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점자블록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를 위한 진행 방향 판단 기법 (Determination of Walking Direction for Guidance of the Blind)

  • 고병오;김하경;손진우;정경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52
    • /
    • 2019
  • 보도의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의 자율적인 보행을 위해서 필수적인 시설물이다. 시각장애인은 발바닥 감각과 지팡이를 이용하여 점자블록을 확인하면서 보행하는데, 점자블록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는 다시 점자블록을 만날 때까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점자블록을 따라서 보행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점자블록의 기울기를 특징으로 선정하였으며, 3-line detector 구조를 도입하여 프레임마다 점자블록의 좌우 기울기와 전방 연속성을 판단한다. 진행 도중에 점자블록이 끊어지거나 분기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공간 필터링과 시각장애인의 보행 도중에 발생하는 상하좌우의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시간 필터링을 사용하여 기울기를 안정한다. 실제 도로 및 실내에서 획득한 영상을 사용한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제안 알고리즘을 통해 보행자의 진행 방향 및 이탈 정도에 대한 판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임베디드 기기를 위한 딥러닝 점자블록 인식 방법 (Deep Learning Braille Block Recognition Method for Embedded Devices)

  • 김희진;윤재혁;권순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9
    • /
    • 2023
  • 본 논문은 딥러닝을 통해 실시간으로 임베디드 기기에서 점자 블록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고성능 컴퓨터에서 점자 블록 인식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키고, 임베디드 기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학습 모델을 경량화 도구에 적용한다. 점자 블록의 보행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영상에서 점자블록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경로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임베디드 기기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서 YOLOv8 모델을 통해 점자 블록, 볼라드, 횡단보도를 검출한 후 점자블록 경로 판별 알고리즘을 거쳐 보행정보를 인식한다. 실시간으로 점자 블록을 검출하기 위해 모델 경량화 도구를 YOLOv8에 적용한다. YOLOv8 모델 가중치의 정밀도를 기존 32비트에서 8비트로 낮추고, TensorRT 최적화 엔진을 적용하여 모델의 최적화를 진행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경량화 된 모델을 기존 모델과 비교한 결과, 경로 인식 정확도는 99.05%로 기존 모델과 거의 차이가 없지만, 인식 속도는 기존 모델 대비 59% 단축되어 1초에 약 15개의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RFID와 점자블록 결합을 통한 시각장애인 보행보조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Travel Aids System through Unions of RFID and Braille Block)

  • 주창욱;김두용;신동범;김병수;민홍기;한영환;이응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
    • /
    • pp.2907-2910
    • /
    • 2003
  •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보조할 목적으로 설치된 점자보도블록은 보행방향과 정지 정보를 제공하지만,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는 제공 할 수 없어서 보행 보조물로써의 기능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IT 기술중 하나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내장한 새로운 개념의 점자보도블록과 이를 활용하여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점자보도블록에는 RFID 태그와 안테나를 삽입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백색지팡이에는 이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한 리더기를 설치한다.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는 PDA로 전송되어 해당되는 음성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시각장애인은 타인의 도움 없이 현재 자신이 위치한 곳에 대한 정보를 얻고, 올바른 곳으로 보행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시각장애인의 보행권과 사회활동권등 복지 증진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 PDF

지하 철도역사에서 위치확인을 위한 스마트 점자블럭의 RF 특성 분석 (R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mart Braille Block for Location Identification in Subway Station)

  • 황종규;김경희;안태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378-384
    • /
    • 2020
  • 철도역사는 최근 들어 환승 등으로 더욱 복잡해지면서 철도역사 내부에서 이동자는 본인의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찾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교통약자들의 경우는 더욱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교통약자들은 철도역사 바닥에 설치된 점자 블록을 기반으로 역사 내에서 위치를 찾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어려움이 많아 역사이용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철도역사에서의 다양한 스마트모빌리티 서비스 지원을 위해서는 역사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확인을 위한 스마트 점자 블록을 제안하고, 이 스마트 점자 블록의 재질별 RF 특성해석을 통해 철도역사 적합한 스마트 점자 블록의 재질, 그리고 스마트 점자 블록 내부의 RF 센서 간 이격거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성해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결국 스마트 점자 블록의 적용 시 소재 변화에 공사 현장에 맞는 소재를 선정한 뒤 적용 예정인 RF 시스템 특히 RF 성능을 크게 좌우하는 안테나에 대한 성능변화를 반드시 사전 검토 과정을 통해 확인한 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스테레오 비전 기반 점자 블록 검출 (Raised Block Detection System based on Stereo Vision)

  • 김경호;이상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66-769
    • /
    • 2010
  • 시각 정보는 사람이 정보를 획득 하는데 가장 주요한 수단이다. 시각이라는 수단을 상실한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흰 지팡이, Navbelt, MELDOG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점자 블록 검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기존 색상 기반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장애물이나 벽면을 제거하고, 2차에 걸친 필터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다 정밀한 후보 영역을 검출하였다. 그리고 윈도우를 이용하여 보행로 판단에 적용함으로 직선의 보행로만 아니라 교차로 형태의 보행로 인식에서도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의 규격기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Standard Criteria f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 신동홍;강병근;박광재;김상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7-76
    • /
    • 2015
  • Purpose : The current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have not been easily accessible to blind and vision-impaired people due to unexpected variation of walking environment and walking behavior of transportation poor. Moreover, those indicators frequently cause the inconvenience to transportation users' walking.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findings from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from this study contribute to suggest the better standard criteria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for transportation users, especially blind and vision-impaired people, the handicapped, the child and the elderly and weak, providing the secure and convenient circumstance for walking. Method : This study presents the problems about the standard criteria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via the examination of finding from the past studies. For example, we examine all standard criteria, focusing on shapes, colors and qualities of materials used f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The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of standard, which apply to the current walking environment practically and reasonably. Results : To improve the current condition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the analysis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andard criteria need to be conducted.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helps to suggest the better criteria for the interval between projecting points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effective perceived range of walking road, and the brightness contrast between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finishing materials. Implication : The suggested standard criteria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need to be tested by transportation users, and the practical instructions of establish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should also be developed.

시각장애인 점자블록 설치기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Installation Standards f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 강병근;신동홍;박광재;김상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57-66
    • /
    • 2015
  • Purpose : The guidelines of establish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have not consistently been provided to the identical criteria in walking facilities. Thus, transportation poor had difficulties in walking environment. Method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actical direction of guidelines of establish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guidelines for establishing facilities, and then analyzes international criteria, with comparing criteria used in German. Therefore, findings from those analyses can provide the secure and convenient environment for walking to transportation users, in particular blind and vision-impaired people, the handicapped, the child, and the elderly and the weak. Results : For the improvement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the clear criteria of establish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s propos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alking environment. Then, the sample item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situations need to be exemplified. To provide more secure environment walking for transportation poor, the establishing criteria partially adopted ideas from Universal Design also need to be developed. Implication : The proposed detail drawing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need to be tested by transportation users due to high safety in walking circumstance, and also the guidelines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lso needs to be studied.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의 휘도대비 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uminance Contrast Criteria f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 신동홍;박광재;김상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7-15
    • /
    • 2016
  • Purpose: There are the number of col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nstalled in Korea, because of indefinite regulation in blind and vision-impaired persons'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n case of yellow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t shows a deviation severe colo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color and brightness reference for helping blind and vision-impaired persons' walking through analyzing the color references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the color luminance between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sidewalk currently used. Method: Reasonable luminance contrast criteria is suggested by examining ways of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objects according to color contrast visually impai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zing standards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the Europe, Japan and Australia of color and luminance contrast criteria. And by examining the color of th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reported in Korea currently used to derive the problem presented by the luminance contrast in the reference and comparison. Finally, the visually impaired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s set for color selection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rate improves.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to b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of the contrast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environment than the color of th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tself to secure always a certain level or more of brightness contrast values in the set of the color of th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so important. Implication: In order to set the blind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color recognition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real pedestrian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it is required. It is to be understood as an element of the barrier free configuration for securing the walking pedestrian safety.

신형 점자블록 개발을 위한 설계원칙 설정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Design Criteria for Development of New TWSIs)

  • 신동홍;성기창;김상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9-37
    • /
    • 2016
  • Purpose: Since the end of the 1990s the question of detecting blind and vision-impaired persons'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have been rasied, the study of detect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has been started in Japan, German, and Sweden. Through the study, Japan, German, Sweden, and international's standard was revised. The Korean standard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was revised in 2013, the remarkable point was miss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deriving a range of types and dimensions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reasonable, and presenting the design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th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 Method: This study was proceeded by comparison analysis of results from various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literature review from Japan, German, and Sweden, the most suitable range of types and dimensions was abstracted. Then, the range of types and dimensions was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nternational reference standard, the ground rules were confirmed to apply new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design. Results: Rationally, the wide and diameter of projecting line and projecting point should be downsized in order to improve detecting blind and vision-impaired persons'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with same purpose, the ratio of the wide and diameter of projecting line and projecting point should be decided. The design of th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n addition to the size and spacing of the protrusions should be to reflect the common elements that have been suggested a number of standard criteria. Implication: In this study, the design principles was derived through test results and theoretical studies, and new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would need to be validated in local user.

Segmentation 기반 전동킥보드 주차/비주차 구역 분류 기술의 개발 (Development of segmentation-based electric scooter parking/non-parking zone classification technology)

  • 조용현;최진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25-133
    • /
    • 2023
  • 본 논문은 공유형 전동킥보드 시스템 운영 시, 관리 상 발생할 수 있는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납 인증사진으로 주차, 비주차 구역을 판단하는 AI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비주차 구역 배경 관련 객체를 판별하기 위해 ADE20K에 Pre_trained된 Segfomer_b0 모델과 점자블록, 전동킥보드에 Fine_tuning한 Segfomer_b0 모델을 통해 주차/비주차에 관련된 객체의 Segmentation map을 추출하고, Swin 모델을 통해 주차/비주차 구역을 이진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689장을 직접 라벨링한 후 진행한 Fine_tuning SegFomer 모델은 mAP가 81.26% 수준으로 전동킥보드와 점자블록을 인식하였으며, 총 2,817장을 훈련한 Classification 모델은 92.11%의 정확도와 91.50%의 F1-Score로 주차구역과 비주차 구역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