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촉 판별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Linear Motor Mover Absolute Position Non-Contact Identification System (선형모터 이동자 절대위치 비접촉 판별 시스템)

  • Park, Doil;Lee, Chang Hyeun;Oh, Hyun Jun;Roh, Chung 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72-174
    • /
    • 2020
  • 기존의 절대위치 감지 방식은 초기위치를 알기 위하여 이동자의 위치를 초기화해야 하고 생산 단가가 높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MR 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선형모터 이동자 절대위치를 판별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센서값을 이용하여 절대위치를 판별해야 하기 때문에 ADC 기능과 실시간 연산 기능이 필요하다. 때문에 8bit MCU(Atmega324PA)를 이용했다. 본 논문에서 이용한 MR 센서의 출력 변동폭이 작기 때문에 Instrumentation Amplifier를 이용하여 증폭된 출력을 MCU로 읽어 사용했다. 제안 시스템의 회로 및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이를 이론적, 실험적 분석을 통해 동작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ontact Duration in the Tapping Test of the Composite Structure (복합재료 구조물의 태핑 검사시 접촉시간의 수치 모사)

  • 황준석;김승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2001.05a
    • /
    • pp.215-218
    • /
    • 2001
  • 태핑 검사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구조물의 손상검사 과정을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모사하였다. 타격체에 의한 태핑을 모사하기 위해 동적접촉 알고리듬을 이용한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였다. 손상의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척도로서 타격체와 구조물의 접촉하중의 시간이력을 계산하였다. 손상이 없는 복합재료 평판과 층간 분리 손상이 있는 복합재료 평판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접촉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태핑 검사법의 민감도에 대한 해석도 수행하였다.

  • PDF

절삭가공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법의 적용

  • 김국원;안태길;이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0a
    • /
    • pp.81-81
    • /
    • 2003
  • 최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절삭가공을 해석하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때 가장 문제되는 점이 피삭재에서 칩으로 분리하는 조건이다. 일반적으로 칩 분리 조건이라 일컬어지는 이 조건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칩 분리 판별 조건은 두 가지 유형 - 기하학적, 물리적으로 나눌 수 있다. 기하학적 칩 분리 조건은 공구 끝단과 바로 앞 요소의 거리를 기준으로 정해진 특정한 값에 도달하면 요소가 분리되는 혹은 없어지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며(Fig. 1 참조), 물리적 칩 분리 조건은 요소 내의 소성변형률 혹은 변형률 에너지 밀도함수 등의 값을 기준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element birth/kill 기법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판별조건에 도달하면 공구 끝단 앞의 요소가 사라지는 방법을 취하였다. Fig. 2는 절삭가공을 위한 유한요소 모델링을 나타낸다. 칩-공구 접촉 부위에 접촉요소를 사용하였으며, 피삭재의 왼쪽과 아래쪽 부위는 각각 변위구속을 하였다. 공구의 이동은 변위경계조건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구현하였다. 절삭력을 비교함으로써 해석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피삭재 내의 응력, 변형률 분포 등을 살펴보았다.

  • PDF

A General Tool Surface Contact Search and its Application to 3-D Deep drawing Process (일반적인 금형면에서의 접촉탐색과 3차원 디프드로잉 성형에의 응용)

  • 서의권;심현보
    •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 /
    • v.6 no.5
    • /
    • pp.416-424
    • /
    • 1997
  • In the present study, a contact search and check algorithm for general tool surface described by triangular FE patch is proposed. To improve numerical stability, SEAM element using the linear Coons interpolation has been used. To check the proposed algorithm, both clover cup and L-shape cup deep drawing processes are calculated. The computed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contact algorithm can be successfully applied for sheet metal forming processes with general shaped tools.

  • PDF

Comparison of GPU-Based Numerous Particles Simulation and Experiment (GPU 기반 대량입자 거동 시뮬레이션과 실험비교)

  • Park, Sang Wook;Jun, Chul Woong;Sohn, Jeong Hyun;Lee, Jae Wo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7
    • /
    • pp.751-756
    • /
    • 2014
  • The dynamic behavior of numerous grain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can be easily observed. In this study, this dynamic behavior was analyzed based on the contact between numerous grains. The discrete element method was used for analyzing the dynamic behavior of each particle and the neighboring-cell algorithm was employed for detecting their contact. The Hertzian and tangential sliding friction contact models were used for calculating the contact force acting between the particles. A GPU-based parallel program was developed for conducting the computer simulation and calculating the numerous contacts. The dam break experimen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mulation results. The reliabil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with those of the experiment.

Development of AI Systems for Counting Visitors and Check of Wearing Masks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s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출입자 통계와 마스크 착용 판별 인공지능 시스템)

  • Cho, Won-Young;Park, Sung-Leol;Kim, Hyun-Soo;Yun,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85-286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COVID-19(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은 대면 접촉을 피하게 되었고, 전염성이 높은 이유로 마스크의 착용이 의무화되고 있고, 이를 검사하는 업무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업무를 도와줄 수 있는 출입자 통계와 출입자 마스크 착용 검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출입자 통계와 마스크 착용 판별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실시간 영상인식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YOLO-v3와 YOLO-v4, YOLO-Tiny 알고리즘을 데스크탑 PC와 Nvidia사의 Jetson Nano에 적용하여 알고리즘별 성능 비교를 통해 적합한 방법을 찾고 적용하였다.

  • PDF

Design of Busbar Joint Condition Monitoring System (부스바 접촉부 체결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Jeong, Sung-Hak;Lee, Yo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23-824
    • /
    • 2016
  • In general, distribution board, panel board and motor control center can be installed over a wide area such as residence of group, building, schools, factories, ports, airports, water service and sewerage, substation and heavy industries that are used to supply converts the voltages extra high voltage into optimal voltage. There are electrical accidents due to rise of contact temperature, loose contact of bus bar, deterioration of the contact resistance, overtemperatue of the bus bars. In this paper, we propose bus bar joints monitoring system with loose connection of bus bar, measuring the joint resistance of busbars and monitoring internal and external he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reduced the electrical accidents by maintenance of busbar joint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ductive contact surface of busbars.

  • PDF

Facility Management Smart Door-Lock System for COVID-19 Prevention (COVID-19 예방을 위한 시설 관리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

  • Shin, Seul-Gi;Shin, Seul-Bi;Yoo, K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323-326
    • /
    • 2020
  • 본 논문은 COVID-19 유증상자를 사전에 판별해 유증상자의 시설 출입을 제한하고, 비접촉 인증 방식인 RFID, 얼굴인식을 사용해 시설 내 COVID-19 집단 감염을 예방하는 시설 관리 스마트 도어록을 제안한다. 기존 디지털 도어록 및 스마트 도어록은 가정용으로 개발되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시설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도어록은 아두이노 센서를 통해 시설 사용자의 체온과 산소 포화도 값을 받아 사용자의 COVID-19 증상 유무를 판단한다. 유증상자의 경우 경고음을 울려 시설 출입을 사전에 제한한다. 체온과 산소포화도 측정 후 비접촉 인증 방식인 RFID, 얼굴인식을 통해 시설 출입을 통제한다. 시설 관리자는 RFID, 얼굴인식, 도어록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시설에 출입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시설 관리가 편리해지고,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 빌딩 및 무인 시설에 활용할 수 있다.

Design of Active Magnetic Bearing System (능동 자기 베어링 시스템의 설계)

  • 하영호;김철순;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193-198
    • /
    • 1990
  • 전자기 베어링은 기계적 접촉이 없고 전기적 제어가 가능하여 최근 고속 정 밀 회전기에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 자기베어링을 모형화하고 제어 이득에 따른 계의 안정성 판별 및 응답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두개의 반경방향 베어링과 회전체를 제작하고 아날로그 제어회로를 구성하여 안정되게 회전체를 부상시킬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계의 응답특성 을 구하였다.

  • PDF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6. Development of a Simple Detection Method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6. 간이 검정방법 개발)

  • ;;Fusao Mizutani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3
    • /
    • pp.363-367
    • /
    • 1996
  •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의 이병여부를 조기에 판별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검정방법을 개발코자 시험하였다. 접목시기는 늦어질수록 병징발현율이 감소하였다. 접목방법은 2중절접, 2중삭아절접 순으로 양호하였으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이중절접방법보다 간편한 2중삭아절접 방법이 대량검정에 적합하였다. 이상반점증상의 전염에 필요한 최소 접촉시간은 1일 이상이었고 칼루스가 형성되어 접목부위가 활착된 21일 이후에서 발병이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