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량적 분석 모델

Search Result 1,24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Case Study on Risk Analysis of Large Construction Projects (대형건설공사의 리스크 분석에 관한 사례적용연구)

  • Kang In-Seok;Kim Chang-Hak;Son Chang-Baek;Park Hong-Ta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 no.2 s.6
    • /
    • pp.98-108
    • /
    • 2001
  •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risk analysis model in order to guarantee successful performance of construction projects. The risk analysis model, called Construction Risk Analysis System(CRAS), is introduced to help contractors Identify project risks through RBS and through the procedures in risk analysis model. The proposed CRAS model consists of three phases. First step, CRAS model can help contractors decide whether or not they bid for a project by analysing risks involved in the project. Second step, the influence diagraming, decision tree and Monte Carlo simulation are used as tools to analyze and evaluate project risks quantitatively. Third step, Monte Carlo simulation is used to assess risk for groups of activities with probabilistic branching and calendars. Consequently, it will help contractors identify risk elements in their projects and quantify the impact of risk on project time and cost.

  • PDF

Applicability of FDS for the Fire Hazard Analysis of the Fire Zone at Nuclear Power Plants (원전 화재방호구역의 화재위험 분석을 위한 FDS 적용성)

  • Jee, Moon-Hak;Lee, Byung-K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4 s.64
    • /
    • pp.13-18
    • /
    • 2006
  • The fire protection regulation for the nuclear power plants is based on the qualitative fire hazard assessment and the quantitative fire risk analysis, and the fire risk is managed by the fire protection plan with the appropriate balance among the fire prevention, fire suppression and the minimization of the fire effect. In these days, the zone model or the field model is generally used for the detail evaluation for the fire risk. At this paper, with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trend, we evaluate whether the quantitative fire risk analysis and the assessment of fire result for fire areas at nuclear power plants can be possible by use of Fire Dynamics Simulator (FDS) that is the state-of-the-art fire modeling tool.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quantitative fire risk evaluation propelled by the fire modeling can be available as an applicable tool to improve the core damage frequency as well as the quantitative fire risk analysis.

A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Method in Valued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s (가중치 워크플로우 소셜 네트워크의 사이중심도 분석방법)

  • Kim, Mee-sun;Kim, Kwang-ho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7 no.1
    • /
    • pp.65-71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nalysis method and its algorithms to perform the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ments on a valued and directed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 The conventional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 model is to represent the existences of task transferring relationships among their performers by using a binary social network.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existences of task transferring relationships but also their quantities and directions in order to obtain much more effective and sophisticated analysis results. In conclusion, this paper newly defines a concept of valued and directed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 and its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method and algorithms. Especially,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and algorithms, we try to apply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to an example workflow model respectively, and compare their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results.

Predicting Movie Evaluation using Deep LSTM (순환 신경망(LSTM) 이용한 영화 평점 예측)

  • Kang, Kyeongpil;Choo, Jaeg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591-594
    • /
    • 2016
  • 소비자의 선호도 및 여론을 정량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비정형 데이터는 언어의 구조 및 모호성 등으로 인해 분석하기 어려운 형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신경망, 특히 그 중에서도 순환 신경망의 한 모델인 Deep LSTM을 이용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어순 및 어감 등의 언어의 구조적 문제에도 효과적인 정략적 모델을 설계하여 학습하고 이를 기존의 인공신경망 모델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Software Reliabilit Growth Models for an Imperfect Debugging with Induced Software Faults (소프트웨어 내에 잠입한 에러에 의한 불완전 디버깅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신뢰도성장모델)

  • Lee, J.K.;Lee, K.H.;Park, K.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8 no.5 s.83
    • /
    • pp.63-72
    • /
    • 2003
  •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어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시험단계나 사용자의 운용단계에 처한 동적 환경상태에서 소프트웨어 고장발생기능 현상을 기술한 소프트웨어 신뢰도성장모델을 많이 제안하고 있다. 대다수의 모델이 발생된 소프트웨어 고장의 발생원인에 대한 완전한 수정을 요구하는 완전 디버깅 환경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개발자가 디버깅 작업을 수행할 때 완전한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여러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경험한 이러한 디버깅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결함을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정 작업시 새로운 결함이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즉, 결함 수정은 불완전 환경에 처한다. 본 논문에서는 결함 수정시 신규 결함의 삽입 가능성을 고려하고 불완전 디버깅 환경에 대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모델을 제안한다. 소프트웨어 동작 환경 하에서 발생된 소프트웨어 고장과 시험 전 소프트웨어 내의 고유 결함에 의한 고장과 동작중에 랜덤하게 삽입된 결함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 등 2종류의 결함을 고려하여 비동차 포아송과정(NHPP)에 의한 소프트웨어 고장발생 현상을 기술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에 유용한 정량적인 척도를 도출하고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 기존의 모델과의 적합성을 비교, 분석한다.

Assessment and Analysis of Fidelity and Diversity for GAN-based Medical Image Generative Model (GAN 기반 의료영상 생성 모델에 대한 품질 및 다양성 평가 및 분석)

  • Jang, Yoojin;Yoo, Jaejun;Hong, Hele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8 no.2
    • /
    • pp.11-19
    • /
    • 2022
  • Recently, various researches on medical image generation have been suggested, and it becomes crucial to accurately evaluate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the generated medical images. For this purpose, the expert's visual turing test, feature distribution visualization, and quantitative evaluation through IS and FID are evaluated. However, there are few methods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medical images in terms of fidelity and diversity. In this paper, images are generated by learning a chest CT dataset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through DCGAN and PGGAN generative models, and the performance of the two generative models are evaluated in terms of fidelity and diversity. The performance is quantitatively evaluated through IS and FID, which are one-dimensional score-based evaluation methods, and Precision and Recall, Improved Precision and Recall, which are two-dimensional score-based evaluation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evaluation method are also analyzed in medical imaging.

A Study on Risk Management Process Improvement for IT Project Based on CMMI (CMMI 기반 IT 프로젝트를 위한 위험관리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 Jang, Jong-Ki;Lee, Song-Hee;Choi,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56-1359
    • /
    • 2011
  • IT 프로젝트는 많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처럼 악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이유는 프로젝트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Risk)이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CMMI-DEV(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for Development, version 1.2)모델을 기반으로 IT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많은 조직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시 실제 CMMI-DEV 모델을 적용하여 IT 프로젝트의 위험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기업에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범위(영역)를 선정하는 것에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단위 프로세스별로 어떠한 방법(How)과 도구 및 관리기법을 사용하여 위험을 정량적으로 관리하고 완화시킬지에 대한 구체화된 노력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CMMI-DEV 모델의 RSKM(Risk Management) 프로세스와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4th Edition)의 위험관리 지식영역(Knowledge Area)을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하여 PDCA(Plan-Do-Check-Action) Cycle의 각 단계별 목적에 맞게 통합(Integration)시켜 IT 프로젝트를 위한 개선된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 프로세스의 개선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지표를 제시하였으며, 개선 프로세스의 적용 전후 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개선효과를 도출하였다.

A Study of Multi-level Business For Increasing User Of Social Network Game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유저 초기 유입을 위한 멀티 레벨 비즈니스 모델 연구)

  • Ji, Seong-woong;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3-44
    • /
    • 2012
  • 스마트 폰이 보편화되면서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유저의 수에 비례하여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기 유저 확보의 점유가 중요하다. 현재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체계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게임 마케팅 비즈니스 모델을 사용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초기 유저 확보를 위해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수익 모델 및 수용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인을 멀티 레벨 비즈니스 모델을 디자인 한 후, 초기 유저 확보를 위한 정량적인 근거를 제안하였다. 소셜 게임 'Rich town'을 분석하여 초기 유저 유입 데이터를 도출한 데이터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 레벨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ve Visual Vision and Cinemagraph Expression (영상미디어의 선택적 시각과 시네마그래프 표현 연구)

  • Yu, Jung-Sun;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5
    • /
    • pp.325-33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ptional cinemagraph ads based on the case through the psychological theory of visual multimedia story qualitative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Cinemagraph analysis would like to present the model. The analysis popular advertising model who starred with the higher profile in 2016 Gmaket of cinemagraph series of ads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media. Analysis, case studies, etc. The analysis appeared around 10 percent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form of moving the form of copper wire. Part of the video cinema than the overall movement of the graph bigger visual flow effects is a dynamic. Moving the direction of the model used copper wires and broadly consistent with the product. Subject & Surrounding and margins are being used within one point or two points. The story of probability model in the short and expressing simple action of the product. Direction of the action, the proportion of multimedia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space story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eriphery and jujebu, stories, such as the probability of four.For consideration the terms.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objective sound model for sonification using brain wave data set (소니피케이션(sonification) 구현을 위한 뇌파 데이타 기반 객관적 사운드 모델 연구)

  • Chun, Sung-Hwan;Joh, In-Jae;Suh, J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795-798
    • /
    • 2016
  • 소니피케이션은 다양한 데이터를 사운드로 변환시키는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뇌파 신호를 사운드로 생성하는 객관적인 워크플로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의 뇌파 소니피케이션은 사운드로의 변환이 인위적이고 임의적으로 진행되어 객관적인 논리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파데이터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파라미터 추출, 사운드 맵핑, 사운드 모델 구축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뇌파데이터의 객관적인 소니피케이션 과정을 구현하였다. 파라미터 추출을 위해 15Hz High pass filtering이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확인되었으며 뇌파 데이터의 최대값 빈도 분석과 음악코드의 비율 분석을 실제로 맵핑시켜 사운드 모델을 구축하여 사운드 생성을 구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뇌파데이터의 소니피케이션 과정에 대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워크플로우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워크플로우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