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제

검색결과 1,264건 처리시간 0.12초

복합적 환경인자의 영향에 의한 접착제의 접착전단강도 및 화학구조 변화 (Effect of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on Adhesive Shear Strengths and Chemical Structures of Adhesives)

  • 황영은;윤성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도무기의 탐색기에 적용되는 지존 접착제의 대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환경인자의 노출시간에 따른 기존 접착제와 대제 접착제의 접착전단장도들을 평가하고 이들의 화학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때 접착제는 기존 접착제와 대체 접착제에 대해 각각 구조용 접착제와 실링용 접착제의 두 종류를 고려하였다. 이들 접착제는 온도, 수분, 자외선 등의 복합적인 환경인자에 최대 1000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환경인자의 노출시간에 따른 접착제의 접착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접착전단시험을 수행하고 화학구조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ATR 적외선 분광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체 접착제의 접착전단강도는 기존 접착제의 경우에 비해 높으며 환경인자의 노출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나타나 대체 접착제는 기존 접착제의 대체용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RTFL 접착제를 이용한 SBR과 폴리에스테르의 접착 연구 (The Adhesion Study of SBR and Polyester Using RTFL Adhesive)

  • 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9권5호
    • /
    • pp.419-425
    • /
    • 1994
  • 폴리에스테르와 SBR 1502 고무의 접착을 위해 RTFL(resorcinol-tannin-formaldehyde-latex)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T-peel geometry를 이용하여 접착력을 평가한 결과 접착제 조성에서 레소시놀과 탄닌이 4대 6의 중량비로 합성된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뛰어난 접착력을 보였다. 폴리에스테르 표면의 소수성과 활성기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SBR 고무와 높은 접착력을 보인 이유는 RTFL 접착제 자체의 일정 조성에서 나타나는 toughness 때문이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와 고무 접착을 위한 single dip 시스템인 N-3형 접착제와 RTFL 접착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와 SBR 고무를 접착시킨 후 $-20^{\circ}C{\sim}100^{\circ}C$의 온도 범위와 $0.2cm/min{\sim}50cm/min$의 박리속도 조건아래서 박리 실험하여 얻은 mastercurve들을 비교한 결과 전 범위에서 RTFL 접착제는 기존의 N-3형 접착제와 거의 필적할만한 접착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구조용 접착제의 열화 특성 연구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Adhesives)

  • 황영은;오진오;윤성호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3-4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접착제를 대체용 접착제로 대체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용 접착제에 대해 일련의 열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조용 접착제는 온도, 수분, 자외선 등의 자연환경 조건을 모사할 수 있는 가속노화시험기를 통해 복합적인 환경인자에서 1000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구조용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은 하중 시험기를 통해, 화학적 특성은 적외선 분광 분석 장치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체용 접착제가 환경인자에 노출될 경우 기존의 접착제에 비해 안정적이기 때문에 기존의 접착제는 대체용 접착제로 대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중이수술에 인체에서 추출한 Fibrin 접착제의 이용 : Ammonium Sulfate fibrin 접착제와 Tisseel$^{(R)}$의 비교 (Use Biologic Fibrin Adhesive in Otologic Surgery : Compared with Ammonium Sulfate Fibrin Adhesive and Tisseel$^{(R)}$)

  • 이형철;양미경;박문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27-135
    • /
    • 1991
  • 성공적인 종이수술을 위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접착제가 필요하며, 합성 접착제의 독성작용 때문에 인체에서 추출한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었다. Fibrin 접착제가 저장 혈액에서 체취되면 감염성 질환의 전염 위험성이 있지만 자가 fibrin 접착제를 사용하면 전염위험성이 없다. 저자들은 ammonium sulfate fibrin 접착제와 상품화된 fibrin 접착제의 접착력을 비교한 결과 ammonium sulfate fibrin 접착제의 접착력이 상품화된 fibrin 접착제의 반 정도의 접착력을 가지지만 그 정도의 접착력이면 고막재생술, 안면신경 봉합술, 이소골 재건술, 외이도 후벽재건술, 뼈가루를 이용한 전두동 및 유양동폐쇄술 등 이비인후과 수술에 사용하기엔 충분한 접착력이다.

  • PDF

FRP선체 복합재료와 구조용 접착제의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P Composites and Structural Adhesives)

  • 최한규
    • 선박안전
    • /
    • 통권26호
    • /
    • pp.4-23
    • /
    • 2009
  • 선체용 복합재료 및 구조용 접착제와 신공법인 진공 성형법으로 건조한 레저선박에 강화플라스틱 구조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따라서 복합재료, 수지, 접착제 및 진공 성형법 등 현장조사를 토대로 복합소재 및 접착제를 이용한 시험편을 제작하여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구조용 접착제에 대한 신뢰성 평가 및 국내외 기준 비교 검토를 통한 국내 실정에 적합한 검사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유채박을 이용한 단판적층재용 접착제의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of Adhesive Resins Formulated with Rapeseed Flour Hydrolyzates for Laminated Veneer Lumber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 양인;한규성;최인규;김용현;안세희;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21-229
    • /
    • 2011
  • 목질계 판상재료 생산을 위하여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는 원유의 가격 상승과 포름알데히드 방산과 같은 문제로 인해 대체 접착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바이오 디젤 부산물인 유채박의 효소 가수분해를 통해 접착제를 조제하고, 이 접착제를 단판적층재 제조에 적용한 후 물리 및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여 유채박의 단판적층재 제조용 접착제 제조를 위한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유채박 접착제 조제를 위하여 유채박을 4가지 효소의 조합을 통해 개량한 다음, phenol formaldehyde (PF) prepolymer와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단판적층재 제조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단판적층재의 평균함수율과 내수성은 모두 KS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채박 접착제의 열분석에서 pectinase 가수분해물로 조제한 접착제를 제외하고 페놀수지 접착제와 열경화 특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판적층재의 휨강도는 페놀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단판적층재보다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 석유화학계 접착제의 대체 접착제로써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추후 접착성능의 향상을 위해 적절한 유채박의 효소가수분해 조건에 대한 연구와 도포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온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내엔진 오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 Oil Resistant Behaviors of Room Temperature Vulcanizing Silicone Adhesives)

  • 박수진;김범용;김종학;주혁종;김준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3호
    • /
    • pp.196-20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상온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표면 특성, 열안정성, 접착력, 그리고 모폴로지 분석을 통하여 접착제의 내엔진 오일성 평가 및 고장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엔진오일의 침투는 접착제 시편의 표면에서 중앙으로 진행되었으며, 열화시간에 따라 접착제 시편중에 오일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접착제의 Si-O-Si 결합은 점차 분해되었다. TGA 실험결과로부터 열분해는 접착제 시편의 표면과 밑 부분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상온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내엔진 오일 시험 후 접착제 시편의 인장강도, 신율, 접착력 등의 물성이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엔진오일의 흡수와 열화에 의해 초기 접착제 성질을 많이 상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EM 분석을 통하여 접착제 시편의 파괴모드는 열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응집 파괴에서 계면 파괴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모드I의 변형 에너지 해방율과 인장 접착강도에 미치는 접착제 고분자의 유변특성의 영향 (Influence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Adhesive Polymer on Strain Energy Release Rate of Mode I and Adhesive Tensile Strength)

  • H. Mizumachi
    • 유변학
    • /
    • 제8권2호
    • /
    • pp.129-138
    • /
    • 1996
  • 접착강도는 접착제의 점탄성을 반영한 온도·속도 의존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잘 알 려져있다. 특히 유리전이온도(Tg)에서의 역학적 완화기구가 접착층의 변형을 수반하는 접착 층의 변형을 수반하는 접착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접착계의 모드I의 변형에 너지 해방율(GIC)를 측정할때에도 접착제의 변형과 파괴가 발생하기 접착제의 점탄성이 그 값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흥미가 깊다.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에폭시 수지를 블랜 드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정한 측정조건에서 인장 접착강도와 GIC의 상관관계에 대하여서 도 토론하였다.

  • PDF

극저온에서 우레탄과 에폭시 접착제로 접착된 트리플엑스의 전단강도과 박리 강도 평가 (Evaluations of lap shear and peel strength for epoxy and polyurethane adhesive bonded Triplex sheets at cryogenic temperatures)

  • 손민영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39-45
    • /
    • 2011
  • 접착제에 의한 접합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접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에폭시 접착제는 현재 극저온에서 운항되고 있는 LNG 선박의 화물창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물창용 소재인 트리플엑스와 폴리우레탄 및 에폭시 접착제와의 상온과 극저온에서의 접착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접착시스템에서 극저온에서 박리강도의 감소가 있었으며 그 원인은 접착제마다 다르게 검토되었다. 결과적으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트리플엑스가 극저온에서의 강도 값이 에폭시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LNG 선과 같은 극저온 환경에 접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채박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중밀도섬유판(MDF) 제조용 접착제의 개발 (Development of Adhesive Resins Formulated with Rapeseed Flour Hydrolyzates for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 양인;한규성;최인규;김용현;안세희;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77-185
    • /
    • 2012
  • 목질 판상재료 생산을 위하여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를 대체하여 재생가능한 원료로부터 대체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디젤 부산물인 유채박을 산 및 알칼리 가수분해를 통해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 접착제를 중밀도섬유판(MDF) 제조에 적용한 후 물성과 강도 특성을 조사하여 유채박의 중밀도 섬유판 제조용 접착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유채박 접착제 조제를 위하여 유채박을 산과 알칼리 가수분해를 통해 개량한 다음, phenol formaldehyde (PF) prepolymer 와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중밀도 섬유판 제조용 접착제로 사용하였다. 제조된 중밀도 섬유판의 평균 함수율과 밀도는 모두 KS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수 두께 팽창률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중밀도 섬유판의 휨강도는 요소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중밀도 섬유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박리강도는 일부 조건에서 요소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중밀도 섬유판보다 높게 나타나 석유화학계 접착제의 대체 접착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접착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화되는 중밀도 섬유판의 제조공정의 변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