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공정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5초

Amine계 첨가제에 의한 신발 겉창용 고무부품의 접착특성 연구 (A Study on Adhesion Properties of Rubber Parts for Shoe Outsole by Amine-based Additive)

  • 전준하;엄기용;박상민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신발에 사용되는 부품 중 겉창용 고무 접착에 있어서 buffing, 프라이머 처리와 같은 전처리 공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propanamine과 1,6-Hexanediamine와 같은 아민류의 첨가제가 적용된 고무 성형물에 대한 접착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Propanamine과 1,6-Hexanediamine이 첨가되지 않은 고무 시편과 propanamine이 첨가된 고무 시편은 접착성이 발현되지 않았지만 1,6-Hexanediamine이 첨가된 고무 시편의 경우 접착성 효과가 개선되었다. 또한 propanamine과 1,6-Hexanediamine이 첨가된 경우 접촉각이 감소하였으며, 1,6-Hexanediamine이 첨가된 고무 시편이 propanamine이 첨가된 시편에 비해 작은 접촉각을 나타내었다. 고무 표면의 $-NH_2$에 대한 피크는 $1450{\sim}1550cm^{-1}$의 그룹에서 FT-IR 분석 결과로 확인하였다. propanamine과 1,6-Hexanediamine이 첨가된 경우 기계적 특성 저하와 마모 특성이 감소하였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신발소재의 환경 친화적인 접착 표면 처리(I) (Leather's Environment-friendly Adhesion Surface Treatment of shoe's material by Plasma)

  • 하선희;장유진;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6권2호
    • /
    • pp.6-12
    • /
    • 2005
  • 플라즈마는 고체, 액체, 기체와 더불어 제 4의 물질상태로 불리어지고 있는데, 기체의 일부가 전리된 가스상태이며 외부기장에 영향을 받고 전기를 통과시키면 발광하는 에너지가 높은 기체의 영역으로 정의된다. 인위적으로 에너지를 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많은 부분에서 새로운 첨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부분들이 우리의 생활에 들어와 있다.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고분자물의 표면을 처리하게 되면 몇 가지 장점이 있다. 먼저 플라즈마는 표면의 물성만을 변화시켜 고분자 본 물성을 유지시켜주고,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공정 운행 중 발생하는 폐기물이 없어 환경친화적이며, 상압 플라즈마의 경우 자동화 연속공정이 가능하다. 본 실험에서는 신발소재 고분자 재료의 상호 접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표면 개질을 시도하였고, 처리 시간과 사용한 가스의 유량에 따른 박리강도 시험을 통하여 접착력 향상을 확인하였고, 접촉각 측정과 SEM 측정을 통하여 고분자 표면 변화를 확인하였다.

  • PDF

LPCVD로 증착한 텅스텐 박막의 증착 조건 제어에 의한 접착성 및 저항 특성 향상 (Improvement of the adhesion and resistivity of low-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ed tungsten films by controlling deposition parameters)

  • 노관종;윤선필;윤영수;노용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1-327
    • /
    • 2000
  • LPCVD 방식에 의해 산화막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10 $\mu$\Omega$$.cm의 낮은 비저항을 갖는 텅스텐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었다. 텅스텐의 산화막에 대한 접착성은 기판온도가 높을수록, $SiH_{4}/WF_{6}$ 비율이 증가할수록 우수하였다. 특히, 가스 비율이 2인 경우 $350^{\circ}C$에서도 텅스텐의 성장이 가능하였으며, $\beta$-W의 성장으로 비저항이 높았으나 $H_2$ carrier 가스를 증가시켜 최소화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텅스텐의 산화막에 대한 접착성 향상을 위해 복잡한 증착 공정이나 부가적인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증착온도, 가스 비율, carrier 가스 조건을 조절함에 의해 해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ericite 항균처리 신발용 면직물의 접착공정 연구 (A Study of Adhesion Process on the Footwear Cotton Fabric Treated with Sericite Antibacterial Agent)

  • 윤래원;이재호;조현혹
    • 접착 및 계면
    • /
    • 제7권2호
    • /
    • pp.32-3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우수한 결과를 갖는 항균제인 견운모(sericite)를 사용하였다. 견운모의 입자 크기는 $15{\mu}m$로 고정하였다. 박리강도의 효과는 접착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박리강도는 접착제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접착제 함량이 $20g/m^2$ 일 때 기준 값을 만족하였다. 항균제로 처리된 면직물의 한국공업규격(KS) 세탁견뢰도를 만족하는 항균제 함량은 8%이다. 신발용 면직물에 있어 항균처리를 위한 연속적인 공정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용융온도 $120^{\circ}C$, 냉각시간 20 s, 압착온도 $130^{\circ}C$, 압착시간 30 s.

  • PDF

플렉시블 OLED 소자 제작을 위한 접합층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on Layer for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문철희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3호
    • /
    • pp.86-94
    • /
    • 2023
  • OLED 소자를 용액공정으로 제작함에 있어 음극 전극의 용액공정화가 기술적인 난제이므로 별도의 기판에 음극 전극을 형성하고 PEI 층을 접합층으로 사용하여 이를 다른 기판의 소자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PEI 용액의 농도, PEI 층의 두께 및 첨가제 혼합 등을 변수로 하였으며 접착력 측정기와 EOD 소자 제작을 통하여 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I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접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막 두께의 증가로 전류 밀도가 감소하였다. 0.1 wt% PEI 용액에 첨가제로서 조비톨과 PEG를 혼합한 결과 PEG를 0.5 wt%의 농도로 혼합한 조건에서 900 mA/cm2 의 최대 전류 밀도를 얻었으며 양호한 접착 상태와 소자의 점등도 확인되었다.

칩과 리드페임의 접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 응력 해석 (Analysis of Residual Stresses Induced during Adhesion Process of Chip and Leadframe)

  • 이상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97-103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반도체 칩과 리드프레임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점탄성 접착제층에 발생하는 잔류응력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접착제층은 “열유동단순”거동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접착제층에서의 응력들은 경계요소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매우 큰 응력 구배가 계면 모서리에서 발생하는데, 그러한 응력들은 국부 항복을 일으키거나, 칩과 리드프레임의 박리를 야기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후속 열처리에 따른 Cu 박막과 ALD Ru 확산방지층의 계면접착에너지 평가 (Effect of Post-annealing on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of Cu thin Film and ALD Ru Diffusion Barrier Layer)

  • 정민수;이현철;배병현;손기락;김가희;이승준;김수현;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12
    • /
    • 2018
  • 차세대 초미세 Cu 배선 적용을 위한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이용하여 증착된 Ru확산 방지층과 Cu 박막 사이의 계면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Ru 공정온도 및 $200^{\circ}C$ 후속 열처리 시간에 따라 4점굽힘시험으로 정량적인 계면접착에너지를 평가하였고, 박리계면을 분석하였다. 225, 270, $310^{\circ}C$ 세 가지 ALD Ru 공정온도에 따른 계면접착에너지는 각각 8.55, 9.37, $8.96J/m^2$로 유사한 값을 보였는데, 이는 증착온도 변화에 따라 Ru 결정립 크기 등 미세조직 및 비저항의 차이가 적어서, 계면 특성도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25^{\circ}C$의 공정온도에서 증착된 Ru 박막의 계면접착에너지는 $200^{\circ}C$ 후속 열처리시 250시간까지는 $7.59J/m^2$ 이상으로 유지되었으나, 500시간 후에는 $1.40J/m^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박리계면에 대한 X-선 광전자 분광기 분석 결과, 500시간 후 Cu 계면 산화로 인하여 계면접착 에너지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ALD Ru 박막은 계면신뢰성이 양호한 차세대 Cu 배선용 확산방지층 후보가 된다고 판단된다.

직접블렌딩 방법을 이용한 SBR-나일론 접착 연구 (Adhesion Study of SBR-Nylon by Direct Blending Technique)

  • 정경호;강도균;윤태호;강신영
    • 접착 및 계면
    • /
    • 제1권1호
    • /
    • pp.30-37
    • /
    • 2000
  • 고무-섬유로 이루어진 고무복합체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직접블렌딩 기술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직접블렌딩 방법은 레소시놀, 헥사메틸테트라민, NaOH로 이루어진 결합체를 고무혼합물 배합공정에 직접 혼합하여 보강섬율의 접착제 처리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직접블렌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결합체를 직접 고무혼합물에 블렌딩한 경우와(Case I) 결합체를 수용액 상에서 반응시켜 경화물을 얻은 후 이를 분쇄하여 고무혼합물에 배합하는 경우를(Case II) 비교하였다. 모폴로지 분석결과에 의하면 Case II의 경우 결합체와 매트릭스 고무 사이에 뚜렷한 계면이 발생하였지만, Case I의 경우 적절한 가공조건 아래서 결합제와 매트릭스 고무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새로운 상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BR-나일론 고무복합체의 최적 성능을 위한 결합제의 최적 조성은 레소시놀과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의 mole비가 1.2:1인, 즉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mole비가 1:5인 조성이었다.

  • PDF

PVP 나노와이어를 활용한 패턴된 그래핀의 직성장 (Direct Growth of Patterned-Graphene Using PVP Nanowire Shadow Mask)

  • 이은호;방대석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4호
    • /
    • pp.120-123
    • /
    • 2023
  •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그래핀은 기존 재료보다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많은 연구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을 전자소자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전사 과정 및 패터닝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나, 이 과정에서 무수한 결함이 발생되어 그래핀의 특성을 크게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핀의 우수한 특성 및 상용화를 위해 전사 과정 및 패터닝 공정을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는 공정 개발이 다양한 시도를 통해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나노와이어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정밀한 패턴과 동시에 그래핀이 직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새로운 성장법을 통해 미래의 나노소재 기반 우수한 전자소자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서브-밀리미터 직경의 카테터 표면 위 금속 마이크로 와이어 접착 공정 (Manufacturing of Metal Micro-wire Interconnection on Submillimeter Diameter Catheter)

  • 조우성;서정민;김택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3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서브 밀리미터 직경의 카테터 표면 위에 금속 마이크로 와이어를 접착하는 공정을 연구하였다. 최근 유연 전자 디바이스 분야는 유연한 평면 폴리머 기판과 그 기판 위의 마이크로 전극 공정이 계속해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의료 분야에서는 카테터와 같이 곡면을 가진 기판이 중요하다. 특히 카테터 중에서도 여러 한계점을 가진 뇌혈관 수술을 개선하기 위한 서브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진 조향 가능한 카테터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카테터를 구현하기 위해 조향을 위한 엑추에이터들은 연구가 되고 있지만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서브 밀리미터 카테터 위에 마이크로 금속 와이어를 접착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적합한 지그를 설계함으로써 마이크로 와이어를 서브 밀리미터 직경의 카테터에 정렬한다. 그리고 자외선 경화 시스템과 상용품을 이용하여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감소시켰다. 상용품으로 골드 마이크로 와이어, 자외선 경화 에폭시, 자외선 램프 그리고 서브 밀리미터 카테터를 이용하였다. 공정 후 카테터는 광학 현미경, 저항 측정기, 만능 시험기를 통해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