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량적 기준

Search Result 1,895, Processing Time 0.079 seconds

A Quantitative Quality Evaluation Model of Software Development Artifacts based on CBD (CBD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의 정량적 품질 평가 모델)

  • 김승훈;이길섭;이승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11-513
    • /
    • 2004
  • 정보화 시대로의 진입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품질 프로세스와 품질 관리 기법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ISO/IEC 9126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모델을 연구하고 ISO/IEC 14598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 평가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국방 분야에서는 CBD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CBD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 평가 방법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산출물 검토 방법은 체계적인 절차와 기준이 없으며 더 나아가 정량적인 품질 평가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BD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에 대한 정량적 품질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방 CBD 방법론의 단계별 활동과 활동별 산출물을 살펴보고 품질 평가 대상을 선정하며 대상별 내ㆍ외부 척도를 통해 점검표를 만든다. 그리고 점검표를 통한 점검결과를 분석함으로써 CBD 기반 개발 산출물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 PDF

A Quantitative ERRC Analysis Using Requirements Cost Estimation method (요구사항의 비용산출을 통한 정량적인 ERRC 산출 방안)

  • Eom, Jeong-Yong;Kim, Sang-Su;I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53-57
    • /
    • 2007
  • 경쟁이 없는 블루오션을 개척하기 위하여 블루오션 요구공학 방법론과 세부 접근법인 ERRC Analysis 기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제안된 기법은 정량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하는 분석방식을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고객에게 객관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요구사항의 비용산출을 통한 정량적인 ERRC 분석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요구사항을 구현하는 비용을 산출한 다음, 이를 요구사항별 가중치와 비교하여 요구사항에 대한 ERRC 수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학생증 시스템"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Quantitative Risk Analysis in Railway Tunnels (철도터널 정량적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Kyung-Hoon;Yoo, Yong-Ho;Yoo, Ji-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502-505
    • /
    • 2011
  • 국내 철도터널 방재관련 법규에는 정량적 위험성 분석을 수행하여 주요한 방재시설의 설치 여부 및 규모를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위험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 기준에 대해서는 정해진 것이 없어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터널의 정량적 위험도 평가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철도터널 방재시설의 위험도 감소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량적 위험도 평가사례분석 결과 Risk Index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터널의 경사도로 분석되었으며, 방재설비 중 대피통로와 배연설비가 위험도 저감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low drought index considering the dam operation rule coping with the drought (가뭄대응 댐 운영기준을 고려한 유입량 가뭄지수의 개발 및 적용)

  • Kown, Minsung;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6-56
    • /
    • 2017
  • 홍수와 달리 가뭄은 장기적인 강수량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해로, 불확실성이 큰 장기(계절) 기상예보를 토대로 대비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가뭄의 진행상황을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가뭄지수가 활용되고 있다.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학적 가뭄으로 분류되고,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가뭄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강수량, 유출량, 저수지의 저수량, 지하수, 토양수분 등 다양한 인자들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뭄지수는 평균에 대한 부족한 정도를 지수화해서 나타낸다. 하지만 우리가 가용할 수 없는 많은 양의 강수량 및 유출량(또는 저수지 유입량)이 가뭄지수를 산정하는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짧은 기간 동안 매우 많은 강수 후 가뭄이 지속 되었을 경우, 이를 정상의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가뭄지수를 통해 가뭄에 대처하기 위한 기준을 수립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의 경우 취수량의 대부분을 댐과 하천수에 의존한다. 하천수량이 댐의 방류량에 의한 의존도가 높은 현실에서 우리가 체감하는 가뭄은 댐의 용수확보와 공급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댐은 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계획된 용수공급량과 저수량 부족 시 용수공급을 조절하는 기준이 있다. 따라서 과거 관측된 유입량과 용수공급 계획량, 용수공급 조정 기준을 통해 저수지 운영을 모의하게 되면, 용수공급을 감축하는 시점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적절한 유입량의 상한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가뭄에 대비하는 댐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뭄지수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댐의 용수 공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체감할 수 있는 가뭄전달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시된 유입량 가뭄지수를 기존의 대표적인 가뭄지수와 비교하여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이 부족한 현상을 '물부족'으로 표현하고, 강수량의 부족을 '가뭄'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강수량 부족에 기인한 물부족을 가뭄으로 표현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뭄에 대처해야하는 용수 관리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 체감할 수 있는 가뭄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Color Gamut Analysis of Various Displays based on Human Perception (인간의 시감 특성에 기반 한 Display 색역 분석)

  • 김일도;이상진;신윤철;김문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1827-1830
    • /
    • 2003
  • 본 논문은 인간의 Perception을 기준으로 인간이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Display들의 Color Gamut 체적들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Color Gamut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은 CIE-u'v' 좌표계에서 R, G, B Primaries의 좌표에 해당하는 꼭지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함으로써 표현할 수 있는 Color의 개수를 구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CIE-UCS Chart 자체가 2 Dimension이고, Non-Uniform Color Space이므로 정확하게 구했다고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Uniform Color Space 인 CIE-L/sup */a/sup */b/sup */ 좌표계에서 3 차원 공간에서 Color의 개수를 구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는 Color Gamut의 체적을 인간의 Perception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정량적인 기법에 대해 논하였고, 이를 4종류의 다양한 Display Type들에 적용,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A Review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es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for Floor and Ground Surfaces Safety (BF 인증기준의 바닥 안전성에 관한 정량적 평가지표 검토)

  • Ji, Suk-Won;Baik, Kwon-Hyuk;Choi, So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1.05a
    • /
    • pp.27-28
    • /
    • 2021
  • For Barrier-Free certification, the floor and ground surfaces must be finished with materials that are not slippery, flat, and have low-impact in fallis. However, the BF Certification Act does not provide specific methods to meet these regulations. In performance-based design, the responsibility of proving the performance rests with the building owner and architect, so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es are needed to select suitable materials. Furthermore, changes in performance after completion should be checked periodically in 'As-Is' conditions.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slips, trips and falls risk assessment, causing confusion for user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valuation methods of slips, trips and falls were considered closely, and each quantitative evaluation index that can be used in the new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hase was presented.

  • PDF

CommonAI: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automatic-generation of Commonsense Reasoning sentence suitable for AI (AI에 적합한 일반상식 문장의 자동 생성을 위한 정량적, 정성적 연구)

  • Hyeon Gyu Shin;YoungSook S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53-15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일상 대화의 품질 향상을 위해 상식 추론을 정의하고 설문을 통해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정량적 평가에서는 주어진 문장이 에게 학습시키기에 적합한가'라는 수용성 판단을 요청한 질문에서 40대 이상의 연령이 20, 30대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성적 평가에서는 '보편적 사실 여부'를 AI 발화 기준의 주요한 지표로 보았다. 이어서 '챗봇' 대화의 품질에 대한 설문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일상 대화를 사용한 챗봇의 대화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질문의 요구에 적절한 정보와 공감을 제공해야 하고 두 번째로 공감의 정도가 챗봇의 특성에 맞는 응답이어야 하며 세 번째로 대화의 차례에 따라 담화의 규칙을 지키면서 대화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요건이 통합적으로 적용된 담화 설계를 통해 완전히 인공지능스러운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Evaluation Method of Talk Level on the Speaker Phone (스피커폰 통화 음량의 평가 방법)

  • Yoo, Heun-Seung;Kim, Tae-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759-76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스피커폰의 통화 음량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ITUT P.340과 3GPP TS26.132의 규격을 참고하여 평가 기준을 만들었다. 제안한 평가 기준은 정량적이므로 스피커폰의 품질 수준을 일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게 되었다. 실험에서 본 논문의 평가 방법이 기존의 감성적 방법보다 향상된 통화 성능을 보였다.

  • PDF

Case study of the large switching software metrics and their fault analysis (대형 교환 소프트웨어의 복잡성과 고장분석 사례 연구)

  • 이재기;남상식;김창봉;이규대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7 no.10C
    • /
    • pp.887-901
    • /
    • 2002
  • Software management model divided into the software project model and design estimation model, software matrices model, reliability growth model, process improvement model(or process maturity model) etc. Among these software management models, software complexity model make an estimated of the product software. For a practice of software managed, need to guideline of the static analysis of software. Especially, Software complexity model introduced for the estimation of software quantity and program complexity. In case of measurement the software matrices, its need for us to analysis of software quality and products. On the other hand, we known that complexity program include many defects and consuming of source cost. So, we apply to complexity model using of the program complexity, control structure and volume matrices, interface metrics, process complexity metrics method. In this paper, we represent that the analysis of fault data detected during the system test. Also, we analysis of program control structure and interface, volume matrices in various aspect of switching software. Others, their results utilized similar of project and system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