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규화 입력 데이터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oving Object Tracking Method Using Feature Vector (특징 벡터를 이용한 이동 물체 추적)

  • Kim, Se-Jin;Jeon, Hyung-Suk;Joo, Young-Hoon;Park, Jin-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45_18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특징 벡터를 이용한 강인한 물체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초기 이동 물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고, KLT알고리즘을 입력 영상에 적용시켜 특징 벡터들을 추출한다. 초기 추출된 이동 물체의 움직임 영역에 추출된 특징 벡터를 적용시켜 1차 정규화 한다. 그 후, RGB 칼라모델과 HSI 칼라모델을 이용하여 이동 물체에 대한 Blob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Blob 영역에 대해 1차 특징벡터를 Snake 알고리즘으로 동정하여 2차 정규화 과정을 마무리 한다. 최종 정규화 된 특징 벡터를 Particle filter에 입력 데이터로 이용하여 이동 물체를 추적 한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 그 응용 가능성을 증명한다.

  • PDF

Recognition of Handwritten Numerals Based on the Direction Angle Feature (방향각 특징 기반의 필기 숫자 인식)

  • Lee, Sang-Ho;Kim, Ho-Yon;Lim, Kil-Taek;Nam,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81-384
    • /
    • 2002
  • 특징 추출은 입력 데이터를 인식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변환된 영역의 특징 벡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특징벡터가 갖추어야 할 주요 특성은 손실되는 정보량이 가능한 적어야 된다는 것이다. 또한, 높은 인식률을 얻기 위해서, 동일 클래스에 포함된 특징 벡터의 편차는 적도록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각 누적 특징을 기반으로 개발된 몇 가지 새로운 특징을 필기 숫자 인식에 적용하였다.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입력된 이진 영상의 비선형 정규화, 영상의 크기에 의한 특징 정규화, 영상의 전경 영역에 의한 특징 정규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되었다. 실제 우편물에서 추출된 필기 숫자 데이터베이스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이 필기 숫자 인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다.

  • PDF

Opponent Move Prediction of a Real-time Strategy Game Using a Multi-label Classific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기반 다중 레이블 분류를 이용한 실시간 전략 게임에서의 상대 행동 예측)

  • Shin, Seung-Soo;Cho, Dong-Hee;Kim, Yong-Hy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0
    • /
    • pp.45-51
    • /
    • 2020
  • Recently, many games provide data related to the users' game play, and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that predict opponent move by combining machine learning methods. This study predicts opponent move using match data of a real-time strategy game named ClashRoyale and a multi-label classific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In the initial experiment, binary card properties, binary card coordinates, and normalized time information are input, and card type and card coordinates are predicted using random forest and multi-layer perceptron. Subsequently, experiments were conducted sequentially using the next three data preprocessing methods. First, som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input data were transformed. Next, input data were converted to nested form considering the consecutive card input system. Finally, input data were predicted by dividing into the early and the latter according to the normalized time information. As a result, the best preprocessing step was shown about 2.6% improvement in card type and about 1.8% improvement in card coordinates when nested data divided into the early.

Efficient User Interface on Smartphone Application using ART2 Algorithm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 Kim, Jae-Yong;Woo, Young-Woon;Yoon, Seok-Hyu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21-42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잠금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자신이 원하는 그림과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과의 대응 테이블을 만들기 위하여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순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화면 하단에서 빠른 실행을 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좌측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입력 부분에 그림을 그린 후, 학습 버튼을 클릭한다. 그려진 그림의 배경은 0으로 그림은 1로 변환하고 ART2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정규화한다. 정규화 된 데이터를 팽창 연산을 통하여 학습에 용이하도록 최외각 픽셀을 확장하여 ART2의 입력 데이터로 적용한다. 학습이 끝난 후, 잠금 상태에서 액정 윗부분에 학습된 것과 같은 모양의 그림을 그리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식인 잠금 해제 후,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3 단계로 된 방식을 1 단계로 줄이기 때문에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 PDF

Nonlinear Shape Normalization Algorithms for Gray-Scale Handwritten Hangul Images (명도 한글 글씨 영상에서의 비선형 형태 정규화 알고리즘)

  • Kim, Sang-Yup;Kim, Dae-In;Lee, Seong-Wh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98-104
    • /
    • 1996
  • 일반적으로 비선형 형태 정규화 과정은 필기체 문자에서 발생하는 형태 변형을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현재까지 이진 영상에 대한 비선형 형태 정규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문자 인식 시스템은 스캐너를 통하여 입력된 명도 문자영상을 이진화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진화로 인해 야기되는 물자 영상에 대한 정보 유실 및 잡영 첨가 현상이 비선형 형태 정규화 과정에 누적되어 결과적으로 좋은 특징 추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진화에 의한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필기체 문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 변형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명도 영상에서의 비선형 형태 정규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명도 영상에서의 비선형 형태 정규화 방법들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처리 시간 및 복잡도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명도 한글 글씨 데이터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이진 영상에서의 비선형 형태 정규화 방법에 비해 제안된 방법이 변형이 심한 한글 글씨 데이타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egression Model With High Reliability by Using Neural Networks (신경망을 이용한 고신뢰성의 회귀분석 모델)

  • Jo, Yong-Hy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4
    • /
    • pp.327-33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기울기하강과 동적터널링이 조합된 학습알고리즘의 다층신경망을 이용한 고신회성의 회귀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기울기하강은 빠른 수렴속도의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동적터널링은 국소최적해를 만났을 때 이를 벗어난 새로운 연결가중치를 설정하여 전역최적해로 수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대용량의 입력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독립인 특징들의 집합으로 변환시키는 주요성분분석 기법의 속성을 살려 학습데이터의 차원을 감소시킴으로서 고차원의 학습데이터에 따른 회귀분석 모델의 제약도 동시에 해결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신경망을 3개의 독립변수 패턴을 가진 암모니아 제조공정문제와 10개의 독립변수 패턴을 가진 자동차 연비문제에 각각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기존의 역전과 알고리즘의 신경망이나 주요성분분석에 의한 차원을 감소시키지 않은 학습패턴을 이용한 신경망보다 각각 더욱 우수한 학습성능과 회귀성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패턴의 영평균 정규화로 회귀용 신경망의 성능을 더욱 더 개선하였다.

  • PDF

The Partial Fault Detection of an hir-Conditioning System by the Neural Network Algorithm using Normalized Input Data (정규화 입력을 사용한 신경망 알고리즘에 의한 냉동기의 부분 고장 검출)

  • 한도영;황정욱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5 no.3
    • /
    • pp.159-165
    • /
    • 2003
  • The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technology may be applied in order to decrease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To detect partial faul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a neural network algorithm may be used. In this study, the neural network algorithm using normalized input data by the standard deviation was applied. And the [7$\times$10$\times$10$\times$1] neural network structure was select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neural network algorithm using normalized input data was very effective to detect the condenser fouling and the evaporator fan fault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 and Analysis of Machine Learning for Discriminating Image Copyright (이미지 저작권 판별을 위한 기계학습 적용과 분석)

  • Kim, Sooin;Lee, Sangwoo;Kim, Hakhee;Kim, Wongyum;Hwang, D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899-902
    • /
    • 2021
  • 본 논문은 이미지 저작권 유무 판별을 분류 문제로 정의하고 기계학습과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적용하여 해결한다. 학습을 위해 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로 변환하고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여 학습 데이터셋을 준비한다. 저작권 유무 판별 실험에서 SVM, k-NN, 랜덤포레스트, VGG-Net 모델의 분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VGG-Net C 모델의 결과가 다른 알고리즘과 비교 시 10.65%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배치 정규화 층을 이용하여 과적합 현상을 개선했다.

3D Shape Analysis for the Hippocampus Using ICP Registration and Neural Networks (ICP 정합과 신경망을 이용한 해마의 3차원 형상 분석)

  • Kim, Jeong-Sik;Choi, Soo-Mi;Kim, Yong-Guk;Kim, M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4
    • /
    • pp.27-3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뇌의 하부구조인 해마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형상 정규화 방법과 정상인과 간질 환자의 해마를 분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해마에 대한 형상 분석 과정은 크게 형상 표현을 구축하는 과정, 형상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과정, 정상인 집단과 환자 집단을 분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의 형상 표현으로 메쉬, 골격, 복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옥트리 자료구조를 구축하였다. 또한 Iterative Closest Point (IC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마 골격을 기반으로 한 정규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규화된 해마 형상을 전역적, 국부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된 해마가 정상인 또는 간질 환자에 속하는지를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ICP 기반의 정규화 방법은 3차원 해마 형상을 정확하게 분석하게 해주고, 골격의 정점 수를 조절함으로써 정규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차원 해마 모델의 형상을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시킴으로써 해마의 형상이 변형된 환자 집단과 정상인 집단을 분류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 PDF

Face Recognition Robust to Illumination Change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 류은진;박철현;구탁모;박길흠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465-468
    • /
    • 2000
  • 얼굴 영상은 똑같은 표정의 같은 사람이라도 조명에 따라 매우 다른 얼굴 영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오프라인 훈련(off-line training)과 온라인 인식(on-line recognition)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프라인 훈련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기반으로 한다. 온라인 인식에서는 조명 변화에 대한 보상, 얼굴 특징의 추출, 그리고 인식을 위한 분류 과정의 3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오프라인 훈련에서는 전체 훈련 얼굴 영상 데이터에 PCA를 적용하여 조명 변화가 최대한 제외된 특징 벡터 공간을 생성한다. 실제 인식 단계에서는 첫 번째로 입력 영상으로 들어온 얼굴 영상에서 조명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준동형 필터링(homomorphic filtering) 후 밝기 정규화(normalization)를 취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차원을 줄이고 얼굴 특징 벡터를 구하기 위해 PCA를 수행한다. 마지막 과정으로서 입력 영상의 특징 벡터들과 오프라인에서 미리 구하여진 특징 벡터들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Eigenface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