시에 선진국의 최신기술과 시설을 적기에 도입하므로써 품질향상, 신제품개발, 수출참여 등 공작기계공업 발전에 일대 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85 년에 들어서면서부터 3 저의 여파로 국내 자동차산업의 호황, 전자, 기계 및 관련수요 산업의 설비투자와 시설개체에 힘입어 공작기계생산도 활발하기 시작하여 그 어느때보다 생산기반혁신을 위한 구조적 대응책이 절실해지고 있다. 따라서 공작기계공업의 당면과제는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으로 국산 화율을 제고시켜야 함은 물론, 이를 양산화하여 명실공히 선도산업으로서의 위치를 굳히고, 적어도 기계류의 수입국에서 기계류의 수출국으로 기치를 든 탈바꿈을 할때 비로소 불균형이 없는 흑자시대는 도래할 것이다.

  • PDF

정밀 유도포탄 개발 및 기술 현황

  • Kim, Byeong-Su
    • Journal of the KSME
    • /
    • v.50 no.4
    • /
    • pp.36-41
    • /
    • 2010
  • 이 글에서는 정밀유도포탄의 국내외 개발 현황과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고, 정밀유도포탄을 개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관점에서의 주요 설계 요소와 설계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해야 되는 문제로 초기자세 예측과 바람 예측을 제기하였으며, 칼만필터를 활용하여 각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밀한 결과를 위하여 GPS/INS 통합 알고리즘과 유도명령을 구성하는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미세 체적 성형 기술

  • 나경환;한창수;홍순형;이용신
    • Journal of the KSME
    • /
    • v.42 no.6
    • /
    • pp.48-53
    • /
    • 2002
  • 초소형 정밀 부픔의 효율적 생산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미세 체적 성형 기술에 관하여, 극세선 압출, 미세 복합 성형 기술과 핵심요소 기술인 정밀 위치 결정 기술, 미세 성형 재료 기계적 특성 평가 기술과 이론 해석 기술을 중심으로 국내 연구 현황과 전망을 소개한다.

  • PDF

우리나라 정밀기계공업의 현황과 전망 -공작기계공업을 중심으로-

  • Yun, Y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 no.1
    • /
    • pp.20-22
    • /
    • 1984
  •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 (Mother Machine)" 로서 기계공업 발전을 주도할 뿐만 아니라그발전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작기계공업은 70 년대 이후 정부의 강력한 중화학공업육성정책과 함께, 특히 방위산업과 관련된 전략산업으로 그 육 성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고, 뒤이어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과 같은 기계공업부문의 시설투자가 활발해 짐으로써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그간 업계에서는 선진국과의 기술협력을 확대하고 고급 기술인력을 육성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70 년대 후반에는 NC화 할 수 있게 되어 부분적 으로는 선진국 수준에 도달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의 공작기계공업은 일천한 역사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으나 국내시장이 협소하고 주변 요소기술이 미약하여 아직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기존제품의 생산성향상, 원가절감, 품질 고급화를 기하여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기술개발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치열 해져가는 국제경쟁에 대처해야 할 시점에 있다. 할 시점에 있다.

  • PDF

Machine Tool Technology;The Present And The Future(4) (공작기계기술의 현재와 미래(4))

  • 강철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2 no.7
    • /
    • pp.5-18
    • /
    • 1995
  • 1775년에 Steam Engine의 Cylinder를 제작하기 위하여 Horizontal Boring Machine이 영국의 John Wikinson에 의해서 제작되었다. 그것이 인류가 제작한 금속을 절삭할 수 있는 최초의 공작기계라고 기록되고 있다. 그 때의 공작기계 정밀도는 얼마나 되었을까\ulcorner Tolerance와 Roundness등은 얼마나 되었을까\ulcorner 라는 의문과 현재 실현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정밀도는 얼마나 될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오늘날의 공작기계가 있게 한 그 동안의 과정과 기술의 발전을 더듬어 보아야 할 것이다. 1983 CIRP Meeting에서 Taniguchi교수가 특색있는 Key-Note Paper를 발표하였다. 그가 발표한 내용은 Fig 4-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달할 수 있는 가공정밀도를 보통, 정밀, 초정밀의 세가지로 나누어 1900년과 2000년 사이에 변천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여기서 정밀도라 함은 Dimensional Accuracy로서 Tolerance(Length, Diameter)를 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