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제 파괴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2초

상온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내엔진 오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 Oil Resistant Behaviors of Room Temperature Vulcanizing Silicone Adhesives)

  • 박수진;김범용;김종학;주혁종;김준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3호
    • /
    • pp.196-20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상온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표면 특성, 열안정성, 접착력, 그리고 모폴로지 분석을 통하여 접착제의 내엔진 오일성 평가 및 고장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엔진오일의 침투는 접착제 시편의 표면에서 중앙으로 진행되었으며, 열화시간에 따라 접착제 시편중에 오일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접착제의 Si-O-Si 결합은 점차 분해되었다. TGA 실험결과로부터 열분해는 접착제 시편의 표면과 밑 부분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상온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내엔진 오일 시험 후 접착제 시편의 인장강도, 신율, 접착력 등의 물성이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엔진오일의 흡수와 열화에 의해 초기 접착제 성질을 많이 상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EM 분석을 통하여 접착제 시편의 파괴모드는 열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응집 파괴에서 계면 파괴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모드I의 변형 에너지 해방율과 인장 접착강도에 미치는 접착제 고분자의 유변특성의 영향 (Influence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Adhesive Polymer on Strain Energy Release Rate of Mode I and Adhesive Tensile Strength)

  • H. Mizumachi
    • 유변학
    • /
    • 제8권2호
    • /
    • pp.129-138
    • /
    • 1996
  • 접착강도는 접착제의 점탄성을 반영한 온도·속도 의존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잘 알 려져있다. 특히 유리전이온도(Tg)에서의 역학적 완화기구가 접착층의 변형을 수반하는 접착 층의 변형을 수반하는 접착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접착계의 모드I의 변형에 너지 해방율(GIC)를 측정할때에도 접착제의 변형과 파괴가 발생하기 접착제의 점탄성이 그 값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흥미가 깊다.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에폭시 수지를 블랜 드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정한 측정조건에서 인장 접착강도와 GIC의 상관관계에 대하여서 도 토론하였다.

  • PDF

MDF 섬유(纖維)의 표면(表面) 형태(形態)와 접착제(接着劑)의 분포(分布) 관찰(觀察)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MDF Fiber Surface and Adhesives Distribution in MDF)

  • 김재우;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61-70
    • /
    • 1996
  • 침엽수재(針葉樹材)(Radiata pine, Pinus radiata)MDF와 활엽수재(闊葉樹材)(Rubber wood, Hevea brasiliensis)MDF 각 1종을 대상으로 MDF를 제조하기 전 원료(原料) 섬유(纖維)의 미세(微細) 구조(構造) 및 내부결합력 시험 후 MDF의 파괴면(破壞面)에서 섬유표면(纖維表面)에 접착제(接着劑)가 도포(塗布)된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다. 원료 섬유는 침(針) 활엽수재(闊葉樹材) 모두 fiber twisting 및 shrinkage fold 등이 관찰되었다.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경우는 유연벽공부(有緣壁孔部)에서 유연벽공(有緣壁孔)이 없는 부분에 비하여 shrinkage fold의 발생 빈도가 낮고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가도관(假導管) 중 벽공이 없는 부분에서 관찰되었다. 활엽수재(闊葉樹材) 목섬유(木纖維)는 침엽수재(針葉樹材)와 마찬가지로 shrinkage fold가 관찰되었으나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활엽수(闊葉樹) 섬유(纖維)에서는 벽공의 유무에 따른 shrinkage fold의 차이(差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목섬유(木纖維)가 침엽수(針葉樹) 가도관(假導管)보다 작은 단벽공(單壁孔)을 갖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와 가도관(假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박리(剝離) 부분(部分)에는 융기부(隆起部)가 관찰되었다. 내부결합력 시험후 나타난 파괴면을 통하여 접착제 분포를 관찰한 결과 거의 모든 섬유(纖維)들이 접착제(接着劑)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섬유(纖維)간 접착형태(接着形態)도 매우 다양하였다.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간에 강도(强度)의 차이는 있었지만 파괴(破壞) 형태(形態)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침활엽수(針闊葉樹) 모두 접착층(接着層)이 아닌 섬유(纖維)에서 파괴(破壞)가 발생하였으며 섬유에서 박리(剝離)된, 세포벽(細胞壁)의 일부가 다른 섬유(纖維)의 표면(表面)에 남아있는 형태와 섬유(纖維) 표면(表面)에서 떨어져 나간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구성이 단순한 침엽수(針葉樹) MDF에 비하여 유세포(柔細胞)와 도관(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파편들이 활엽수(闊葉樹) MDF에서는 다양(多樣)하게 분포하였다.

  • PDF

동시경화 강철-복합재료 원형 단일 겹치기 조인트의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Co-cured Steel-Composite Tubular Single Lap Joints)

  • 조덕현;이대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5호
    • /
    • pp.1203-1214
    • /
    • 2000
  • In this paper, a failure model for co-cured steel-composite tubular single lap joints has been proposed incorporating the nonlinear mechanical behavior of steel adherends and different failure mode s such as steel adherend failure and composite adherend fail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cured steel-composite tubular single lap joint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test temperature, the stacking sequence of composite adherend, the thickness ratio of steel adherend to composite adherend, and the scarf ratio of steel adherend. Thus, the optimum design method for the co-cured steel-composite tubular single lap joint was suggested.

복합재료-탄소강 접착제 결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을 위한 이종 재료 접합 계면의 파괴 역학적 분석 (Fracture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Bi-material Interface for the Prediction of Load Bearing Capacity of Composite-Steel Bonded Joints)

  • 김원석;신금철;이정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5-22
    • /
    • 2006
  • 구조물 설계에 복합재료-금속 접착제 결합 조인트의 개발 및 사용을 제한하는 가장 큰 요인은 접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을 위한 접착 계면의 강도 평가 방법의 부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탄소강의 접착 강도를 계면 모서리에서의 응력강도계수와 파괴 인성 값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시 경화 성형법으로 제작된 복합재료-탄소강 양면 겹치기 접착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을 파괴 역학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이종재료 계면 모서리 첨단의 응력 특이성과 그 지수를 제시하고 최종적으로 응력강도계수와 실험을 통한 계면의 파괴인성 값을 획득하였다. 서로 다른 접합 길이를 갖는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비교를 통하여 양면 겹치기 접착 조인트의 파괴 인성치와 혼합 모드에서의 균열 진전 기준을 $K_1-K_{11}$ 평면 내에 도시하였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계면과 기계적 물성 및 돌침대용 석재/목재간 접착제에 따른 접착력 평가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ifferent Heat Treated Wood and Evaluation of Bonding Property between Stone and Wood for Rock Bed)

  • 권동준;신평수;최진영;문선옥;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69-75
    • /
    • 2015
  • 돌침대에 사용되는 석재의 무게를 줄여 경량화를 추구하려면 석재의 두께를 줄이고 보강재료로 석재의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돌침대용 석재/목재 보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돌침대에 삽입될 돌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석재와 목재를 접합하였다. 목재의 강도 향상과 표면개질을 위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대기 조건에서 열처리한 목재의 경우 고온의 온도에 따라 목재의 강성이 높아졌다. 열처리 최적조건은 표면에너지와 인장, 굴곡 강도변화 경향을 바탕으로 $100^{\circ}C$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석재와 목재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의 접착제 조성을 연구하였다. 아민계 에폭시 접착제, 폴리우레탄(PU)계 접착제, 염화고무계(CR) 접착제 마지막으로 염화비닐초산계 접착제에 따른 석재와 목재간 랩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 실험 후 파단면을 관찰해볼 때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할 때 목재 기지의 인열 파괴가 발생되었다. 접착면에서의 전단력이 목재 자체의 파괴 강도보다 높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접착제 조건이 에폭시계 접착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산재와 요소수지접착제로 제조된 Com-Ply의 평가 (Evaluation of Com-Ply from Domestic Logs and Urea-Formaldehyde Resin Adhesive)

  • 오용성;김종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54-57
    • /
    • 2007
  • 요소수지접착제를 합판제조용 접착제와 유사하게 실험실에서 합성하고, 합성한 요소수지접착제를 증량제, 충전제, 산경화촉매제와 혼합하였다. 요소수지접착제 혼합물의 고형분량은 56.1%이고, 물은 43.9%였다. 국산재와 요소수지접착제 혼합물로 5종류의 Com-Ply를 제조하고, KS F 3101 보통합판의 인장 전단 접착력 시험 및 KS F 3104 파티클보드의 휨파괴계수 시험을 수행했다. 성능 평가된 결과는 제조된 5종류의 Com-Ply에서 모두 적합한 결과를 보여줬다. 이런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요소수지접착제 혼합물이 국산재 Com-Ply제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점탄성접착결합의 감쇠 및 전단분포 (Damping and Shear Distribution in Adhesive Bonded Lap Joint with Viscoelastic Adhesive)

  • ;홍창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05-112
    • /
    • 1980
  • 정현적 응력을 받고 있는 정탄성 결합부의 에너지 손실을 여러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구하였다. 탄성접착결합부의 해를 구하고 탄성해의 전단계수를 복소전단계수로 대치하여 점탄성 접착결 합부의 전단변형분포를 구하였다. 주어진 접착제의 최대강쇠현상은 접착제의 강성과 피접착물의 비를 증가 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구조적 결합부에서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피접착부와의 강성비를 결정함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압연강판 접착제 접합부의 환경 접합강도에 미치는 온도 및 침수시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Immersion Time on the Environmental Adhesive Strength of Adhesively Bonded Joints of Rolled Steel Sheet)

  • 송준희;이희제;임재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12호
    • /
    • pp.2662-2669
    • /
    • 2002
  • Recently structural applications of adhesive bonding method have been increased extensively in automobile industry. Adhesively-bonded joints which are used in automobile field are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is stud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ncerned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the adhesive strength such as air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exposed time in water. The specimens are exposed for 1, 10 and 100 hours at various air temperatur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ir and water temperature on the adhesive strength. It is proved that the adhesive strength decrease with rising the air and water temperature, and the adhesive strength decrease steeply at the higher temperature with increasing the exposure time in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