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근통행비용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공항 접근 교통수단선택 효용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및 민감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지홍;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61-261
    • /
    • 1998
  • 교통계획의 목적은 교통체계를 분석하여 교통과 활동간의 상호작용을 효율화시켜 도시 및 지역사회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으며, 합리적인 교통계획을 수립하여 한정된 투자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교통수요에 대한 합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교통수요예측의 접근방법은 미시적인 개별적 접근방법과 거시적인 집단적 접근방법으로 구분되며, 다시 모형화 기법이 결정적인가 확률적인가에 따라 개별결정적, 개별활률적, 그리고 집단결정적, 집단확률적 모형의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일반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2가지 형태는 집단결정적, 개발확률적 모형이다. 집단결정적모형은 전통적 교통수요예측모형에 해당되며, 개별확률적모형은 1970년대 Mc Fadden을 시작으로 Ben-Akiva, Manheim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 행동선택 이론에 근거한 개별행태모형이 이에 해당된다. 개별행태모형은 개개인의 통행행태를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개개인은 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하고, 비용과 관련한 통행행태는 거시적 수준에서의 주어진 제약 조건과 관계가 있으며, 의사결정은 확률분포에 의해서 결정되는 효용원칙(Efficiency Principle)에 입각하여 해석한다. 도시내와 도시간, 취업자와 비취업자, 출퇴근 시, 목적별 등의 여러 가지 통행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들을 사용하여 교통수단 선택모형의 파라메카 값을 추정하고 통행패턴을 분석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행태모형인 로짓모형 중에서 집단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통행 중 공항시설의 접근에 필요한 교통수단 효용함수의 파라메타 값 추정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행시간, 통행비용이라는 변수를 공통으로 두고, 대중교통의 경우에만 해당하는 환승이라는 특정대안변수(Specific alternative variable)를 첨가하여 그것이 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대중교통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지하철과 버스를 하나의 대안으로 묶어서 효용함수를 구한 다음 다시 승용차, 택시, 대중교통을 독립된 대안으로 두고 모형을 정립하는 NESTED LOGIT모형으로 파라메타를 추정하여 대중교통의 효용에 관해 분석·비교하였다. 본 논문에 이용된 자료는 공항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면접조사한 자료이며 대상 교통수단은 승용차, 택시, 지하철, 버스로 설정하였다.

  • PDF

An Opportunity Cost Based Headway Algorithm in Bus Operation (기회손실비용을 고려한 버스 운행시격과 링크 통행시간 예측 알고리즘)

  • 이영호;조현성;김영진;안계형;배상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43-54
    • /
    • 2000
  • 이 연구는 버스정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운행시격 결정과 통행시간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을 다룬다. 운행시격 결정 문제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을 운영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기존 연구는 버스 운행비용과 승객비용의 합을 최소로 하는 운행시 격을 찾는데 초점을 두고 이다. 이때 승객비용이란 승객 대기비용과 승객 교통비용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같이 버스회사 수입이 전액 운행수입에만 의존하는 경우엔 이러한 접근 방식이 타당하지 않다.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승객비용으로 승객 이탈비용을 사용하여 버스의 최적 운행시 격을 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먼저 정류장이 하나인 경우에 대해 해석적 방법으로 풀고, 정류장이 여러 개인 경우에 대해서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한다. 또한 이 연구는 신뢰성이 높고 정확한 통행시간 예측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2 단계 예측 기법과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하는 자료융합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려면 교통정보 수집원을 통해 얻는 자료가 정확해야 하고, 또한 교통상황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통행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AVL(Automatic Vehicle Location)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정보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와 과거 데이터를 융합하여 통행시간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AVL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버스의 운행관리와 정확한 도착예정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AVL시스템을 통해 얻은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고 유고상황을 감지한다.

  • PDF

Estimating a Mode Choice Model Considering Shared E-scooter Service - Focused on Access Travel and Neighborhood Travel - (공유 전동킥보드를 고려한 수단선택모형 추정 - 접근통행과 생활권통행을 중심으로 -)

  • Kim, Ji yoon;Kim, Su jae;Lee, Gyeong jae;Choo,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1
    • /
    • pp.22-39
    • /
    • 2021
  • This study estimated mode choice models for access travel and neighborhood travel from an SP survey in metropolitan areas where shared e-scooter services are offered. Model results show that travel time and travel cost have negative effects on mode utility. It is also revealed that people are more sensitive to travel time in access travel, whereas they are more influenced by travel cost in neighborhood travel. Looking at individual and household attributes, it has a positive effect when under 40 yerars of age, owning bikes, being a public transportation user, while it has been shown a negative effect in less than 3 million won in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owning individual cars.

Examining Access Mode Choice Behavior of Local Metropolitan High-Speed Rail Station - A Case Study of Dong-Daegu Station - (고속철도 지방대도시 정차역의 연계교통수단 선택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동대구역을 사례로 -)

  • Kim, Sang Hwang;Kim, Kap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4D
    • /
    • pp.565-571
    • /
    • 200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ccess mode choice behavior for KTX Passengers. To fulfill the aims of this study, Dong-Daegu Station was selected as a station for a case study. This study takes place in two stages. These are (i)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ation statu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KTX, (ii) empirical model estimation for analyzing access mode choice behavior. This study makes use of the data from travel survey from Daegu metropolitan area. The main part of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KTX Dong-Daegu st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sample of 1,800 individuals. The survey data includes the information on travel from Dong-Daegu station to Seoul. Fro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ation statu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KTX, it is found that revealed demand of the KTX is lower than that expected.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low demand of the KTX stems from high cost for the KTX itself and inconvenience( including travel time and cost) of access mode. In order to analyze mode choice behavior for accessing Dong-Daegu station, multinomial logit model structure is used. For the model specification, a variety of behavioral assumptions abou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access mode choice, were considere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si found that access travel time and access travel cost are significant in choosing access mode. Given the empirical evidence, we see that improvement of access transportation system for Dong-Daegu station i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the use of KTX.

A Model of Location Decisions of Natural Gas Filling Station Considering Spatial Coverage and Travel Cost (공간적 접근성 및 통행비용을 고려한 천연가스 충전소 최적 입지선정 모형)

  • Yu, Jeong-Whon;Lee, Mu-Young;Oh, Sei-Ch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3
    • /
    • pp.145-153
    • /
    • 2008
  • This study proposes a facility loca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spatial coverage and travel cost as an effort to make objective and effective decisions of natural gas filling stations. The proposed model is developed for fixed stations and consists of two stages. The first stage employs a heuristic algorithm to find a set of locations which satisfy the spatial coverage constraints determined by the maximum travel distance between the filling stations and bus depots. In the second stage, the optimal location of filling stations is determined based on the minimum travel cost estimated by using a modified transportation problem as well as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filling stations.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analyzed through finding the optimal location of filling stations for the city of Anyang, a typical medium-sized city in metropolitan Seoul, based on the demand of natural gas bu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spread of natural gas buses by providing a starting point of a objective and reasonable methodological perspective to address the filling station location problem.

신호제어를 고려한 가로망 설계모형의 구축에 대한 연구

  • 강환민;박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15-115
    • /
    • 1998
  • 가로망은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날로 늘어나고 있는 통행수요를 직접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기반시설이다. 따라서 가로망의 구성과 운영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교통혼잡 등의 제반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되어온 가로망 설계 모형들은 새로운 도로의 건설이나 기존 도로의 확장 등을 통해 가로망을 조정하여, 사용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줌으로써 통행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자 한다. 이러한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사용자들에 의해서 초래된 통행비용의 개선과 이를 위해 사용된 투자비용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부의 경우, 차량들의 통행패턴은 가로망의 물리적 구성(기하구조, 용량 등)뿐만 아니라, 신호제어(주기, 녹색시간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고려되는 사용자의 통행비용의 경우, 단순히 가로망의 통행시간 뿐만 아니라 신호제어에 의해서 부가되는 지체도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로망의 계획단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하는 요소의 하나인 차량의 이동성과 접근성의 부여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이동성을 중요시하는 도로와 접근성을 위주로 하는 도로 각각의 기능에 부합하는 가로망 설계가 필요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존의 가로망 설계모형의 경우, 단순히 용량의 변화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과 이로 인한 통행량의 변화만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도시부에서 실제 차량의 통행패턴은 단순히 도로의 기하학적 용량뿐만 아니라,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의한 지체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며,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이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호제어의 영향들을 고려함으로써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가로망의 상반된 역할인 이동성과 접근성의 비교가 가능한 보다 현실적인 가로망 설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소개된 가로망 설계모형들은 용량변화에 대한 설계변수의 형태에 따라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과 연속적 가로망 설계모형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본 논문의 경우, 계산속도의 향상 측면에서는 연속적 가로망 설계 모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이때 요구되는 도로용량이 이산적인 변수(차선 수)로 결정되어야만 신호제어 변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산적 설계모형의 경우 조합최적화 문제이므로 정확한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부 최적해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이상적 모형의 근사화, 혹은 조합최적화문제를 위해 개발된 Simulated Annealing기법의 적용, 연속적 모형의 변수를 이산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신호제어 모형과 가로망 설계모형을 결합하여 통합된 가로망 설계모형의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다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고, 개선하며, 이의 적용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가상 가로망을 구성하여 모형의 적용 결과를 분석한다.

  • PDF

Analysing Potential Improvement of Public Transit Services in OD Level Using Time-Distance Accessibility and Smartcard Traffic Volume (시간거리 접근성과 교통카드 기반 통행량을 이용한 OD별 잠재적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량 분석)

  • YANG, Hyun-Jae;NAM, Hyun-Woo;JUN, Chul-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2
    • /
    • pp.80-93
    • /
    • 2018
  • Public transit services are generally analyzed based on the correlation of demand and supply. The computation of supply uses accessibility while demand uses travel demands estimation based on residential population. However, the traditional demand estimation has a limitation in analysing in micro-scale compared to the smartcard data traffic. This study analyzed potential improvement of public transit services using smartcard traffic data. The supply of transportation was defined using time distance accessibility. Also, time loss was calculated in those origin destination(OD) pairs where time distance accessibilities are relatively low.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at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s where OD pairs need improvement include Seodaemun-gu, Guro-gu and Nowon-gu.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of Trip Generation Model and Trip Distribution Model Reflecting Coefficient of Accessibility (접근성 변수를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

  • Jeon, Yong-Hyun;Rho, Jeong-Hyun;Jang, Jun-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6
    • /
    • pp.576-584
    • /
    • 2017
  • Traffic demand prediction result is a primary factor for decision making such as the traffic planning and operation. The existing traffic demand prediction 4-step model only covers the trip between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and not the demand followed by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is mode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odel by developing the inter-city trip generation and trip distribution model with more accessibility. After calculating of the trip generation and trip distribution model with more accessibility, the sign of the accessibility coefficient was positive. Commuting was the most insensitive indicator,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among the other trip purposes. The leisure trip was the most sensitive, affected by the trip fe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each of estimated model and observational data, it was certain that the reliability and assumption of the model have been improved by discovering the reduced weighted average error rat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total error through the model with more accessibility compared with the existing on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2-Phase Calibration Method for Gravity Model Considering Accessibility (접근성 지표를 도입한 중력모형의 2단계 정산기법 개발 및 적용)

  • CHOI, Sung Taek;RHO, Jeong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4
    • /
    • pp.393-404
    • /
    • 2015
  • Gravity model has had the major problem that the model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with only deterrence factors such as travel time or cost. In modern society, travel behavior can be affected not only deterrence factors but also zonal characteristics or transportation service. Therefore, those features have to be considered to estimate the future travel demand accurately. In this regard, there are two primary aims of this study: 1.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zonal travel, 2. to develop the new type of calibration method. By employing accessibility variable which can explain the manifold pattern of trip, we define the zonal travel behavior newly. Furthermore, we suggest 2-phase calibration method, since existing calibration method cannot find the optimum solution when organizing the deterrence function with the new variables. The new method proceeds with 2 steps; step 1.estimating deterrence parameter, step 2. finding balancing factors. The validation results with RMSE, E-norm, C.R show that this study model explains the inter-zonal travel pattern adequately and estimate the O/D pairs precisely than existing gravity model. Especially, the problem with estimation of short distance trip is overcomed.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draw the conclusion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for trip distribution model.

The Development of A Dynamic Traffic Assignment Technique using the Cell Transmission Theory (Cell Transmission 이론을 이용한 동적통행배정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주영;이승재;손의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4
    • /
    • pp.71-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dynamic traffic analysis model using the existing traffic flow theory in order to develope a dynamic traffic assignment technique. In this study the dynamic traffic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using Daganzo's CELL TRANSMISSION THEORY which was considered more suitable to dynamic traffic assignment than the other traffic flow theories. We developed newly the diverging split module, the cost update module and the link cost function and defined the maximum waiting time decision function that Daganzo haven't defined certainly at his Papers. The output that resulted from the simulation of the dynamic traffic analysis model with test network I and II was shown at some tables and figures, and the analysis of the bottleneck and the HOV lane theory showed realistic outputs. Especially, the result of traffic assignment using the model doesn't show equilibrium status every time slice but showed that the average travel cost of every path maintains similarly in every time slice. It is considered that this model can be used at the highway operation and the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 at a diverging section and the analysis of the HOV lane eff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