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정밀기계공업의 현황과 전망 -공작기계공업을 중심으로-

  • 윤영석 (대우중공업, 한국공작기계공업협회) ;
  • Published : 1984.06.01

Abstract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 (Mother Machine)" 로서 기계공업 발전을 주도할 뿐만 아니라그발전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작기계공업은 70 년대 이후 정부의 강력한 중화학공업육성정책과 함께, 특히 방위산업과 관련된 전략산업으로 그 육 성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고, 뒤이어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과 같은 기계공업부문의 시설투자가 활발해 짐으로써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그간 업계에서는 선진국과의 기술협력을 확대하고 고급 기술인력을 육성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70 년대 후반에는 NC화 할 수 있게 되어 부분적 으로는 선진국 수준에 도달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의 공작기계공업은 일천한 역사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으나 국내시장이 협소하고 주변 요소기술이 미약하여 아직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기존제품의 생산성향상, 원가절감, 품질 고급화를 기하여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기술개발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치열 해져가는 국제경쟁에 대처해야 할 시점에 있다. 할 시점에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