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성 수복재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과 상아질 간의 접착성 레진 시멘트의 결합강도에 대한 임시 수복재와 임시 충전재의 영향 (Effect of Provisional Restorative and Filling Materials on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in Cement between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and Dentin)

  • 오상천;심헌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59-365
    • /
    • 2013
  • 본 연구는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과 상아질 간의 결합력에 대한 임시 수복재와 임시 충전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60개의 발치된 치아를 자가중합형 레진에 포매한 후 교합1/3 부위를 절단하였고, 무작위로 15개씩 4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런 후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을 다음과 같이 그룹으로 나누어 상아질에 접착시켰다: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그룹(그룹A), ALIKETM (GC America Inc.)를 적용한 그룹(그룹 B), Luxatemp$^{(R)}$ Automix plus (DMG, Germany)를 적용한 그룹(그룹 C), Fermit$^{(R)}$ (Ivoclar Vivadent, Leichtenstein)를 적용한 그룹(그룹 D). 모든 시편들을 24시간 증류수에 담가 보관한 후,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만능시험기(Zwick 1456 41, Zwick, Germany) 상에서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그룹 간에 결합력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파절양상은 대부분 시편에서 접착성(adhesive)과 응집성(cohesive)이 복합적으로 보이는 혼합형(mixed type)을 보였다. 본 실험의 제한된 조건 하에서는 임상에서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을 상아질에 접착시, 임시 수복재나 임시 충전재의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클로르헥시딘이 접착성 수복재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TORATION)

  • 염혜웅;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37
    • /
    • 2002
  • 치아 수복 후 나타날 수 있는 술 후 동통과 치수 병변의 주원인은 수복재 자체의 독성보다는 박테리아의 침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와동내 항균제 처리는 잔존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제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상아질면이나 상아 세관에 잔유물을 남겨 상아질 결합제와 치질간의 긴밀한 결합을 방해하여, 미세누출을 증가시키고, 결합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클로르헥시던 도포가 접착성 수복물과 치질과의 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전한 소의 전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와동을 형성한 후, 클로르헥시딘을 도포하고 복합레진, 컴포머 그리고 글라스아이오노머를 각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각각 충전하고, 1000회 열순환 처리 후 전단 결합 강도와 미세누출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상아질 전단 결합 강도와 수복재 변연 미세누출 양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상아질 위치에 따른 접착성 수복재의 미세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resin-based adhesives to dentin)

  • 홍현경;최경규;박상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4호
    • /
    • pp.314-325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종 상아질 접착 시스템과 복합 레진 및 resin-modified glass ionomer를 상아질 표면에 접착하여 재료 및 상아질내 위치에 따른 미세전단결합강도를 측정, 비교하는 것이다. 상아질 접착 시스템으로는, 3-step인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2-step인 Single Bond와 자가 부식형 시스템인 Clearfil SE Bond를, 1-step인 Prompt L-Pop을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hybrid type의 복합 레진인 Clearfil AP-X와 2250을 사용하였으며 resin-modified glass ionomer로는 Fuji II LC를 사용하였다. 상악 소구치를 치아의 근원심 중앙부를 절단하여 상아질면을 노출시켰다. 5개 실험군으로 분류하고 상아질면을 위치에 따라 치관부의 occlusal $\frac{1}{3}$, middle $\frac{1}{3}$, cervical $\frac{1}{3}$과 치근부로 구분지어 시편을 부착하였다. 미세전단결합강도측정는 Universal testing machine(EZ-test; Shimadzu, Japan)에서 측정하였다. Occlusal 1/3부위에서는 SE가 가장 높은 값을, SM과 SB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PL, GI순으로, Middle 1/3부위에서는 $SM{\;}{\geq}{\;}SE{\;}{\geq}{\;}SB{\;}{\geq}{\;}PL{\;}{\geq}{\;}GI$순으로, cervical 1/3부위에서는 SM, SE, SB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Root dentin에서는 SM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SE, PL, GI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SE만이 치관부 상아질에 비해 치근부에서 유의할만한 결합강도의 감소를 나타냈다(p<0.05). GI는 치관부 상아질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치근부에서는 SE, PL과 유의차가 없었다.

부하순환 하에서 제V급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변연누출에 대한 재접착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REBONDING IN MICROLEAKAGE OF CLASS V RESTORATIONS UNDER LOAD CYCLING)

  • 윤연희;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27-533
    • /
    • 2004
  • 저점도의 레진을 복합레진 수복물 위에 도포하는 것은 미세누출방지와 변연 완전성(integrity) 유지를 위한 한 방법이다. 하지만 장기간 관찰하면, 수복물은 저작압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저점도의 레진으로 수복물 변연부를 재접착(rebonding)하였을 때 저작압에 의한 응력에 견디면서 계속하여 수복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하순환(load cycling) 하에서 제V급 수복물의 미세변연누출에 대한 재접착제(rebonding agent)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40개의 건전한 소구치의 협면에 제V급 와동을 형성하고 제조사의 지시대로 광중합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0개씩 무작위로 나누어 표면전색을 하지 않는 I군과 표면을 산부식 후 재접착한 II군으로 설정하였다. 열순환 후 각 군에서 10개씩의 하위군(A군=No load cycling군, B군=Load cycling군)으로 나누어 이중 B군의 시편에 1 Hz의 속도로 수직력이 4-100N까지 100,000회의 부하순환을 가하였다.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 변연의 미세누출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변연에서는 재접착과 무관하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IA-IIA군, IB-IIB군)(p>0.05). 2. 치은변연의 경우는 부하순환을 하지 않은 군의 경우 재접착을 한 군(IIA군)이 재접착을 하지 않은 군(IA군)에 비해 더 적은 미세누출결과를 보였다(p<0.05). 3. 치은 변연에서 부하순환을 시행한 군의 경우에는 재접착을 한 군(IIB군)과 재접착을 하지 않은 군(IB군)과 유의차가 없는 비슷한 미세누출의 결과를 보였다(p>0.05).

  • PDF

음향방출법을 이용한 치아/복합레진 수복재의 계면부 파괴해석 (Interfacial fracture analysis of human tooth/composite resin restoration using acoustic emission)

  • 구자욱;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45-51
    • /
    • 2009
  • 치아의 와동에 수복된 치과용 복합레진을 광(LED) 조사를 통해 경화 수축시키면서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법을 이용하여 와동 벽면과 복합레진 사이의 계면상태를 실시간 해석하였다.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에 의해 AE 신호들이 검출되었는데 계면 접착 상태가 나쁜 경우, 경화 수축률이 큰 초기 1분 동안 많은 AE 사상들이 관측되었으며, 이들 AE는 주파수범위가 주로 100-200kHz인 돌발형이었다. 인간치아 재질의 시편에서 발생된 AE 사상수는 스테인리스 스틸 시편보다 적었으나, PMMA 시편보다는 많았고 접착제의 도포 상태가 양호할수록 검출되는 AE 사상수는 적었다. AE 파라미터의 특성은 복합레진과 링재 사이의 접착부에서 발생하는 인장형 균열전파 및 복합레진의 수축에 따른 링재의 압축거동과 관련되었으며, 음향방출법이 치아 수복물의 접착성에 대한 비파괴 검사법으로써 유효함을 알았다.

수종 접착성 수복재의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상대적 접착력의 비교연구 (A STUDY ON THE RELATIVE SHEAR BOND STRENGTHS OF SOME ADHESIVE RESTORATIVE MATERIALS TO PRIMARY ENAMEL AND DENTIN)

  • 김승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7-245
    • /
    • 2000
  • 최근의 심미적 수복재료는 단순히 글래스아이오노머나 레진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두 가지 전통적 재료 사이의 광범위한 한 범주 내에 위치한다. 유치 수복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 임상가는 각각의 상황에 적합한 몇 가지 항목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들 중 한가지가 결합력이다. 이 연구는 특별히 상아질과 법랑질과의 상대적 인장강도를 재료별로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resin-modified glass ionomer로 Fuji II LC-I와 Vitremer를, compomer로는 Dyract AP, Compoglass F 2000등이 사용되었다. 140개의 발거된 유치를 실험대상으로 각 재료의 시편을 평활하게 연마된 법랑질과 상아질 표면에 제조회사의 지시대로 부착한 후 상아질과 법랑질에 대한 상대적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편은 실패유형 평가를 위해 주의깊게 검사되었다. 실험결과는 one-way ANOVA& Sheffe's test와 student t-test(p=0.05)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법랑질에 대해서는 Z100과 Fuji II LC-I에서, 상아질에 대해서는 Z100과 Dyract AP에서 가장 높은 결합력이 나타났으며 다른 재료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P>0.05). 2. 각 재료내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상대적 결합력을 비교평가한 결과, Dyract AP와 Vitremer를 제외한 모든 재료에서 법랑질에서 보다 높은 결합력이 관찰되었으며, Dyract AP에서는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이 법랑질에 대해서보다 높게 관찰되었다(P<0.05). 3. 각 재료들의 결합실패가 일어난 파절단면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대부분 cohesive failure를 보였고, 파절면은 치면과 매우 근접해 있었다. 일부 화학중합형 glass ionomer cement와 Vitremer에서 adhesive failure가 관찰되었다.

  • PDF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의 상아질 접착제를 투과하는 불소 유리 평가 (Assessment of Fluoride Release through Dentin Adhesive in the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and Giomer)

  • 김해니;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7-3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에서 방출되는 불소가 상아질 접착층을 투과하는 유리되는 양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이었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 및 불소 미함유 복합레진의 시편을 각 재료 당 20개씩 제작하여 그 중 10개의 시편에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만들어진 시편을 2.0 mL의 탈이온수가 들어있는 폴리에틸렌튜브에 넣고 37.0℃ 항온수조에 연구 기간동안 보관하였다. 보관 후 1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째에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으며 매 측정 후 탈이온수를 교체하였다. 상아질 접착제층 두께의 적절성은 시편을 추가로 제작하여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자이오머에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 접착제가 불소의 유리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았지만, 유리된 불소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8일간 측정한 알카자이트 수복재의 불소 유리량은 상아질 접착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자이오머보다 크게 나타났다.

Stainless steel crown을 위한 수종 시멘트의 접착력 비교 (A COMPARISON OF THE BOND STRENGTHS BETWEEN SOME CEMENTS AND STAINLESS STEEL MATERIAL)

  • 김홍렬;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28-537
    • /
    • 1999
  • Stainless steel crown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수복방법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선학들의 연구에 의하면, stainless steel crown의 장착에 있어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8배 이상의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 시술에 있어서 시멘트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tainless steel crown의 접착을 위하여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인산아연 시멘트,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접착력을 비교분석 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인산아연 시멘트로 FLECK'S,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로는 HY-Bond,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는 Vitremer, stainless steel로는 Sun-Platinum plate를 사용하였다. Bovine teeth,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II LC), 아말감(Valiant)상에 3종의 시멘트로 형성된 기둥을 세워 양자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고, 한편으로는 stainless steel plate 상에 3종의 시멘트 기둥을 세워 또한 양자간의 인장접착 강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ANOVA와 Student t-test로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tainless steel crown에 대해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가 인산아연 시멘트보다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2. Bovine teeth와 수복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에 대해서는, 접착용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가장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인산아연 시멘트의 순이었다. 3. 아말감 수복재에 대해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인산아연 시멘트보다 높은 인장결합강도를 보였고,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아말감과 복합레진의 수복 과정과 수복 후 발생하는 상아세관액 흐름의 실시간 측정 (REAL-TIME MEASUREMENT OF DENTINAL TUBULAR FLUID FLOW DURING AND AFTER AMALGAM AND COMPOSITE RESTORATIONS)

  • 김선영;조병훈;백승호;임범순;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467-47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말감과 복합레진의 수복 과정과 수복 후 상아세관액의 흐름(dentinal fluid flow, DFF)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치근을 절제한 제 3 대구치를 자체 제작한 미세 유체 흐름 측정장치에 연결한 후 1급 와동을 형성하여 아말감과 복합레진 수복을 시행하였다. DFF의 측정은 와동 형성부터 수복 후 30분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수복 후 3, 7일에 재 측정하였다. 주수 하에 와동 형성 시 DFF는 inward로, 끝난 후에는 outward로 바뀌었다. 아말감 충전 시 DFF는 inward로 바뀌었고 충전 완료 후 미약한 outward DFF를 보였다. 복합레진 수복의 경우, 산 처리 후 수세와 건조 시 각각 inward와 outward DFF를 보였고 primer도포 후 공기 분사는 급격한 outward, 소수성 본딩제를 적용하는 단계에서는 outward 였던 DFF가 감소하여 0에 가까워지거나 약간 inward 흐름을 보였다.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광중합은 급격한 inward의 DFF를 일으켰다. 수복 후 30분, 3일, 7일째 수복 재료에 따른 DFF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Micro-CT를 이용한 발거된 유구치의 기성금속관 평가 (Micro-CT Evaluation of Stainless Steel Crowns on Extracted Primary Molars)

  • 정보람;신종현;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3-61
    • /
    • 2015
  • 소아치과 임상에서 기성금속관 수복은 매우 높은 활용성과 사용빈도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고 정밀한 수복이 쉽지 않은 항목으로 판단된다. 불량한 변연 적합, 변연부 치태 침착, 인접 영구치의 맹출 장애, 접착제 소실 및 이차 우식, 부적절한 지대치 삭제, 교합면 천공 등이 임상적으로 흔히 관찰되는 문제점들이다. 본 연구는 기성금속관이 장착된 상태로 발치된 유구치를 대상으로 수복 상태를 평가해 봄으로써, 빈번한 결함과 착오들을 찾아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서 발치된 기성금속관 수복 유구치 97개를 대상으로 육안적 평가와 micro-computed tomography(micro-CT) 영상을 분석하였다. 변연 적합도, 접착제 소실, 이차우식, 교모성 천공, 변연부 연마 결함, 선반(ledge) 형성 등의 항목으로 수복상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항목들을 대상치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접착제 소실이 가장 빈번하였으며(98%), 뒤를 이어 이차우식(42.3%), 변연부 연마 결함(41.2%), 선반(ledge) 형성(29.9%), 교모성 천공(17.5%)의 순으로 나타났다. 변연 간격이 클수록 접착제 소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접착재 소실은 변연 간격 및 이차 우식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평균 변연간격은 $0.31{\pm}0.26mm$ 였으며, 상악 제2 유구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변연이 백악법랑경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변연이 치관 상방에 위치할수록 변연 간격은 작게 나타났다(p < 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