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 구름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alyses on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by Students and on Differences of Explaining in High School Chemistry-II Textbooks for the Atomic Models and Electron Configurations (원자모형과 전자배치 단원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및 화학 II 교과서의 설명방식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

  • Chang Kon Ki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7 no.3
    • /
    • pp.273-282
    • /
    • 2003
  • A questionnaire on "atomic models and electron configuration" was performed on 34 of 11th grade and 38 of 12th grade students who took the Chemistry-II course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Also eight Chemistry-II textbooks published in the 6th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ealing with this topic and possible improvements were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on the topics between two different classes were not much different in general, although a little difference was found. This indicates that the topics have been taught in early 11th grade but subsequent supplemental teaching has not been performed. To study on the topics of "atomic models and electron configuration"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knowledge on the basic spectroscopy and quantum mechanics should be preceeded. However this could be practically difficult under the current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scribe the basic concepts for the quantum mechanics and spectroscopy schematically in the "Reference Materials" section of the textbook, even if it is not very long. On the other hand, the Chemistry-II textbooks analyzed in this work reveal, in general, to have the similar organization and explanation modes. However it has been analyzed that a connection between the Bohr and electron-cloud atomic models might be insufficient or position of electrons might be possible to be misunderstood by students in some textbooks.

Investigation of Harmful Microorganism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ycelia in the Bed-log of Shiitake Strains Showing Low Fruit-body Productivity (버섯 발생이 부진한 표고골목 내부균사의 생리적 특성 및 해균 조사)

  • Bak, Won-Chull;Lee, Bong-Hun;Ryu, Sung-Ryul;Ka, Kang-Hyeo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34 no.2
    • /
    • pp.88-91
    • /
    • 2006
  • Attempt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mycelia of one low-temperature type strain and one high-temperature type strain of shiitake showing poor fruit-body formation in bed-log, and to survey harmful microorganisms formed on the log surface in Gapyung County, Korea. When tested the growing ability of mycelia, the low-temperature type strain showed ca. 1.1% decrease compared with preserved original strain. And, the high-temperature type one showed ca. 8.0% decrease. The growth of isolated mycelia was tested in sawdust medium. The high-temperature type strain showed ca. 10.8% decrease compared with original strain, and the low-temperature type one showed ca. 25.1% decrease. Weight reduction rate was investigated. The high-temperature strain showed ca. 20.1% decrease and the low-temperature one ca. 19.0%. When compared with non-treatment, original high-temperature type strain showed 107.0% decrease, the isolated high-temperature type strain 49.5%, original low-temperature type one 85.4%, isolated low-temperature type one 50.0%. As the results of confrontation culture, the high-temperature type strain and the low-temperature type one were same as the original ones, respectively. And, in the bed-logs, Hypoxylon truncatum, Coriolus versicolor, Inonotus xeranticus, Daedaleopsis tricolor, Graphostroma platystoma, two species of Myxomycetes, Trichoderma sp. Hypoxylon fragiforme, H. howeianum, and Nitschkia confertula were observed as harmful microorganisms, and the bed-logs were not in good condition.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 Especially on the Danji - bong Area -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 -단지봉 지역을 중심으로-)

  • Park Kwang-Woo;Kwon Yeong-Han;Choi Kyung;Oh Seung-Hwan;Kim Dong-Kap;Kim Joo-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3 no.1
    • /
    • pp.1-20
    • /
    • 200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Gaya National Park, especially focused on the forested wetland vegetation of Danji-bong area. The flora of Mt. Gaya was investigated from April in 2003 to October in 2004.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 of total 465 taxa, 4 hybrids, 12 forma, 75 varieties, 1 subspecies, 373 species, 268 genera, 91 families. It corresponds to 11.4% of totally 4,071 taxa appeared in Korea.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mposed 11 families, 15 genera, 14 species, 1 variety and totaling 15 taxa. And also actual vegetation structures were analyzed the newly founded forested wetland and natural population Ajuga spectabilis on the Danji-bong area using the vegetation and the species composition by tree layer.

A Study on Spatial Downscaling of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Data (토양수분 위성자료의 공간상세화에 관한 연구)

  • Shin, Dae Yun;Lee, Yang Won;Park, Mun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4-414
    • /
    • 2017
  • 토양수분은 지면환경에서 일어나는 수문 및 에너지 순환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상인자이다. 토양수분 현장관측은 땅속에 매설된 센서에 의해 상당히 정확하게 이루어지만, 관측점 수가 충분치 않아 공간적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광역적 및 연속적 관측이 가능한 마이크로파 위성센서가 토양수분 정보 획득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마이크로파 위성센서는 구름 등 기상조건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1978년 이래 현재까지 여러 위성에 의해 25 km 및 10 km 해상도의 전지구 토양수분자료가 생산되어 왔다.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한 토양수분자료는 동일지점에 대하여 하루 2회 정도 산출되므로 적절한 시간분해능을 가지지만, 공간해상도가 최고 10 km로서 지역규모의 수문분석에 적용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이러한 토양수분자료의 공간해상도 문제 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지면환경요소를 활용한 통계적 다운스케일링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최근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방정식을 이용한 결합모형을 통해 통계적 다운스케일링을 수행하였는데, 회귀식과 같은 선형결합뿐 아니라 신경망이나 기계학습 등의 비선형결합에서도,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잔차(residual)로 인하여 다운스케일링 전후의 공간분포 패턴이 달라져버리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회귀분석에 잔차의 공간내삽을 결합시킨 회귀크리깅(regression kriging)은 잔차보정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다운스케일링 전후의 공간분포 일관성을 보장하는 기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회귀크리깅을 이용하여 일자별 AMSR2(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 토양수분 자료를 10 km에서 1 km 해상도로 다운스케일링하고, 다운스케일링 전후의 자료패턴 일관성을 평가한다. 지면온도(LST), 지면온도상승률(RR), 식생온도건조지수(TVDI)는 일자별로 DB를 구축하였고, 식생지수(NDVI), 수분지수(NDWI), 지면알베도(SA)는 8일 간격으로 DB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8일 간격의 자료를 일자별로 변환하기 위하여 큐빅스플라인(cubic spline)을 이용하여 시계열내삽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이한 공간해상도의 자료는 최근린법을 이용하여 다운스케일링 목표해상도인 1 km에 맞도록 변환하였다. 우선 저해상도 스케일에서 추정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저해상도 픽셀별로 이에 해당하는 복수의 고해상도 픽셀을 평균화하여 대응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6개의 설명변수(LST, RR, TVDI, NDVI, NDWI, SA)와 AMSR2 토양수분을 반응변수로 하는 다중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이식을 고해상도 스케일의 설명변수들에 적용하면 고해상도 토양수분 추정치가 산출되는데, 이때 추정치와 원자료의 차이에 해당하는 잔차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저해상도 스케일로 존재하는 잔차를 크리깅 공간내삽을 통해 고해상도로 변환한 후 이를 고해상도 추정치에 부가해주는 방식으로 잔차보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운스케일링 전후의 자료패턴 일관성이 유지되는(r>0.95) 공간상세화된 토양수분 자료를 생산할 수 있다.

  • PDF

Spatial Gap-filling of GK-2A/AMI Hourly AOD Products Using Meteorological Data and Machine Learning (기상모델자료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GK-2A/AMI Hourly AOD 산출물의 결측화소 복원)

  • Youn, Youjeong;Kang, Jonggu;Kim, Geunah;Park, Ganghyun;Choi, Soyeon;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5_3
    • /
    • pp.953-966
    • /
    • 2022
  • Since aerosols adversely affect human health, such as deteriorating air quality, quantitative observation of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erosols is essential. Recently, satellite-based Aerosol Optical Depth (AOD) data is used in various studies as periodic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on the global scale, but optical sensor-based satellite AOD images are missing in some areas with cloud conditions. In this study, we produced gap-free GeoKompsat 2A (GK-2A)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 AOD hourly images after generating a Random Forest based gap-filling model using grid meteorological and geographic elements as input variables. The accuracy of the model is Mean Bias Error (MBE) of -0.002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0.145, which is higher than the target accuracy of the original data and considering that the target object is an atmospheric variable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CC) of 0.714, it is a model with sufficient explanatory power. The high temporal resolution of geostationary satellites is suitable for diurnal variation observation and is an important model for other research such as input for atmospheric correction, estimation of ground PM, analysis of small fires or pollutants.

Remote Sensing based Algae Monitoring in Dams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Machine Learning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녹조 모니터링 기법 연구)

  • Jung, Jiyoung;Jang, Hyeon June;Kim, Sung Hoon;Choi, Young Don;Yi, Hye-Suk;Choi, Su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42
    • /
    • 2022
  • 지금까지도 유역에서의 녹조 모니터링은 현장채수를 통한 점 단위 모니터링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기후, 유속, 수온조건 등에 따라 수체에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녹조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기에는 어려운 점들이 있어왔다. 또한, 그동안 제한된 관측 데이터로 인해 현장 측정된 실측 데이터 보다는 녹조와 관련이 높은 NDVI, FGAI, SEI 등의 파생적인 지수를 산정하여 원격탐사자료와 매핑하는 방식의 분석연구 등이 선행되었다. 본 연구는 녹조의 모니터링시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을 목표로 하여, 우선은 녹조 측정장비를 활용, 7000개 이상의 녹조 관측 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동기간의 고해상도 위성 자료와 실측자료를 매핑하기 위해 다양한Machine Learning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낙동강 내성천 상류에 위치한 영주댐 유역으로서 데이터 수집단계에서는 면단위 현장(in-situ) 관측을 위해 2020년 2~9월까지 4회에 걸쳐 7291개의 녹조를 측정하고, 동일 시간 및 공간의 Sentinel-2자료 중 Band 1~12까지 총 13개(Band 8은 8과 8A로 2개)의 분광특성자료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Machine Learning 분석기법의 적용을 위해 algae_monitoring Python library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library는 1) Training Set과 Test Set의 구분을 위한 Data 준비단계, 2)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Regression, XGBoosting 알고리즘 중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모델적용단계, 3) 모델적용결과를 확인하는 Performance test단계(R2, MSE, MAE, RMSE, NSE, KGE 등), 4) 모델결과의 Visualization단계, 5) 선정된 모델을 활용 위성자료를 녹조값으로 변환하는 적용단계로 구분하여 영주댐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역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에서는 Sentinel-2위성의 12개 밴드, 기상자료(대기온도, 구름비율) 총 14개자료를 활용하여 Machine Learning기법 중 Random Forest를 적용하였을 경우에,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으며, 적용결과 Test Set을 기준으로 NSE(Nash Sutcliffe Efficiency)가 0.96(Training Set의 경우에는 0.99) 수준의 성능을 나타내어, 광역적인 위성자료와 충분히 확보된 현장실측 자료간의 데이터 학습을 통해서 조류 모니터링 분석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Angbuilgu Treasure with Plate Pillars Decorated with a Dragon in Clouds (운룡주(雲龍柱) 보물 앙부일구의 특성과 제작 기술)

  • YUN Yonghyun;MIHN Byeonghee;KIM Sanghyu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4
    • /
    • pp.24-37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material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Angbu-ilgu, a kind of scaphe sundial, which was newly designated as a Korean Treasure in 2022. The Angbu-ilgu Treasure is owned by three institutions -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Sungshin Women's University Museum - and is similar as a twin in its material, size, outward appearance, as well as production techniques that include casting, silver inlays, and metal joints. The Three-Treasure Angbu-ilgu is made of brass in the ratio of 90.6: 6.0: 1.8 with Cu: Zn: Pb. This composition clearly differs from Treasure No. 845, an Angbuilgu which has a composition ratio of 82.2: 3.7: 11.8 with Cu: Zn: Pb. In this new Angbu-ilgu Treasure, the hemisphere's stand has four vertical pillars sculpted in a dragon pattern and bilateral wings carved in a cloud pattern on the pillars, which are joined to the hemisphere's horizontal ring with rivets and silver solders, respectively. The dragon-in-clouds pillar (雲龍柱) shows the most outstanding formative beauty of the various Angbu-ilgu pillar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that the altitude of the north pole engraved on the Angbu-ilgu was made after 1713. Production is, however, actually estimated to have occurred close to the 19th century, the era of the Jinju Kang family, who were professional Angbuilgu makers. Hopefully, this study will lead to a historical science and technology review with modern scientific instruments analyzing the material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ngbu-ilgus designated as a Korean Treasure in 2022.

Feasibility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Jangan Primary School Building (서울 장안초등학교 재건축 계획 설계 연구 요약)

  • Kim, Seung-J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3 no.3
    • /
    • pp.59-70
    • /
    • 1996
  • 장안초등학교는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에 개교된 초등학교이다. 처음에는 8학급의 가교사시설에 18학급으로 편성되어 초기부터 시설이 양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학생수 증가로 거의 매년에 걸쳐 학급수의 증가와 교실증축이 함께 이루어 졌다. 현재 건물의 건립년도를 살펴보면 1965년 6월에 처음 신관 1층 부분이 건설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꾸준히 증축되어 왔으며, 대지 동측의 별관은 1993년 12월에 건설된 새건물로, 학교교사 건물이 30년된 건물과 최근의 건물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구조적으로는 100년도 견딘다 하지만 실제로는 약 30년이면 콘크리트의 산성화가 가속화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는 학설이 인정되어, 최근 30년이 경과된 학교 건축의 재건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는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서도 구조적인 하자가 발생하는 예 가 많아 교육부에서는 대체로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 대하여 재건축을 실시하고 있다. 장안초등학교는 20년에서 30년 경과된 건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관계로 재건축이 실시되는 예이다. 아직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건물은 본관의 남측부분의 교사(1983년 증축)과 신관의 우측부분(1985년 9월 23일 증축)과 별관(1993년 12월 14일 신축)교사동을 들수 있다.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하여 철거할 것인가 혹은 그대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있어, 최종적으로 별관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본관 남측부분은 가장 마지막 건설시기에 철거하고 신관 우측부분은 규모가 작아 철거하기로 하였다. 학교건축은 다른 일반건물과는 달리 교육이라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공간구성이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교육이란 예전의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21세기를 바라보는 정보화 세계화를 지향하는 교육으로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과 자주성을 발휘시킬수 있는 교육이라는 점에 대하여 의견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이란 다양한 교육방법을 전제로 하며 하나의 학년을 하나의 학습그룹으로 생각하는 것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 학년의 그룹을 교대상의 기본으로하여 이러한 그룹에 대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이 이루어 질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점을 본 장안초등학교 기본계획에서 출발점으로 하였다. 물론 학교전체 학생을 콘트롤할 수 있는 교육방법도 존재한다. 선진 외국의 예를 살펴보면 아동의 능력별 교육을 위하여 무학년제(Non-Grade)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학급단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 학급단위는 교육단위이면서 생활지도 단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학교건축의 간장 기본 단위가 되는 보통교실 계획을 보통교실과 오픈스페이스를 연속시킨 유니트로 계획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 등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로는 36학급을 계획할 경우, 한학년의 6개 학급이 하나의 공통된 공간내에 그룹핑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제3안의 배치에서 제안하여 보았지만 북측교실, 오픈스페이스의 통로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규모가 너무 커서 3개학급을 하나의 유니트로 하였다. 물론 한학년이 동일한 층에 배치시켜 서로의 관련성을 높게 하였다. 특별교실 계획은 보통교실과의 관련성과 장래 지역개방의 역할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장안 초등학교의 경우는 별관을 그대로 사용 한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편복도 형식의 교실에서는 보통교실 계획의 어려움이 있어 특별 교실동으로 고려하였다. 때문에 지역개방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체육관은 기준령에는 권장시설로 되어 있지만 학교시설에 필수적인 시설이라 생각한다. 체육은 국민건강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체육관 건설은 실외체육 실내체육에 대응할 뿐 아니라 학교 행사등에 유용히 사용되기 때문에 더욱 필요시설이라 할수 있겠다. 또한 지역개방을 위하여 정문 혹은 후문 가까이에 배치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별관, 체육관, 운동장, 후문측에 12학급용의 단독건물 등의 기본적인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배치하자면 자연히 교실동들이 분산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이러한 각각의 교사동을 A동을 중심으로 구름다리로 연결하여 동선의 불편함을 해소시켰다. 주차장은 후문 가까이에 약 10정도의 주차공간이 확보가능하다. 이외에는 운동장을 사용하는 방법과 체육관의 1층부분을 필로티로 하여 그곳에 20대 정도 주차시키는 방안이 있다. 주차는 많을수록 편리는 하겠지만 제한된 대지에 모두 만족 시켜주기는 불가능하다. 공공용의 주차와 소방에 필요한 동선이 요구된다. 특히 도심주차난을 생각할 때는 차라리 적극적으로 지하주차장을 계획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67학급은 초대형 규모로 초등학교 규모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장래를 고려하여 48학급에서 최종적으로 36학급으로 계획하였으나 한동안은 67학급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신설 초등학교가 가까운 시기에 개교될 것을 기대한다.

  • PDF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he Middle and Lower Tropospheric Temperatures from MSU and ECMWF (MSU와 ECMWF에서 유도된 중간 및 하부 대류권 온도의 시 ${\cdot}$ 공간 변동)

  • Yoo, Jung-Moon;Lee, Eun-J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5
    • /
    • pp.503-524
    • /
    • 2000
  • Intercomparisons between four kinds of data have been done to estimate the accuracy of satellite observations and model reanalysis for middle and lower tropospheric thermal state over regional oceans. The data include the Microwave Sounding Units (MSU) Channel 2 (Ch2) brightness temperatures of NOAA satellites and the vertically weighted corresponding temperature of ECMWF GCM (1980-93). The satellite data for midtropospheric temperatures are MSU2 (1980-98) in nadir direction and SC2 (1980-97) in multiple scans, and for lower tropospheric temperature SC2R (1980-97). MSU2 was derived in this study while SC2 and SC2R were described in Spencer and Christy (1992a, 1992b). Temporal correlations between the above data were high (r${\ge}$0.90) in the middle and high latitudes, but low(r${\sim}$0.65) over the low latitude and more convective regions. Their values with SC2R which included the noises due to hydrometeors and surface emission were conspicuously low. The reanalysis shows higher correlation with SC2 than with MSU2 partially because of the hydrometeors screening. SC2R in monthly climatological anomalies was more sensitive to surface thermal condition in northern hemisphere than MSU2 or SC2. The first EOF mode for the monthly mean data of MSU and ECMWF shows annual cycle over most regions except the tropics. The mode in MSU2 over the Pacific suggests the east-west dipole due to the Walker circulation, but this tendency is not clear in other data.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for the Ch2 anomalies over most regions, the MSU and ECMWF data commonly indicate interannual variability due to El Ni${\tilde{n}$o and La Ni${\tilde{n}$a. The substantial disagreement between observations and model reanalysis occurs over the equatorial upwelling region of the western Pacific, suggesting uncertainties in the model parameterization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

  • PDF

Phase Behavior on the Binary and Ternary System of Poly(propyl acrylate) and Poly(propyl methacrylate) with Supercritical Solvents (초임계 용매를 포함한 Poly(propyl acrylate)와 Poly(propyl methacrylate)의 이성분 및 삼성분계에 관한 상거동)

  • Byun, Hun-Soo;Lee, Ha-Ye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6
    • /
    • pp.703-708
    • /
    • 2002
  • High pressure phase behavior data for poly(propyl acrylate) and poly(propyl methacrylate) with supercritical $CO_2$, ethylene, propane, butane, propylene, 1-butene, dimethyl ether, and $CHClF_2$ were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23^{\circ}C$ to $186^{\circ}C$ and at pressures up to 2,400 bar. The cloud point were obtained at dissolved pressure below 2,070, 1,400, 1,880, 450, 2,200, 250, and 150 bar for poly(propyl acrylate) in supercritical $CO_2$, ethylene, propane, propylene, butane, 1-buthen, and dimethyl ether,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range is $23-175^{\circ}C$. The poly(propyl methacrylate) does not dissolve in $CO_2$ at temperature of $240^{\circ}C$ and pressure 2,900 bar. The poly(propyl methacrylate)-propane, poly(propyl methacrylate)-butane, poly(propyl methacrylate)-propylene, poly(propyl methacrylate)-1-butene, and poly(propyl methacrylate)-$CHClF_2$ systems were dissolved at the pressures less than 2,390 bar, below 2,100 bar, below 570 bar, below 310 bar, below 300 bar, and below 170 bar,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range shows from 40 to $186^{\circ}C$. The phase behavior of between binary poly(propyl acrylate)-$CO_2$ and poly(propyl acrylate)-dimethyl ether system were measured from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region to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region with added dimethyl ether concentrations of 5, 15 and 50 w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